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5/04 23:49
일반겜 기준이면 3업 풀업되기도 전에 겜끝나는게 다반사인데 별 의미없죠.
또 업글 혼자도 하는게 아니라서 별 의미없고 업글이 올라갈 수록 비용이 올라가는게 맞으면 자원많이 축척하는 저그나 플토가 유리하겠네요. 프테전에서 플토, 프저전에서 저그
17/05/04 23:33
업그레이드가 무한이면, 서로 따라갈 수 있는 상황이라 게임 양상 자체는 큰 차이 없을 것 같아요.
메카닉의 경우는 업그레이드 자체의 효율성이 압도적이라 문제인거고..
17/05/04 23:33
저도 아칸에 한표...
공업/방업이 똑같이 올라가면 애지간한건 상쇄가 되니까 공격력이 2, 3씩 올라가는 유닛들이 유리하지 않을까해용 근데 개중에 드라군 (폭발형이라 절반), 질럿/골리앗 등은 데미지가 1/2 되서 효율이 안좋고 다크같은건 근접인데 반해 아칸은 그것도 아니라..
17/05/05 00:33
질럿이나 골리앗 공중 공격은 2대 판정이라 안좋지만 드래군 같은 경우는 데미지에서 아머를 먼저 빼고 공격타입 적용이 되기 때문에 공업 효율이 좋죠.
17/05/05 10:22
근데 드라군은 폭발형이라 소형한텐 1/2 만 들어가지 않나용? 그걸 감안하면 데미지가 일반 스플래시 형인 아칸이 제일 유리하지 않나 해서요
17/05/05 10:45
네 공격타입으로 따지면 그렇긴하죠.. 근데 드래군은 사거리가 길고 아칸은 비싼 쉴드업을 해야해서.. 뭐 입스타일뿐이긴 하네요. 크크;
17/05/04 23:44
업효율이 테란>토스>저그인데
메카닉 제외면 당연히 토스가 제일 좋겠죠; 공5업쯤 되면 아칸만으로 저그 지상병력 다 휩쓸 것 같은데 게다가 캐리어도 방 4업 되면 공3업 골리앗으론 절대 못 잡을겁니다.
17/05/05 00:00
메카닉을 제외한다면 마린이라고 생각합니다. 큰 차이는 없겠지만요.
말씀하신대로 서로 업그레이드를 하면 상쇄되는데요. 문제는 토스는 방어도 올리고 실드도 올려야합니다. 그만큼 손해죠. 업그레이드가 계속 된다면 가격이 만만치 않으니까요. 특히나 실드업은 비싼데. 그렇다고 서로 공격만 올리면 상쇄가 안됩니다. 사거리가 길수록 더 좋아지니까요. 아칸의 경우 접근도 못 할 겁니다. 공/실드업을 해주면서 아칸을 주력으로 쓰기엔, 자원이 부족할거라고 보구요. 그렇다면 드라군이 사거리가 좀 더 기니까 좋아야겠지만, 드라군은 쏘는 방식이 인스던트가 아니라 미사일이라 공격력이 올라갈수록 데미지 손실이 커지거든요. 그런면에서 마린이 조금 더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근데, 스캐럽 데미지 올려주는 리서치도 무한한거라면 그냥 리버에 한 표요.
17/05/05 00:35
메카닉을 제외하면 토스가 유리할 거 같아요. 공업이 중복으로 찍히는 리버가 일단 지상은 다 평정합니다.
거기다 기본적으로 상대 방업을 무시하는 템플러도 있구요.
17/05/05 00:42
어차피 방업이 비슷하다면 공업 효율로 가야되기 때문에 공업 효과가 좋고 사거리가 긴 유닛이 많을수록 좋겠죠.
