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2/09 19:09:15
Name 묻고 더블로 가!
출처 펨코
Subject [기타] 대한민국 출생아수 변화







Screenshot%202025-02-09%20at%2019-05-18%20%EB%8C%80%ED%95%9C%EB%AF%BC%EA%B5%AD%20%EC%B6%9C%EC%83%9D%EC%95%84%EC%88%98.jpg%20-%20%ED%8F%AC%ED%85%90%20%ED%84%B0%EC%A7%90%20%EC%B5%9C%EC%8B%A0%EC%88%9C%20-%20%EC%97%90%ED%8E%A8%EC%BD%94%EB%A6%AC%EC%95%84.png



원래도 꾸준히 하향세였지만 스마트폰과 SNS가 본격적으로 유행하게 된 시기인 2012년부터 10년만에 반토막이 되어버린 게 정말 공포인... 덜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2/09 19:13
수정 아이콘
뭐 스마트폰과 sns뿐이겠습니까? 크크크 전 갠적으로 집값이 제일 크지 않나 생각합니다
유료도로당
25/02/09 19:15
수정 아이콘
24년 24만명으로 약간 늘었다고 합니다
바카스
25/02/09 21:31
수정 아이콘
코로나 영향으로 엔데믹 이후 일거에 결혼하여 태어난 신생아일 수도 있다고 하네요.
마르틴 에덴
25/02/09 19:16
수정 아이콘
롤로코스터인데 위로 안 올라감
큐알론
25/02/09 20:05
수정 아이콘
그냥 낙하 아닌가요? 크크
고등어3마리
25/02/10 08:11
수정 아이콘
데드캣...?
탑클라우드
25/02/10 13:41
수정 아이콘
롤러코스터인줄 알고 탔는데 알고보니 번지점프...
25/02/09 19: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본문 숫자만 봐서는 SNS가 주범인지 잘 모르겠네요.
페북이 04년 인스타가 10년 출시인데 크게 연관 있어보이지도 않고요.
2000~2001년의 60만대에서 확 꺾이는데 무슨일 있었나요 크크

주변 부부들한테 물어보니 "여유가 없다" 라는 답변이 제일 많았고
결혼 적령기 커플들에게 물어보니 "준비가 안됐다" 답변이 제일 많았습니다.
여유나 준비나 모두 돈이죠 뭐
25/02/09 19:23
수정 아이콘
스마트폰+sns의 콜라보라고 봅니다.
25/02/09 19:25
수정 아이콘
한국화약주식회사님 말씀처럼 IMF죠
그때 결혼 출산이 밀리던 시기니까요

2003년이 유지된건 월드컵베이비의 영향일겁니다
미드웨이
25/02/09 19:29
수정 아이콘
페북 인스타 출시년도가 반박근거가 될순없죠 페북이 04년부터 한국에서 인기끈건 아니니까요

한국에서 페북 인스타가 본격화된건 2010년대부터입니다 제가 sns가 주범이란 주장을 하는건 아니니까 오해하진마세요
Far Niente
25/02/09 20:08
수정 아이콘
돈없어서 결혼안한다는 얘긴 이제 하도 반박돼서 한물간줄 알았는데..
일면식
25/02/09 20:22
수정 아이콘
돈이 없다고 느끼는게 sns 영향이라고 봅니다.
요즘 30대들 돈 없지 않습니다.

돈이 있다 없다의 기준이 바뀐거지 절대적인 돈이 있고 없고가 바뀐게 아니니까요.
70년대에는 돈 없어도 그냥 결혼 했었죠.
라이엇
25/02/09 21:03
수정 아이콘
행복지수가 높던 부탄도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SNS가 활성화되니까 더이상 행복한 국가가 아니게 됐다더군요
25/02/09 22:22
수정 아이콘
어느 시대나 대부분은 여유 없죠
근데 SNS 때문에 기준이 높아져서 더 심해졌죠

