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6/30 10:34:52
Name IcedAmericano
Subject [질문] 차량 구입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29살 직장인입니다.

이번에 생에 첫 차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중고냐 새차냐 고민하다가 새차로 정했습니다.

운전경력은 1년정도이며, 회사에서 차를 운행하기도 하고
렌트경험도 있습니다. 운전 스타일상 막 몰지는 않을 것 같기도 하고
차에 대해 문외한이다보니 중고차보다 새차로 결정을 했습니다.

현재 나이와 차후 결혼까지 고려해서 SUV를 사고 싶어서
가격대를 알아보던 중 티볼리에어가 눈에 들어와서 구입하려고 하는데요

티볼리에어의 장, 단점과 다른 차량 추천도 받고 싶습니다.

* 개인적으로 현대/기아차를 선호하지 않아서 고려대상에서 제외하였습니다.
* 예산은 최대 2,500만원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 전액 대출로 구입하려고 하는데, 은행대출+현금 or 자동차 구매시 전액할부 중 어떤게 더 좋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덴드로븀
17/06/30 11:00
수정 아이콘
1. 트렉스도 고려해보세요. 꼭 시승하고 비교해보시길!
2. 전액 대출이면 은행에 먼저 가셔서 직장인 우대로 마이너스 통장이나 차량할부 상품이 있는지 물어보세요. 일반적인 자동차할부 프로그램은 은행보다 이율이 높게 나옵니다. 물론 구매 이벤트나 신용카드 혜택등이 있기때문에 비교는 많이 해보셔야 합니다.
전 중고차 구매하는데 현금 + 마이너스 통장으로 해결했습니다.
IcedAmericano
17/06/30 11:24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합니다. 트렉스의 경우 연비나 힘 같은건 더 좋은거 같은데 트렁크용량이 너무 작지않은가해서 티볼리에어가 더 끌리는 중입니다.
SpicyPeach
17/06/30 12:0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현대/기아차를 왜 선호하지 않는지 이유를 여쭤봐도 될까요?

왜냐면 현대/기아차가 다른 브랜드(ex. GM, 쌍용)보다 더 좋으면 좋았지 나쁘지 않거든요..
IcedAmericano
17/06/30 12:19
수정 아이콘
크게 3가지 이유입니다.
1. gdi엔진 등 문제
2. 국내소비자를 차별하는 느낌
3. 이게 핵심인데.. 여친님이 싫어합니다...
17/06/30 12:13
수정 아이콘
현기차를 제외한다면 차량 사이즈로 볼 때 올란도 정도 밖에 없습니다. 트랙스가 작다고 하셨으니.
티볼리 에어의 장점은 상품구성과 가성비이고 단점은 차량 기본성능이 떨어지고 부품 자체가 구형의 느낌이 난다는 겁니다. 자금이 부족해서 개발을 못한 영향이 크다는 거죠.
IcedAmericano
17/06/30 12:25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추가적인 질문으로 티볼리에어 뒷자석 크기가 어떤가요? 카시트하기 좁거나 하진않나요?
SarAng_nAmoO
17/06/30 13:14
수정 아이콘
티볼리 차주입니다.
티볼리 기준으로 뒷좌석 카시트자리 충분합니다.
동호회에서 에어를 봤을때도 큰 차이가 없어보였는데 2017년형은 아직 못봐서(크게 달라지진 않았을듯??) 섣불리 말씀은 못드리구요.

음..티볼리기준으로만 말씀드리면, 일단 가성비가 좋네요. 운전석 적당히 편하고 내부가 밖에서 보는것보다 넓습니다.(소형치고는)
단점은 간혹 시동걸고 저속에서 rpm솟는 증상이 있습니다.(이건 10대중 6대정도 발생합니다)
당장 생각나는건 이정도네요. 좋은 선택 되시길.
IcedAmericano
17/06/30 13:26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합니다.
저속에서 rpm이 증가하면 어떤게 문제가 되나요? 제가 차를 잘 몰라서..
티볼리에어 가솔린을 구매할예정인데, 힘이딸리거나 하는건 없나요?? 옵션도 어떤옵션을 해야할지 어렵네요.
SarAng_nAmoO
17/06/30 13:38
수정 아이콘
일단 저속 rpm솟는건 2~3천까지 솟는데 속도는 20밖에 안나요. 변속이 안된다는 말이겠죠? 그 구간이 약 10초정도 지속됩니다.
그래서 시동걸고 대기하며 블박 켜질때까지 기다렸다가 출발을 하면 그런증상은 없습니다.
그리고 저런 증상이 나오는경우는 딱 한가지입니다. 출근할때, 퇴근할때. 즉.6~8시간정차했다가 시동을 걸고 바로 출발을 하려고 하면 솟드라구요.
정비소에서는 뭐 차량 온도가 올라가야되서 그런거다(...)라고 하는데 요즘 날씨에도 변함없이 그러는거보면 못고치는듯?

