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2/10 14:14:12
Name 닉언급금지
Subject [일반] 딥 시크 이거... 야잘알이네요.
불현듯 갑자기 냉택없이
아웃 오브 더 파크 베이스볼 게임이 해보고 싶어졌습니다.
그래서
felo, 퍼플렉시티 그리고 딥시크에게
아웃 오브 더 파크 베이스볼 게임에서 운영할 팀을 골라달라고 말했습니다.

차례대로 펠로, 퍼플, 딥시입니다.

펠로
"추천 국가 및 리그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MLB): 미국의 MLB는 가장 인기 있는 리그로, 다양한 팀과 선수들이 존재합니다. 초보자는 유명한 팀인 LA 다저스나 뉴욕 양키스와 같은 팀을 선택하면 강력한 선수들로 시작할 수 있어 유리합니다.

한국 프로 야구 (KBO): OOTP 25는 KBO 리그도 포함하고 있어, 두산 베어스나 LG 트윈스와 같은 팀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KBO는 MLB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난이도로, 초보자가 쉽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

마이너 리그: 마이너 리그 팀을 선택하면 선수 개발과 관리의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트리플 A 팀인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의 엘 파소 치ihuahuas와 같은 팀을 선택하여 선수들을 키워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추천 팀
LA 다저스: 강력한 투수진과 타선으로 초보자가 쉽게 승리할 수 있는 팀입니다.

두산 베어스: KBO에서 인기 있는 팀으로, 안정적인 선수 구성으로 초보자가 관리하기에 적합합니다.

뉴욕 양키스: 역사적으로 성공적인 팀으로, 많은 자원을 활용하여 팀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뭔가 무난무난한 추천입니다.

퍼플렉서티

추천 국가 및 리그: KBO(한국 프로야구)49
이유:
KBO 라이선스: OOTP 25는 KBO 라이선스를 포함하여 한국어 버전을 지원하므로 몰입감을 높여줍니다9.
친숙함: 한국 야구팬이라면 KBO 팀과 선수들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게임을 더 쉽게 즐길 수 있습니다4.
튜토리얼: OOTP 23부터 튜토리얼 기능이 추가되어 야구팬을 위한 가이드가 제공되므로 초보자가 게임에 쉽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4. OOTP 커뮤니티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새로운 튜토리얼이 지속적으로 추가될 예정입니다9.
추천 팀: LG 트윈스2
이유:
균형 잡힌 전력: LG 트윈스는 KBO 리그에서 비교적 균형 잡힌 전력을 가지고 있어 초보자가 운영하기에 적합합니다.
다양한 전략 시도: LG 트윈스의 선수 구성을 통해 다양한 전략을 실험하고 적용해볼 수 있습니다.
코치진 활용: OOTP 22 에서는 코치들과의 관계가 중요합니다2. 훌륭한 코치진을 구성하여 선수들의 능력치를 향상시키고 팀의 전반적인 성적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
엘쥐를 추천하다니 이 녀석.... 킹치만 난 꼴데팬인 걸....

마지막으로 요즘 핫한 딥시크
r1 끄고 물어봤습니다.
1. 추천 국가/리그/팀
1.1 미국 메이저리그 (MLB) - 시카고 화이트삭스
추천 이유: 메이저리그는 OOTP에서 가장 인기 있는 리그로, 초보자도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시카고 화이트삭스는 현재 리빌딩 단계에 있어 선수 육성과 트레이드 전략을 연습하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팀의 재정 상태가 안정적이어서 초보자가 부담 없이 운영할 수 있습니다59.

1.2 한국 KBO 리그 - 롯데 자이언츠
추천 이유: KBO 리그는 메이저리그보다 규모가 작고, 선수 관리가 비교적 단순합니다. 롯데 자이언츠는 중위권 팀으로, 초보자가 팀을 재건하거나 강팀으로 만드는 과정을 경험하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한국어 지원이 잘 되어 있어 언어적 장벽이 낮습니다10.