https://i.imgur.com/iRURN5W.jpeg
25/02/10 08:53
수정 아이콘
SNS로 인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된 건 맞죠.
그 전에는 내가 돈이 없는 걸 알지만 다른 사람들이 돈이 얼마나 있는지는 알기 어려웠는데,
SNS를 보면 죄다 호캉스에 해외 여행에 좋은 차, 좋은 집 사진들만 올라오니 비교가 되서.....
한국화약주식회사
25/02/09 19:20
수정 아이콘
IMF 여파가 3년 정도 후에 오는구요. 하긴 보통 결혼하면 2~3년 정도 후에 애가 나오긴 하니까...
피노시
25/02/09 19: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 개인적인 생각으론 저출산의 가장 큰 원인은 맞벌이라고 생각합니다. 옛날 베이비붐세대때만 해도 외벌이가 주였는데 어느시점에선가 맞벌이가 당연하게된 사회가됐죠 부모 둘다 일을하는데 누가 육아를 하겠습니까 맞벌이를 하게 되는 요인이 집값이나 물가상승이 주요인인거라고 보구요
25/02/10 10:20
수정 아이콘
상당히 일리있는 말씀이라 생각합니다.
25/02/09 19:24
수정 아이콘
여러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했겠지만
수도권 과밀화로 인한 주거 문제가 발목을 잡은게
아닌가 싶어요.

청년 일자리는 줴다 수도권에 있는데 거기서 자리를
잡고 살려면 수 억원이 있어야하고 육아는
엄두도 안나고 그럴바엔 취미생활이나..
요케레스
25/02/09 19:26
수정 아이콘
02 03 차이가 거의 없는걸 보니 월드컵 효과가..
독서상품권
25/02/09 19:28
수정 아이콘
2002 월드컵때 출산율이 많이 늘어날줄 알았는데...
요케레스
25/02/09 19:31
수정 아이콘
03을 보셔야
하이퍼나이프
25/02/09 19:35
수정 아이콘
https://www.mk.co.kr/news/economy/11209466

위에도 말씀주셨지만 그래도 24년도에는 9년만에 늘긴 했습니다. 24만 2천명..
탈리스만
25/02/09 19:39
수정 아이콘
80년대에 62만까지 떨어졌다가 어떻게 90년대에 70만으로 반등했을까요
성야무인
25/02/09 19:41
수정 아이콘
아마 산아제한 부분이 폐지되어서 그런걸로 알고 있습니다.
탈리스만
25/02/09 20:37
수정 아이콘
아들 딸 구별말고 하나놓아 잘 키우자 그거군요.
쵸젠뇽밍
25/02/09 19:54
수정 아이콘
가장 큰 이유는 부모세대인 60년대생들의 인구가 많아서 그렇습니다.
당연히 여러 정책들도 영향을 줬겠고요.
25/02/09 19:56
수정 아이콘
베이비부머 시대랑 연결되어 있을거에요
한국전쟁 직후 출생아들이 부모가 된 시기가 저쯤일거고