저도 티볼리 2015년형 가솔린입니다. 힘딸림이라... 거의 출퇴근용으로만 사용해서 딱히 느낄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았네요. 게다가 제껀 에어가 아니라서 정확하지 않을수도 있구요.
17/06/30 13:42
수정 아이콘
티볼리도 옛날 구형 소나타처럼 배터리와 알터의 문제가 있나보군요..
SarAng_nAmoO
17/06/30 14:22
수정 아이콘
소소한 팁 한가지 더 알려드릴께요.
티볼리기준 TS, VX, LX, LX고급형 이렇게 나갑니다.
LX부터 휠이 18인치입니다. 승차감 진짜 헬입니다. 옵션을 낮추셔서 승차감과 가성비를 다 챙기시기 바랍니다.
만야게 반드시 고급라인을 가셔야 한다면 공기압이 공기압을 35~37정도로 해주시면 그나마 연비와 승차감이 나아집니다.(이것도 그나마입니다.)
공기압 상승으로 인한 브레이크 밀림현상은 없습니다. 티볼리 브레이크는 좋은것 같습니다.
IcedAmericano
17/06/30 14:59
수정 아이콘
18인치 휠이면 어떤점때문에 승차감이 별로인가요? 차에대해 잘 모르다보니 궁금하네요..공기압조절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SarAng_nAmoO
17/06/30 15:02
수정 아이콘
휠이 커지면 타이어가 작아집니다. 타이어가 작아지면 고무면적도 작아지겠죠.
공기압은 티볼리 차 내부에 넣는 기계도 있고 쌍용정비소를 가셔서 맞춰달라고 하시면 맞춰줍니다.
아. 18인치 기준 공기압은 32로 되어 있습니다. 36이면 꽤나 높이는건데, 이건 차이를 한번 느껴보시고 결정하시는게 좋을듯 하네요
17/06/30 13:40
수정 아이콘
총액 2500만원 예산의 신차에서 현/기 뺀 SUV는 소형급에서 트랙스, 티볼리, 티볼리에어, QM3, 그 윗급으로 코C 최하옵까지 볼만 하겠네요.
올란도도 정통 SUV는 아니지만 포함할 수 있겠습니다.
트랙스가 작아서 싫다고 하면 티볼리에어, 코C, 올란도만 남고요.
공간에서 결국 티볼리에어 vs 올란도가 남겠네요.

티볼리에어 장점은 디자인 단점은 기본기
올란도 장점은 기본기 단점은 디자인 이라고들 하더군요.

올란도의 경우 조금 더 아는 바로는
- 18인치 뒷 타이어 편마모 증상이 있었고(이거 잡혔나 모르겠네요),
- 2.0 LPG 선택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연료비 이득, 힘은 조금 딸림)
-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보령 머드 미션은 GEN III 오면서 상당히 안정되었다고는 합니다.
예전엔 5년 10만 보증이 엄청난 메리트였는데, 지금도 5년 10만 하는지, 다른 브랜드 보증은 어떤지 잘 모르겠네요.
(실제 타보면 만 3년 이후부터 받는 보증수리가 만족도가 아주 높았습니다.)
17/06/30 13:44
수정 아이콘
차량 구입 예산은 신한 마이카 대출, 삼성화재 오토론? 이런 상품들이 가장 저렴한 금리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신용카드 구매시 캐시백 서비스 있을거고요(제조사별 카드별 구매자별 상이), 신용카드 오토할부 이런 것도 가능합니다.
(오토할부 시에도 캐시백 있을겁니다.)

