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0/09/28 22:03:34
Name 다리기
Subject 간단한 화학(?)관련 질문 몇 가지.. 읽어주세요ㅠㅠ
1. 얼음이 물보다 부피가 적다면 - 밀도가 크다는 말이겠죠? - 강이나 호수, 바다까지 얼버린다는데...

이게 맞는 말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물 속에 있는 생물들은... 몰살인가요?;;


2. 그리고 융해, 응고, 승화 라는 용어들 중에서

고체에서 기체가 되거나 기체에서 고체로 변하는 것을 통칭해서 승화라고 부르는데요

둘을 구분해 쓸 수 있는 용어가 있을까요?


3. 메탄올의 MSDS에 대한 자료를 구할 방법이 있나요?


모든 댓글 감사히 받겠습니다 흑흑.. 조금 급하네요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금만나러갑니다
10/09/28 22:16
수정 아이콘
1번만 보자면... 밀도 = 질량/부피
질량이 같을때 얼음이 물보다 부피가 크죠?
그러니 물보다 얼음의 밀도가 더 작다는걸 알수 있습니다. 그로 인해 겨울철 호수가나 강이 얼때
얼음이 생성되면 밀도가 작은 얼음들은 위로 떠오르죠. 그래서 윗부분부터 점차 얼게된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윗부분부터 얼음이 얼게되면?? 당연히 아래에 있는 물들은 윗부분이 다 얼어버려서 보온효과? 가 되어서 잘 안얼게 됩니다.
그래서 얼음 속의 물안에서 물고기들이 겨울철에도 잘 사는겁니다.

그런데 얼음이 물보다 부피가 작다면??????
당연히 얼음은 아래서부터 얼게되고.. 결국 많이 낮지 않은 온도에서도 강이나 호수는 그냥 다 얼어버립니다.
그러면 호수나 강 안에 있는 물고기들도 다 얼어 죽게되는겁니다.

2번은 아마.. 승화가 둘다 표현하는거 맞구요.. 다른표현있는지 까지는 모르겠네요

3번은.. Pass --;; 아마 논문위주로 찾아보면 있을듯 합니다.. 귀차니즘.....
블루마린
10/09/28 22:22
수정 아이콘
1. 네. 정확히는 어떠한 '단위 질량당' 부피가 적다는 얘기겠죠. 그것의 역이 밀도의 정의이기도 하고요. 만약 물의 독특한 수소 결합에 의한 결정구조로 인한 액체->고체 상태로의 부피 증가라는 특징이 없었다면, 지금같은 형태의 해양 생물이 존재할 가능성은 상당히 낮아졌을 것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2. 한글로는 고->기, 기->고의 상태 변화를 전부 승화라고 부르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영어로는 전자는 sublimation, 후자는 deposition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알고 있고요.

3. 밑에 주소를 여시면 몇가지 목록이 나오는데 원하시는게 pure MeOH에 대한 것이라면 두번째에 99.9퍼짜리에 대한 MSDS를 여시면 될 것 같습니다.
http://www.sigmaaldrich.com/catalog/Lookup.do?N5=All&N3=mode+matchpartialmax&N4=methanol&D7=0&D10=methanol&N1=S_ID&ST=RS&N25=0&F=PR
10/09/28 23:57
수정 아이콘
solid -> gas
gas -> solid
둘다 sublimation[승화]입니다.

deposition은 liquid -> solid라도 쓸 수 있죠.
gas -> liquid도 deposition이라고 부를 수 있을것 같고요.
Minkypapa
10/09/30 18:57
수정 아이콘
http://avogadro.chem.iastate.edu/MSDS/methanol.htm 메탄올 자료네요. (구글 검색 1순위)

승화는 둘다 sublimation으로 쓰면 됩니다.

1번 가정에서 물이 밑에서부터 얼지는 않습니다. 위에서 부터 얼게 되어있습니다.
얼음이 무거우므로 가라앉아 차곡차곡 쌓이다보면 다 얼게 되는 방식입니다.
빙산들이 바다속에 가라앉아 있다고 생각해보세요. 수면에서 계속 얼고 밑으로 내려갑니다. 그래서 전체가 얼게 됩니다.
수중 생물이 살기엔 공간도 부족하고 산소도 부족 (이문제는 물이 얼음이 되는 과정중에 공기를 포함해서 부피가 커진다는 사실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달렸지만) 해서 생존 확률이 떨어집니다.

또한 일단 겨울에 강물이 얼게되면 현실처럼 봄날 햇살에 살짝 위에만 녹이면 흐르는 물이 있는것과는 달리
엄청나게 큰 얼음덩어리이기 때문에 쉽게 잘 녹지 않습니다. 지구표면은 물이 2/3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큰 파장이 있을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1980 교편을 선물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DEICIDE1892 10/09/29 1892
91979 수학문제 질문드립니다. [2] 100원의기적4673 10/09/29 4673
91978 질문.. [3] 신동v1290 10/09/29 1290
91977 경찰 콘도 질문드립니다. [3] 초식남 카운슬러3316 10/09/28 3316
91976 DMC-G10 어떻나요?? [5] K21 IFV1328 10/09/28 1328
91975 사물놀이 관련 질문입니다. [1] The Greatest Hits1307 10/09/28 1307
91974 트위터란게 아이폰을 위해서 만들어진건가요? [7] Bikini2121 10/09/28 2121
91973 회갑연 때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어떤 것이 있을까요? amoelsol1548 10/09/28 1548
91972 대학생.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질문.. [13] 라랋2402 10/09/28 2402
91971 간단한 화학(?)관련 질문 몇 가지.. 읽어주세요ㅠㅠ [8] 다리기1534 10/09/28 1534
91970 스타2 저그 건물 피가 안차나요? [4] ski~2142 10/09/28 2142
91969 여러분이라면 누굴 선택하시겠습니까? [20] [KIA]윤석민2850 10/09/28 2850
91967 [알파스캔 프레스티지 T242DHS 무결점] 모니터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오지마슈1920 10/09/28 1920
91966 만화 제작을 어떻게 검색, 의뢰해야 할까요? [2] 주먹이뜨거워1395 10/09/28 1395
91964 디카 작티 시리즈 모모홍차1482 10/09/28 1482
91962 KT 컨트리락 해제된 핸드폰 관련질문입니다 [1] 루나라이온즈1636 10/09/28 1636
91961 모니터가 안 나와요.. 오야붕1779 10/09/28 1779
91960 핸드폰 구입할때 용어 질문입니다. [7] NoNo1686 10/09/28 1686
91959 플레이오프 29일 티켓 구할수 있는 방법 있나요? [1] MeMoRieS1538 10/09/28 1538
91958 컴퓨터 정리하는 법 [2] 허느님맙소사1626 10/09/28 1626
91956 계촌표 쉽게 외우는 방법 있나요 [1] 슈듸1763 10/09/28 1763
91955 어제 소개팅을 했습니다. 이후 애프터를 하려고하는데 조언좀 해주십시요. [13] 고고3320 10/09/28 3320
91954 [WOW] 세기말복귀, 사장개념 여쭤봅니다. [10] 어이없다1613 10/09/28 16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