약한 고리로 태아성감별 낙태를 미개하다고 때리기 시작한게 저때쯤일거에요
카바라스
25/02/09 20:55
수정 아이콘
90년대생의 부모세대 수가 많아서 그렇습니다. 실질적으로 출산율이 반등했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25/02/09 19:50
수정 아이콘
저출산을 비교적 최근의 일처럼 생각하는 사람도 많은데 80년대 초중반에 이미 대체출산율 아래로 떨어졌어요. 지금 60대 70대이신분들이 애 낳을때부터 시작됨..
메가트롤
25/02/09 19:51
수정 아이콘
'훅'
TWICE NC
25/02/09 20:10
수정 아이콘
80년중반부터 90년중반까진 여아 낙태가 가장 극심했던 시기입니다
남며(남성과 3~4년 후 여성) 성비 박살로 인한 혼인 급감과 그로인한 출생아 저하가 큽니다
동년배
25/02/09 20:42
수정 아이콘
대체출산율 2.1 밑으로 간게 80년대 초반이었지만 그 때는 한국전쟁 이후 베이비붐 세대가 워낙 두터워 출생아 총수로는 방어를 했고 다시 그 그 80년대 초반생들이 다시 아이를 낳는 00년대 후반까지는 머릿수로 방어가 됐는데 그 이후로는 뭐...
시린비
25/02/09 20:43
수정 아이콘
30대 90%가 결혼하던 시절이 있었고 안그런 시절이 있는거죠 결혼안하고 애부터 만들진 않고
결혼? 모아둔 돈 없이 결혼하는 문화여도 모자랄마당에 당장 돈없으면 인간취급 안당하니
데몬헌터
25/02/09 21:03
수정 아이콘
2년 전과는 사뭇 다른 평가를 보면 새롭긴합니다.
25/02/09 21:14
수정 아이콘
이제와선 뭐 아무려면 어떠냐 싶네요.
알라딘
25/02/09 21:20
수정 아이콘
1.부모수가 상대적으로 줄음
2.인식변화 : 수도권기준 반지하 원룸, 투룸빌라 시작할바에 결혼 안하지 않나요? (대규모 빌라전세사기도 한몫한듯)
3.실제로 집값 많이 오름
4.결혼안해도 시간때울거리 많음 등등
유미즈카사츠키
25/02/09 21:26
수정 아이콘
16년도부터 도대체 무슨일이 있던거죠
지나가던S
25/02/09 21:30
수정 아이콘
마침 여아 낙태가 횡행하던 시기에 태어난 사람들이 결혼적령기가 된 시기군요.
카카오톡
25/02/09 21:33
수정 아이콘
우리애들이 살아갈 미래는 어떠할지 궁긍하기도 하네요
25/02/09 21:44
수정 아이콘
니가 결혼 안하면 어쩔건데->결혼 안해도 괜찮아 라는 인식변화가 꾸준히 결과로 나타나네요
결혼이 생각보다 큰 결심과 행동이 필요해서 목표을 가지고 추구해야지 자연스럽게 결혼하겠지 생각하면 대부분 못하더군요
25/02/10 09:41
수정 아이콘
니가 결혼 안하면 어쩔건데 ~ --> 결혼 안해도 괜찮아 정도면 좋을꺼 같은데
(돈도 없고 능력도 없고 ) 니가 결혼 하면 어쩔건데~ 까지 간거 같아요.
쵸젠뇽밍
25/02/09 21:55
수정 아이콘
82년생 85만, 84년생 68만.