잘 알아보시고 좋은 차 구입하세요!
17/06/30 13:48
수정 아이콘
덧붙이면, 저도 현/기 정말 싫어했고, 지금까지 차량도 현/기는 보유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본가의 차량은 계속 현/기 차량만 있었고, 친구들이 신차 구입한 것, 구입할 것 들을 동행하고 느끼며 보았는데
2017년의 현대,기아 차량은 10년 전과 정말 다릅니다. 과거엔 말렸는데 이제는 자신있게 추천하고 있습니다.
비단 구입하지 않더라도 시승 시스템은 현대 >>>>기아 >> 그 외 브랜드 수준으로 잘 되어있으니, 현대/기아의 시승센터에 예약하시고 시승 꼭 해보세요! 구입할 차량과 비교할 때 도움이 많이 됩니다.
(특히 여자친구 태우고 시승해보면 저보다 더 미세한 부분들을 잘 느껴서 저는 여자친구 항상 동승하고 시승합니다)
IcedAmericano
17/06/30 15:01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제가 현재 신용카드없이 체크카드만 사용하고있는데, 그럼 신용카드를 만들어야 하겠군요..
현대, 기아차중에 가격대 맞는 SUV는 추천하는게 있으신가요?
17/06/30 19:37
수정 아이콘
코나는 신차에 안타봐서 잘 모르겠지만 니로는 괜찮았습니다.
스포티지/투싼 최하옵션도 볼 수 있네요.

그러고 보니 소형급이 아직 다 출시된게 아니라서 애매하네요..
아스날
17/06/30 13:49
수정 아이콘
주행감성에서 트랙스>티볼리라고 많은 자동차 리뷰어들이 평가하더라구요..
싸고 디자인 옵션 괜찮아서 티볼리샀는데 후회하는분이 많다고 하더라구요.
저는 트랙스 추천합니다.
IcedAmericano
17/06/30 15:01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주행성능이나 연비 이런걸보면 확실히 트렉스가 우위인거 같아요.
DogSound-_-*
17/06/30 14:32
수정 아이콘
아이오닉 일렉트릭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5097 [질문] 인스타그램 해킹당했네요 [2] purplesoul2489 17/07/02 2489
105096 [질문] 다이어트 중인데 살이 안 빠져서 질문드립니다. [9] 보로미어2714 17/07/02 2714
105095 [질문] 합의하는데 인감증명서가 필요한가요? [2] 하연수7102 17/07/02 7102
105094 [질문] 클래시로얄 초보 클랜 가입 문의.. [3] 2113 17/07/02 2113
105093 [질문] 스타에 적응되서 RTS 게임이 잘 안되요. [2] 콜라제로2614 17/07/02 2614
105092 [질문] 아이패드1 유튜브 안됩니까? [5] 파란무테8017 17/07/02 8017
105091 [질문] 블러드 본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 [2] 불같은 강속구1679 17/07/02 1679
105090 [질문] 옛날 미국 서부영화좀 알고 싶습니다. [15] vella2741 17/07/02 2741
105089 [질문] 디아블로류 RPG 게임이 뭐가 있을까요? [16] 공부맨15003 17/07/02 15003
105088 [질문] 일반물리학 진동부분 3문제 도와주실분 있을까요? [9] 애플이요1716 17/07/01 1716
105087 [질문] 취업 했는데 예비군에 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12] 쿠쿠다스3554 17/07/01 3554
105086 [질문] [LOL] 큐베선수 질문... [7] -Aka2694 17/07/01 2694
105085 [질문] [스타1] 저그 드론 고르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7] 토니2977 17/07/01 2977
105084 [질문] 수학은 발명일까요 발견일까요? [8] Hmbbgvu5491 17/07/01 5491
105083 [질문] PC로 할 대전격투게임 및 스틱 추천 부탁 드립니다~ [7] 윾쾌한놈7978 17/07/01 7978
105082 [질문] 혹시 약주나 사케 잘 아시는분 있나요? [6] 알로에잎1731 17/07/01 1731
105081 [질문] 오래 된 서브컴퓨터를 6만원에 업글하는게 이득일가요? [7] 삼신2907 17/07/01 2907
105080 [질문] [히오스]초갈 질문입니다! [2] 성기사1909 17/07/01 1909
105079 [질문] 알쓸신잡에 사용된 ost질문입니다. [1] JazzPianist2352 17/07/01 2352
105078 [질문] 지금 전기차 살만할까요? [11] 아리아리해2910 17/07/01 2910
105077 [질문] 위처 시리즈랑 필라스 오브 이터니티 해보신 분께 질문합니다. [12] LightBringer2527 17/07/01 2527
105076 [질문] 샤워할때 샤워타올 쓰시나요? [51] 샤를마뉴9494 17/07/01 9494
105075 [질문] 자동차 보험수리 중에 공업사 과실 발생됐을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요? [1] 퓨나2202 17/07/01 220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