1.3 일본 NPB 리그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추천 이유: NPB는 메이저리그와 KBO의 중간 정도 규모로, 초보자가 선수 관리와 전략을 연습하기에 적합합니다.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는 강팀은 아니지만, 젊은 선수들이 많아 육성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
이 녀석... 역시 사람들 사이에 회자되는 이유가 있군요.
r1켜고도 해볼까하다가.... 마상입을 것 같아서 그냥
넷플에 올라온 스토브리그도 다 봤겠다.
딥시크의 추천대로 롯데로 해볼까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FlutterUser
25/02/10 14:20
수정 아이콘
아.. 야구 였구나..
25/02/10 15:22
수정 아이콘
일상생활 가능하십시다 ㅠㅠ
FlutterUser
25/02/10 15:55
수정 아이콘
크크....댓글 보니 저 혼자만 그런게 아니었다는것에 위안을...크크..
25/02/10 14:22
수정 아이콘
아.. 야구 였구나..(2)
25/02/10 14:25
수정 아이콘
롯데 자이언츠는 중위권 팀으로, 초보자가 팀을 재건하거나 강팀으로 만드는 과정을 경험하기에 적합합니다. 

응?
25/02/10 14:27
수정 아이콘
아.. 야구 였구나..(3)
VanVan-Mumani
25/02/10 14:33
수정 아이콘
크크 뭔가 실망하시는 분들이 많이 오셨는데 딥 시크는 여러분들이 기대하시는 부분에서도 능통하다고 합니다. 서양권 AI들은 검열 이슈 때문에 기대하시는 대답을 받기 위해선 살살 돌려서 원하는 답을 끌어내야 하는 '탈옥' 기법이 필요한데, 딥시크는 살짝만 건드려도 자기 혼자 공중제비 돌면서 대유쾌 마운틴에 올라가버리기 때문에 오히려 '투옥'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남궁형은 그런 지식들을 어찌 알고 있냐고 물으신다면 그건 알려드리기 싫습니다.
한화우승조국통일
25/02/10 14:44
수정 아이콘
얼마 전에 김경문감독 올해 사주 좀 봐달라고 했더니 "초반에 줄부상으로 꼬라박다가 후반에 으쌰으쌰해서 반등할 거다. 예상순위는 5등~7등" 이러더라고요. 너 이자식 사주로 본 거 맞지...? 싶었습니다
25/02/10 15:00
수정 아이콘
사주로만 구단 순위를 예상하는 것은 재미로 보셔야 합니다. 사주는 개인의 운세와 성향을 보는 도구이며, 팀의 성적은 선수들의 능력, 팀워크, 경기 전략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됩니다. 하지만 감독님의 사주가 팀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고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은 예측이 가능합니다.

김경문 감독님의 2025년 사주 흐름에 따른 예상

긍정적 요소: 2025년은 '乙巳년(을사년)'으로, 감독님의 부족했던 열정과 추진력이 보완될 수 있습니다. 또한 경쟁심과 변화의 기운이 강하게 작용해 새로운 도전과 혁신적인 경기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도전적 요소: 감독님의 사주에서 기운이 너무 과열되면 오히려 조급한 경기 운영이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팀 전체의 조화와 균형이 중요합니다.


구단 순위 예상 (사주 기준)

김경문 감독님의 사주가 긍정적인 변화를 시사하는 만큼 4위~6위 정도의 중상위권에 진입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플레이오프 진출을 노릴 수 있는 성적이지만, 최상위권인 1위 또는 2위로 가기 위해서는 팀 내부의 경기력과 부상 관리 등 여러 변수들이 함께 작용해야 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한화 이글스는 감독님의 사주상 올해 팀 분위기와 성적에 긍정적인 흐름이 기대되나, 순위 상승의 핵심은 경기력 유지와 선수단 관리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김경문 감독님은 1958년 12월 11일생이시네요.
방금 돌려본 Chatgpt o3-mino-high 의 답변입니다.
가을야구만 가도 어디냐 싶긴 하네요 크크크크
팀 창단 사주로 봐야 하나.......
25/02/10 14:57
수정 아이콘
이거...아니잖아요
다른 거 찾은거 공유해주세요
철판닭갈비
25/02/10 15:16
수정 아이콘
아..기대하면서 눌렀는데 야구였군요...
사업드래군
25/02/10 15:18
수정 아이콘
아... 야구...
리처드 파인만
25/02/10 15:29
수정 아이콘
??? : 딥시크야 피지알에서 어그로 끌 수 있는 제목 알려줘
25/02/10 15:29
수정 아이콘
크크크 저만 속을 수 없으니 추천 눌렀습니다
전기쥐
25/02/10 15:35
수정 아이콘
야..구였군요.
SkyClouD
25/02/10 15:38
수정 아이콘
왜 야구죠...?
25/02/10 15:48
수정 아이콘
전 야구라도 괜찮습니다
TWICE NC
25/02/10 16:07
수정 아이콘
딥시크가 23년까지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니 23년 우승팀인 엘지 추천한거죠
레드로키
25/02/10 17:50
수정 아이콘
OOTP 재밌나요. FM 좋아해서 야구도 한번 해볼까 하다 말았는데
탑클라우드
25/02/10 17:53
수정 아이콘
아아... 잊고있던 단어인데 OOTP라니... KBO 정식 라이센싱이라고...??
25/02/10 20:11
수정 아이콘
ootp npb 안 된지 좀 됐는데
딥시크 노오력이 부족하다
사이먼도미닉
25/02/10 21:59
수정 아이콘
그쪽도 잘 아는 거 같은데 얘기를 잘 안 해줌ㅠ
Zakk WyldE
25/02/10 23:20
수정 아이콘
롯데는 중위권인가…