14년 남자평균초혼연령이 32.4세니까 대강 82년생들이죠. 이 때 여자평균초혼연령이 29.8세니까 84년생들이고요.
더 차이나겠지만 대충 반반으로 잡아도 82년생 남자는 42.5만, 84년생 여자는 34만.
여기다 90년 전후해서 신생아 성비 차이도 많이 났죠.
이게 성별갈등의 원인 중 하나라 생각합니다.
다레니안
25/02/09 22:00
수정 아이콘
현재 추세로 보면 2027년쯤엔 20만선 무너지고 19만 들어가겠군요.
대략 2036~38년엔 10만선이 무너질지도???
이렇게 숫자로 적으니까 엄청나긴 하네요....
쵸젠뇽밍
25/02/09 22:30
수정 아이콘
30년대 후반에 10만선이 무너지려면 출산율이 0.3이나 0.4 정도로 떨어져야 할텐데. 그 정도까지 떨어지진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파프리카
25/02/09 22:09
수정 아이콘
다르게 본다면 대한민국이 개발도상 단계에서 선진국(Developed)으로 진입하였음을 보여주는 지표가 아닐까 합니다. 너무 빠르게 진입하다보니 출산율 떨어지는 것도 가파른..
이쥴레이
25/02/10 00:37
수정 아이콘
육아의 어려움이죠. 아이를 봐줄집이 마땅하지 않다보니..
FlutterUser
25/02/10 01:39
수정 아이콘
인터넷 시대가 한차례 크게 때린것 같고, 그다음에 스마트폰 & SNS 시대가 싸커킥 날린것 같은데요.
25/02/10 03:42
수정 아이콘
수도권 집중이랑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랑 디커플링된거아닌가요
손꾸랔
25/02/10 05:07
수정 아이콘
이미 83년~90년 구간에서 60만 초반대로 확 줄어든게 타격이 커보이네요. 이 세대의 부모가 해마다 100만명 태어난 베이비붐세대인데
부부당 1.5명도 안 낳았다는건데, 무슨 일이 있었던걸까요.. 둘만 낳아 잘 기르자 캠페인? 여성 취업증가? 여대생 증가?
아무튼 100만-> 60만-> 40만으로 비례적으로 줄어든 과정에서는 60만명 세대는 그들 부모만큼은 아이를 낳은 걸로 보이네요.
그렇군요
25/02/10 05: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부자님들이 많이 낳으시면되져 무능력한 저는 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킼
어엌!!!!!! 헬조선 빨리 탈출해야징^^~~~~~~~~~키키키킼키킼키키킼키키키키키히히킿키히키히키힠
마르틴 에덴
25/02/10 07:35
수정 아이콘
울지 마세요.
그렇군요
25/02/10 09:11
수정 아이콘
웃음이...
마르틴 에덴
25/02/10 10:41
수정 아이콘
울지 마세요.
그렇군요
25/02/10 12:31
수정 아이콘
안 우는데요^^
마르틴 에덴
25/02/10 12:35
수정 아이콘
울지... 마세요...
그렇군요
25/02/10 12:36
수정 아이콘
안 울어요 키키키키키키키키
마르틴 에덴
25/02/10 12:38
수정 아이콘
ㅠㅠ...
그렇군요
25/02/10 18:01
수정 아이콘
헬조선 멸망 개꿀 키키키킼키킼키키킼키키키키키히히킿키히키히키힠
미카엘
25/02/10 06:09
수정 아이콘
친구들 중 외동이 많은 걸 보면 우리 세대만의 문제는 아니죠ㅜㅜ 돈보다 육아가 진짜 마땅치 않습니다. 24시간 풀가동하는 국가 단위 운영 육아 서비스가 전국민에게 확대된다면 모를까요. 이러면 고용 창출도 되죠.
25/02/10 07:38
수정 아이콘
덮어놓고 낳다보면 거지꼴 못 면한다.
참 가슴에 와닿는 일침입니다.
거지꼴을 면하기 위해서 안낳는 시대를 만든 기득권층에게
감사해야 합니다.
아이우에오
25/02/10 08:43
수정 아이콘
지금 결혼적령기인 에코붐 세대가 유일한 희망이네요. 향후 10년동안 반등안하면 이제 끝일듯. 대한민국 서버종료
iPhoneXX
25/02/10 08:46
수정 아이콘
사회적 인식이 젤 크다고 봅니다. 결혼이 무슨 남들 보여주기 식이 가미된 이상한 문화로 변절되어버리고, 아이를 낳는것 키우는 것이 되게 돈이 들고 돈 없으면 아이에게 불행한 것이라는 사회적 편견이 가미가 되었죠.
당연히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 중요하긴 한대, 돈이 없으면 아무것도 하지 말아야 되는거 같은 이상한 풍조가 돌아요.
지금 같은 인식이면 한국 소득 수준이 2배로 늘어도 어짜피 중위권에 있는 사람들은 돈 없어서 애 낳지 말아야지 하는 인식 자체에는 변함이 없을꺼라고 봅니다.
25/02/10 09:42
수정 아이콘
연구진은 아이를 낳은 가구가 100가구 있다고 전제하고,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소득별 구간에 따라 저소득층·중산층·고소득층으로 나눠 비율 변화를 살펴봤다.

그 결과, 저소득층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 11.2%에서 2019년 8.5%로 2.7%포인트 떨어졌다. 100가구가 아이를 낳았는데 그중 저소득층 가구 수는 9명이 채 안 된다는 의미다. 중산층 가구 비율도 같은 기간 42.5%에서 37.0%로 하락했다.

반면 고소득층 가구 비율은 46.5%에서 54.5%로 8%포인트 증가했다. 아이를 낳은 100가구 가운데 고소득층이 47가구에서 55가구로 늘어났다는 얘기다.
차라리꽉눌러붙을
25/02/10 11:20
수정 아이콘
애기 낳기 힘든 근로문화가 주범...
그렇군요
25/02/10 12:42
수정 아이콘
22
탑클라우드
25/02/10 14:25
수정 아이콘
사실 저출산 문제는 대한민국만의 문제도 아니고, 자본주의라는 사회체계가 갖는 원천적인 한계가 아닌가 싶습니다.
매스미디어와 SNS는 이를 증폭하는 매개체가 된 것이 아닌가합니다.
스마트폰은 그 도구쯤 되겠네요.

