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5/18 20:07:02
Name 라울
Subject [질문] 여행시 비지니스석은 원래 자기돈내고 잘 안타죠?
가격보니 저가항공 이코노미랑 한 세배 좀 넘게 차이나는것 같던데..

편하기야 하겠다만 차라리 그 차액으로 여행지 가서 더 펑펑 쓰고 말지 하는 생각만 드네요

그돈으로 호텔을 업그레이드해도 1주일 여행이면 여행기간 내내 업글할수 있겠더라구요

여행가면서 비지니스석 타고 다니려면 돈이 얼마나 많아야 할까요..

방콕행 비행기표 알아보는데 저가항공이 30만원인데 비지니스는 100만원가량 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볼레로
17/05/18 20:09
수정 아이콘
아는 분이 장거리 비행할때는 비즈니스석 타고 다니시는데 정말 그 돈 다주고 타시는건 아니고 마일리지로 업그레이드 해서 다니시더라구요.
비둘기야 먹자
17/05/18 20:11
수정 아이콘
회사에서 내줌 혹은 여행사에서 공짜로 업그레이드 해줌 혹은 내가 마일리지를 비지니스석으로 삼 중 하나
난파선
17/05/18 20:16
수정 아이콘
비지니스보다 3배 더 비싼 퍼스트 클래스 타고 다니는 사람들 있죠. 미국 한번 갔다 오면 준중형차 한대 값이 나가는데 말이죠.

비지니스 정도는 가볍게 타고 다니시는 분들 꽤 있더라고요. 이야기 들어보면 이코노미 탄다는 생각 자체를 안하는 것 같더라고요. 물론, 저는 항상 저가 항공에서도 최저가 찾아서 갑니다.
1perlson
17/05/18 20:16
수정 아이콘
펑펑 말고 펑펑펑펑 쓰실 수 있는 분들은 자기돈으로 사시겠죠? ㅜ
코카스
17/05/18 21:01
수정 아이콘
세상엔 돈 많은 사람도 많고 자기돈으로 척척 잘 타더라고요.
전 경제적 여유가 생기면 호텔보다는 비행기에 투자하고 싶어요. 호텔방 좋은데서 얻는 만족보다 비지니스에서 오는 만족이 더 클 것 같습니다.
메모네이드
17/05/18 21:06
수정 아이콘
돈 많으면 비지니스 잘 타고 다니더라구요~
전 여유는 없지만 죽기 전에 한 번 정돈 타보고 싶어요. 궁금해서. 흐흐
17/05/18 21:08
수정 아이콘
비지니스 자기 돈으로 타는 사람은 이미 숙박도 비싼곳에서 하겠죠
단순하게 따지면 3배 비싸니 이코노미 승객보다 수입이나 재산이 3배 많은 사람은 크게 부담스럽지 않겠군요

미국 퍼스트로 왕복하면 이코노미 대비 1000만원 이상 더 드는데 왕복 24시간 편하자고 1000만원 비용 지불하는건 참 어마어마한 돈이 있어야 가능할거 같아요 대충 자산이 200억은 되어야 퍼스트 타고 다닐만하겠다고 생각했었네요

저는 이코노미냐 비지니스냐 이런 사치스러운 고민은 해본적도 없고
경유해서 10시간 더 걸리는 대신 십여만원 절약할까? 직항으로 편하게 갈까 고민했네요
누군가에겐 저의 고민도 사치스럽게 느껴지겠죠

퍼스트를 넘에 전용기를 타고 다니는 날이 오길바라며 주절주절 해봅니다
17/05/18 21:10
수정 아이콘
어렸을때 더블부킹으로 인해 공짜로 강제 비지니스행 당한 적 있습니다. 아마 그게 평생 마지막 비즈니스석 경험일 듯... 어땠는지 잘 기억도 안나네요 억울하게
최경환
17/05/18 21:19
수정 아이콘
저는 얼마 안있어 유럽여행가는데 비지니스가 그렇게 비싸지 않아서 비지니스 타고 그만큼 숙소는 싼곳으로 돌렸습니다~
17/05/18 21:2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비즈 가격이 같은 항공사의 비행편 이코노미 가격의 2배 이하면 진지하게 고려해볼만 하다고 봅니다. 일본 기준 60만원 근처, 유럽 기준 150만원 근처 정도.. 특히 성수기 비행기표 잡을땐 가격차이 얼마 안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외에는 뭐.. FFP 티어 잘 모아서 비즈업그레이드 받는 경우, 마일리지 모아서 타는 경우, 시스템상 구멍을 잘 exploit해서 타는 경우 등등이죠.