일단 테란은 지상 메카닉을 빼면 풀업 배틀크루저로 가야할겁니다. 자원만 풍족하다면 제일 좋을거라 생각됩니다. 저그는 공업러커가 사거리도 길고 효율이 좋아서 다크스웜 러커를 잘 활용하면 충분히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장기전으로 갈수록 울트라, 저글링/러커의 업그레이드가 갈려서 불리해질 것 같습니다. 프로토스는 쉴드업이 비싸서 제일 안좋을 것 같긴 한데 드래군이 전천후 유닛이고 사거리도 길고 공업도 효율이 좋아서 의외로 선전할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17/05/05 00:56
어느 정도 업그레이드 비용을 생각한다면 테란이 좋을꺼 같네요 마메만으로 남는 가스를 업그레이드에 돌린다면 자원압박도 타종족에 비해 적을꺼 같고요
17/05/05 01:30
업그레이드 시간/비용 증가폭이 1->2, 2->3과 같다는 전제하에 업그레이드 제한이 풀린다면 3업을 먼저 찍을 수 있는 종족이 4업을 찍을 수 있게 되서 업그레이드 격차가 계속 벌어지게 되는건데, 저그가 가장 불리할 것 같아요. vs 테란전에서 바이오닉 공4업이 가능해진다면 하이브 이후에도 마메상대로 우세를 점하기 어려워지고, vs 플토전의 경우 드라군/아칸의 공업효율이 좋기 때문에 공4업, 5업 이런식으로 계속 찍게된다면 유닛 교환비의 차이가 점점 커질 것 같네요.
17/05/05 07:19
메카닉 제외하면 공업 1회시,
마린 노멀 +1, 파베 스플래쉬 진동 +2 질럿 노멀 +2 , 드라군 폭발형 +2, 다크 노멀 +3, 아칸 스플래쉬 노멀 +3 저글링 노멀 +1, 히드라 노멀 +1, 럴커 스플래쉬 노멀 +2, 울트라 노멀 +3 인데.. 질럿은 방어1당 공격력 2가 줄어드니까 사실상 마린 저글링 히드라는 업그레이드의 영향이 없다고 봐야겠고 정말 무서워지는건 4다템 드랍으로 건물 부수는 것과 럴커밭, 디파동반 저글링드랍 건물테러정도 아닐까요? 다크는 공5업하면 한방이 55, 4다크면 한방에 220;; 럴커는 공5업에 상대 방5업이면 스플래쉬로 25씩 들어감;; 저글링은 그 공속에 공5업이면;;; 확실한건 테란이 제일 약해지겠네요. 그런데 리버가 공업효과 받나요??
17/05/05 10:23
프테전은 아마추어 수준에서는 200싸움 갔을 때 테란이 플토 이기기 쉽지 않을 것 같네요. 이영호급에서는 황밸이거나 그에 약간 못미치는 승률 예상합니다. 예전처럼 반땅 긋고 역전하는 경기는 찾아보기 힘들겠네요.
테저전은 3/3업제한이 있는 레메로 가느냐, 4/4이상으로 갈 수 있는 바이오닉으로 계속 가느냐를 선택해야 하는데 상황 따라서 적절히 대처하면 크게 저그쪽으로 기울 것 같진 않을 듯 하고요. 물론 원래보다는 꽤 저그가 유리해지긴 하겠네요. 저프전은 그냥 원래 상성대로 갈듯. 초반에 자원확보에서 앞선 쪽이 굳히기가 쉬워지겠네요. 플토가 공업효율이 월등하지만 3개 동시에 4/4/4이상 가기가 쉽지 않을 뿐더러, 극후반 공4업,5업 저글링테러가 사기적으로 강력해질듯 하네요. 원래랑 비슷한 수준의 저유리 예상해봅니다. 하지만 메카닉까지 포함하면 그대로 테사기...
17/05/05 11:44
딴소리지만 업효율 최저 유닛은 뮤탈이겠죠. 다른 유닛들은 상대가 업을 따라와도 '상쇄'가 되는데, 뮤탈은 상대가 업을 따라오면 상호 순정 상태보다 약해지는 유일한 유닛이죠. 상호 3/3업이면 쿠션 데미지는 정말 있으나마나..게다가 고테크 유닛이라서 애초부터 업에서 뒤쳐지고 시작하기도 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