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5/13 01:44
테란이 원팩 더블하고 천천히 전진해서 삼룡이 먹은 다음에 그 라인을 유지하면서 타스타팅까지 먹으면 토스 입장에서는 이걸 들어가야 하나 말아야 하나 참 난감해지더군요. 리콜은 터렛신공 + 마인으로 막습니다.
10/05/13 02:16
나머지는 타이밍러시죠. 타이밍 러시 아니고 제2멀티 먹으면서 하는 운영은 힘들어요.
5팩 타이밍이면 공1업 까지 하는 타이밍이 좋습니다. 8분 30초 공1업 타이밍러시가 젤 무난하고 좋은거같아요.
10/05/13 02:18
원팩 더블 팩토리 늘리면서 엎어지기 삼룡이 먹으면서 벌쳐 다수생산 본진에 마인도배 및 멀티견제( 견제도 아닙니다 벌쳐 그냥 막꼬라 박습니다. 크크)
리콜 할테면 해봐라. 나 여기 있는거 시즈 다풀고 님한테 고고싱할거임.
10/05/13 02:37
StarT말씀대로 공1업 5팩 타이밍 잡으면서 멀티 가져가면서 토스의 추가 멀티를 벌쳐로 견제하고 2-1업 타이밍에 아비터 뜰때 한발짜국 더 전진해서 탱크 포격이 상대 게이트 랠리 찍힌곳에 닿게 하면 알아서 꼬라박아줍니다.
10/05/13 02:40
벽타고 슬금슬금 전진하면서 야금야금 멀티먹으면 토스가 딱히..
무리하게 전진하다가 탱크부대 끔살당하거나 하면 물론 피곤하죠 12시 6시처럼 대각 나오면 배럭 엔베 서플 공사하면서 <자로 전진하면 괜찮더라구요..
10/05/13 07:10
저같은 경우에는 스타일상 힘싸움은 피하고 견제위주로 운영을 하는 스타일이라서..
벌쳐로 동시에 여러군데를 견제하면서 드랍십도 쓰고..난전형태로 운영합니다. 한 서너군데 치려고 하다보면 두군데는 막혀도 나머지 한두군데에서 의외의 이득을 얻게 되더라구요. 그리고 파이썬같은경우에서는 센터싸움이 어려워서.. 타이밍을 잡고 나가거나 타이밍러시인것처럼 보여주고 드랍십을 3기 이상 쓰는것도 나름 괜찮더군요.
10/05/13 07:50
남자라면 투팩~
3번째 탱크 찍고 마인업 하면서 3탱으로 진출 후속 벌처 충원하면서 컨트롤 싸움하세요 상대가 3게이트만 아니라면 못해도 반반싸움이 되더라고요
10/05/13 09:42
제 스타일은
원팩 더블후에 팩은 1개만 더 늘려서 2팩 유지하고 아머리 올려서 공업 찍고 바로 3멀티 가져가네요 그리고 3멀티 완성 될쯔음에 팩 마구 늘리다가 (여기서 중요한건 3멀티를 지키는 방어를 정말 잘 해야하는...) 공1업 완성 되면 타이밍 잡아서 진출...하고 진출하면서 4멀티를 가져갑니다... 진출 하다가 중앙 싸움에서 질거같으면 빼서 다시 4멀티까지 지키는 라인 만들구요...
10/05/13 11:07
파이썬은 아무래도 이영호식 반땅싸움가기는 삼룡이를 빠르게 먹기 힘들어서 힘든 것 같고
5팩 타이밍 러쉬가 가장 적절하고 강력한 것 같네요.
10/05/13 13:15
스타팅 거리가 가로면 라인 심으면서 중립멀티or 삼룡이 먹으면서 삼만년 조이기, 대각이면 타이밍 러쉬나 업테란이 나을 거 같네요.
파이썬의 센터 개활지를 최대한 이용하는 식으로 벌쳐로 여기저기 마인 박으면서 시선 끌어주면서 타이밍 러쉬 나가면 생짜로 나가는거 보단 잘 먹혀요. 개인적으로 파이썬에선 타이밍 러쉬가 최고인것 같아요. 서로 반반 먹는 후반 운영은 아무래도 토스쪽에 많이 웃어주죠.
10/05/13 14:26
저는 6팩 타이밍합니다. 원팩더블후 공1업후 대략 탱 10-12기정도에 골럇3기 마린 4기 벌쳐8기 상태에서 치고나가구요.
이때 가장 중요한점은 토스의 병력이 어디있나 확인하는게 중요합니다. 진출하다가 토스병력에 그대로 먹히면 GG니까요;; 저는 그래서 진출하기전 스캔 2방정도로 토스병력의 위치를 확인하구요 일단 진출하면서도 중간중간 벌쳐의 마인으로 토스의 이동경로를 최소화하거나 아니면 확인이라도 하는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솔직히 아비터이후 전투는 안드로라서 입스타만 가능하네요; 대각일떄 특히 토스병력위치확인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