이건 사람마다 체감이 다르겠지만, 저는 비행기 비즈니스-이코노미 차이가 왠만한 호텔 업그레이드보다는 비용대비 더 체감할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호텔 업그레이드를 체감하려면 스위트룸과 게스트룸 차이쯤 되어야 하는데, 호텔 티어는 항공사 티어에 비해서 보통 따기가 훨씬 어렵기도 하고, 그렇다고 돈 내고 스위트룸을 가는것도 또 엄청 많이 부어야 해서요...
17/05/18 21:39
수정 아이콘
여튼 비즈니스 타고 다니는 사람들이 꼭 돈이 많은 건 아닙니다. 물론 돈 많으신 분들은 쿨하게 고민없이 질러서 가시겠지만..!
마일리지 활용법이라던가 에러 페어라던가 카드사 혜택이라던가 여러 가지로 공부하다 보면 또 의외로 싸게 탈 수 있기도 합니다. 같은 마일리지를 모아도 더 가치를 높여서 쓰는 방법을 고민하는거죠.
alphamale
17/05/18 21:35
수정 아이콘
퍼스트는 10시간 넘게 비행하고 내릴 때 아쉽다고 하더라구요. 너무 편해서.
박현준
17/05/18 21:45
수정 아이콘
여윳돈이 좀 있었을 때, 뉴욕까지 이코노미타기 빡셀거 같아서 비지니스 알아봤는데 천만원이 넘더라구요.
이코노미는 270이었구요. 이건 아무리 돈이 많아도 100억 이상 자산 있지 않는한은 돈내고 탈게 아니구나 라고 생각 했습니다. 일등석은 도대체 누가 타는건지 ㅠ
이혜리
17/05/18 21:47
수정 아이콘
회사 출장으로 국적기 비즈니스 석 타다가 여행 때 피치항공 타면 진짜 추락할 것 같아요 흑.
배주현
17/05/18 22:16
수정 아이콘
마일리지 모아서 타는 경우도 많고, 마일리지 사서 싸게 타는 방법도 있습니다.
한국->토론토를 일등석으로 다녀왔는데 쓴돈은 별로 안되요. 이코노미의 1.5배 정도?
Outstanding
17/05/18 22:25
수정 아이콘
제 주변에 평범한 직장인인데, 4년간 시티카드로 마일리지 모아서 뉴욕 왕복 퍼스트로 다녀온 친구가 있습니다.
대단한놈
완전연소
17/05/18 22:49
수정 아이콘
요새는 비즈도 싼게 많이 나와서 국적기 이코노미의 2배 정도 가격이면 외항사 비즈를 탈 수 있습니다.
대략 유럽은 250만 원~, 미주는 300만 원~ 외항사 비즈를 찾아볼 수 있는데(마일리지, 이원발권 등 제외),
마일리지로 발권해도 유럽, 미주는 12.5만 마일(그것도 비수기 기준, 성수기는 1.5배) + 유할이 들어가니까 차라리 사는게 싸다고 생각을 들 때가 있거든요.

글구 비즈를 돈 주고 사서 탈 여유가 되니까 다니는 호텔도 급이 올라서...이코 - 비즈 차액이 호텔 1박 요금밖에 안되는 경우도 생기더라구요.
17/05/18 22:49
수정 아이콘
애기가 만2세 미만일때는 돈내고라도 탈만 합니다. (너무 장거리 말고, 어짜피 애기 델꼬 먼곳 안가지만)
만2세 미만은 안고 타야해서 이코노미 타면 엄청 힘들어요
이 경우 아니라면 업글/보너스 항공권 아니면 거의 안사죠
17/05/19 00:03
수정 아이콘
마일리지, 회사에서 대 줌. 이런거 말고 순수 자기돈으로 가는거만 따지면 200억 정도가 아닐까 합니다.

50억 자산가.100억 자산가. 200억 자산가. 500억 자산가 1000억 자산가의 차이죠.
일반적인 생각으로는 100억 자산가와 200억 자산가는 소비에 있어서 별 차이 없을거라 생각들지만, 비행기 호텔의 예만 들어도 차이가 꽤 나죠.