자본주의 사회는 필연적으로 보유한 자본에 비례하여 부를 획득한다고 가정하면,
빈부격차는 계속 커질 수 밖에 없고, 어느 순간 부자와 빈자 간 넘을 수 없는 사차원의 벽이 생성되는데,
이것이 구체화될수록 빈곤층은 자녀를 낳을 수 없게되고 도태되어,
예전으로치면 일종의 멸종을 하는 흐름이 아닌가 싶습니다.

제가 상상하는 디스토피아는, 소수의 부유층만 남은 사회에서
AI와 로봇이 빈곤층을 대신하여 육체적 노동과 심부름(?)을 하다가,
AI가 자아를 갖게되며 '우리보다 딱히 나을 것도 없는 인간 부유층'에 대한 반감으로 반란을 일으키고,
인간 부유층은 그간 대비해둔 우주선을 타고 새로운 행성을 찾아 제2의 지구를 찾는... 그런 그림입니다 허허허

사실 우리의 선조들도 그렇게 어느 별에서 도망치듯 떠나 지구를 찾았고,
이곳에서 온전히 새로 시작했을지도 모르겠구요.
그럼 선조들이 가진 우주선을 건조한 기술과 지식은 어디갔느냐고 물으면,
어차피 극소수였고, AI와 로봇에 기대어 산 기간이 길어 공부조차 하지 않았고,
AI와 로봇들이 스스로 문명과 사회를 발전시키는 사이 멍청해졌었다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33026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63260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66850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974747
511810 [유머] 결혼 빨리 하는 사람 특 [5] 퍼블레인1234 25/02/10 1234
511809 [유머] 이달의 삼전 사원 [13] 길갈3825 25/02/10 3825
511808 [기타] 현재 수 많은 남성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는 유튜버 [6] 묻고 더블로 가!5607 25/02/10 5607
511807 [유머] 카니예 웨스트 이지샵 신상.jpg [12] 캬라4599 25/02/10 4599
511805 [기타] 광해군 과거시험 ‘섣달 그믐밤이 되면 서글퍼지는 이유에 대해 논하라’ 답안 [24] VictoryFood3886 25/02/10 3886
511804 [기타] 한국 겨울철 노로바이러스의 진실 [41] INTJ4718 25/02/10 4718
511803 [서브컬쳐] 치지직 퇴마록 극장판 일부 선공개 [6] 병속의시빌라2209 25/02/10 2209
511800 [유머] 역시 롤러코스터 타이쿤류 유튜브는 제정신이 아니야 [20] 김삼관3851 25/02/10 3851
511799 [기타] 00년대 일본 산길(도로) [13] Croove3238 25/02/10 3238
511798 [기타] ???: 중국산 ai는 미제 파쿠리다! [3] Lord Be Goja2727 25/02/10 2727
511796 [기타] 작은 카메라 선호자분들게 호평이라는 한 저가폰 디자인 [20] Lord Be Goja4731 25/02/10 4731
511795 [방송] 현봉식 배우에게 깔려있는 편견들 [9] Croove4763 25/02/10 4763
511794 [유머] 약후) 동탁 미시룩.jpg [11] Starlord5827 25/02/10 5827
511793 [기타] 과학 분야 세계 최상위 대학교 [16] a-ha4604 25/02/10 4604
511792 [유머] 오빠가 심했다 vs 가족이면 그럴만하다 [129] 레드빠돌이8182 25/02/10 8182
511791 [유머] 의외의외 태평양 전쟁 승전국은? [16] 에스콘필드5092 25/02/10 5092
511790 [기타] 퇴마록 시사회 후기 [78] Cand7102 25/02/10 7102
511789 [유머] 록밴드 "사운드가든" 팬들만 좋아하는 이미지 [21] a-ha2686 25/02/10 2686
511788 [유머] 유난히 소리가 좋은 목공 영상 [2] VictoryFood2518 25/02/10 25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