7위면 하위권 아닌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290882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49882 10
공지 [일반] [필독]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51] OrBef 16/05/03 471135 31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0197 3
103740 [일반] 대전 초등학교에서 7세 여아가 흉기로 살해된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50] 매번같은7553 25/02/10 7553 1
103739 [일반] 사카모토 유지가 집필한 일본 드라마 ‘콰르텟’의 대사들 [10] 투투피치2686 25/02/10 2686 3
103738 [일반] 영국의 인도 통치, 정치적 영향력은 곧 경제적 이익 [3] 깃털달린뱀2414 25/02/10 2414 9
103737 [일반] (삼국지) 남중 정벌 : 북벌의 전초전 (2) -끝- [7] 글곰1746 25/02/10 1746 10
103736 [일반] 딥시크가 그냥 나온 게 아니네요. 중국 과학기술 연구력이 대단하네요. [180] 전기쥐8865 25/02/10 8865 7
103708 [일반] [공지]자유게시판 비상운영체제 안내 [205] jjohny=쿠마10460 25/02/08 10460 17
103707 [일반] [공지]자유게시판 운영위원을 상시 모집합니다. jjohny=쿠마1924 25/02/08 1924 9
103733 [일반] 딥 시크 이거... 야잘알이네요. [23] 닉언급금지5521 25/02/10 5521 1
103729 [일반] 시리즈 웹소설 추천 - <배움의 어머니> 서양식 타임루프 아카데미물. [25] Restar1718 25/02/10 1718 8
103728 [일반] [서평]《명령에 따랐을 뿐!?》 - 부도덕한 명령에 저항하는 길을 찾고자 한 어느 신경과학자의 분투 [14] 계층방정2247 25/02/10 2247 6
103727 [정치] 민주주의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게 된 방송. [19] 굿샷6191 25/02/10 6191 0
103726 [일반] <9월 5일: 위험한 특종> - 미디어의 맨얼굴을 보다.(노스포) [11] aDayInTheLife3156 25/02/10 3156 5
103725 [일반] 생성형 AI 뭘 써야 할까? 유료결제가 필요할까? - 모델 별 평가와 가이드 [117] Quantumwk6562 25/02/09 6562 19
103724 [일반] [일상수필] 성공(LSD)과 실패(딸기케이크) 그리고 어머니의 꽃게탕은 맛있고 [5] 판을흔들어라1998 25/02/09 1998 0
103723 [일반] 과연 결혼과 출산율은 올라갈수 있을것인가?? [108] 한사영우6441 25/02/09 6441 7
103722 [일반] 유료화 임박 웹툰 추천-<이발소 밑 게임가게> 부제: 명불허전 하일권 [9] lasd2413435 25/02/09 3435 4
103721 [일반] 마우스 포테이토에서 MY FAMICOM EXHIBITION 을 관람하고 왔습니다. [2] 及時雨1084 25/02/09 1084 2
103719 [일반] 웹소설은 왜 이렇게 되었을까? [106] 김김김6106 25/02/09 6106 18
103718 [일반] 무엇이 한국을 분열시킬 수 있는가 [67] meson5416 25/02/09 5416 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