예로 국내나 해외 스포츠 스타들이 왜 연봉 1~10% 더주는곳으로 친정 팀에서 다른팀으로 이적을 하는지에 대한 직관적인 설명이 되고요.
동쪽큰숲
17/05/19 00:40
수정 아이콘
저희 작은 아버지가 독수리 아빠인데... 미국을 제집드나들듯 다니시면서 비즈니스OR퍼스트만 타고 다니십니다.
벤처회사 사장님이셨다가 대기업에 회사 수백억에 팔아 치우신...현직 백수십니다.
17/05/19 02:00
수정 아이콘
외항사는 싸게 나와서.... 특히 중국 항공사들 비즈/퍼클은 꽤 싸게 나옵니다
평행선
17/05/19 14:52
수정 아이콘
자기 돈 내고 타는 사람도 뜻밖에 꽤 있는데, 그냥 가치관 차이라고 생각해요.
수십억짜리 집 가지고 있으면서도 포르쉐는 차마 못사는 사람도 있고, 지방 전셋집 살면서 페라리 끌고 다니는 사람도 있죠. 연 수천씩 모아도 그걸로 강남구 아파트 언제 사나 고민인 사람도 있고, 그걸로 욜로! 를 외치며 명품 턱턱 사는 사람도 있고요.
비행기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2817 [질문] 자유게시판 글 하나 찾습니다. [3] Liverpool FC1898 17/05/18 1898
102816 [질문] 형님동생여러분질문있습니다(주변문구점이요) [2] 다크페르시아2175 17/05/18 2175
102815 [질문]  uv나 인입 경로 확인 가능한 사이트 [2] 목화씨내놔2429 17/05/18 2429
102814 [질문] [법] "수입산 소고기이면 1억보상!" [2] 전크리넥스만써요3264 17/05/18 3264
102813 [질문] 결혼식 관련 질문입니다(삭제예정) [26] 삭제됨3051 17/05/18 3051
102812 [질문] ps4 조이스틱에 대한 질문입니다. [5] reionel3330 17/05/18 3330
102811 [질문] bbk가 당시 노 전대통령의 야당 집권을 막기위한 정치공격인가요? [12] 사고회로3345 17/05/18 3345
102810 [질문] fm2017 경기 입장씬 스킵 어떻게 하나요? [2] 어빈3133 17/05/18 3133
102809 [질문] 여행시 비지니스석은 원래 자기돈내고 잘 안타죠? [22] 라울6396 17/05/18 6396
102808 [질문] 하체비만때문에 고민입니다. [8] 예인2307 17/05/18 2307
102807 [질문] 월급날 뭐하시나요? [31] 로켓라쿤3667 17/05/18 3667
102806 [질문] 형사사건 합의금은 보통 어떻게 주나요? [2] k127053570 17/05/18 3570
102805 [질문] 선게글 볼수 있는 방법 없나요? [3] 레가르2644 17/05/18 2644
102803 [질문] 아파트 인테리어 어떻게 준비해야할지 궁금합니다. [10] Secundo2964 17/05/18 2964
102802 [질문] 안드로이드에서 블루투스 이어폰만 소리가 안들리는 경우 천영2429 17/05/18 2429
102801 [질문] 히오스 키보드 설정 및 컨 관련 [7] 비둘기야 먹자3102 17/05/18 3102
102800 [질문] 복사 프로그램 뭐 쓰세요? [6] 미네랄배달4250 17/05/18 4250
102799 [질문] 토익 4년전과 비교해서 난이도 많이 올라갔나요... [8] QD3109 17/05/18 3109
102798 [질문] 자유게시판에 의견을 구하는 글을 올려도 될까요? [16] 방주3159 17/05/18 3159
102797 [질문] 아디다스 슈퍼스타 슬립온 구분법.. [2] 상한우유1954 17/05/18 1954
102796 [질문] BGM만 기억이 나는 롤챔스? 롤드컵? 결승 엔딩 영상을 찾아주세요.. SonOfDarkNess1682 17/05/18 1682
102795 [질문] 이 사진의 주인공 이름을 알고 싶습니다 [7] Repppo3138 17/05/18 3138
102794 [질문] 아이폰 7s 발매 예상시기가 언제인가요? [12] Dwyane2213 17/05/18 22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