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5/11 16:59
(다)에서 고립계로 가정한다는 힌트가 있죠.
계가 뺏긴 열이랑 인접한 계에서 가져간 열이랑 동일하고요. 그러니까 '얼음이 몇 몰 반응했는지 모르니 답을 모른다'라고 클레임 거시면 찍힐 가능성이 크죠. 수업도 제대로 안 듣고 개념도 제대로 안 잡힌 학생이라고요;; 성격 나쁜 조교님과 교수님이라면 더더욱..
10/05/11 17:25
계가 주고받은 열이 동일하니 얼음의 용해열은 무시하고 초산가지고만 풀어야 되나요??
그러면 엔트로피의 변화는 0이고 가역반응이 되는건가요? 제가푼답이 이렇게 풀었는데 얼음의 용해열 조건을 사용안해서 틀렸다고 생각하는데 제대로된풀이는 어떻게하는건지요....
10/05/11 18:59
(가)는 등온에서의 반응이므로 delta S = q_ext/T = (11.45kj/mol * 1mol) / (273.15+16.6) K 가 되겠죠.
(나)에서 물과 얼음중탕이 well-insulated heat bath라고 가정한다면 delta S surrounding = -delta H system / T bath이므로 delta S = (11.45kj/mol * 1mol) / T bath가 되는데, 문제에서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것은 오히려 'water bath의 온도를 0도씨로 볼것인가, 16.6도씨로 볼 것인가?'에 있다고 보이네요. 만약에 16.6도라면 (가)에서 구한 값에서 부호만 바뀐것이겠고, 0도씨라면 분모가 273.15가 되겠죠. (다)는 (가) + (나)일테니 (나)의 답이 뭐냐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