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5/11 13:50
당연히 가능합니다.
윈도우 자체나, 접근망의 방화벽을 한번 체크해 보시는것도 도움이 될겁니다. 먼저 핑과 트레이스라우트 같은걸로 연결이 되는지 테스트 먼저 하고 해보세요. 주의할점은 I/O를 캐릭터기반으로 하면 별 상관이 없을테지만 바이너리를 쓴다면 엔디안도 신경을 써 주셔야 합니다.
10/05/11 14:09
그런 경우는 보통 Endian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에 유닉스에서 만든 소스를 그대로 윈속으로 함수만 바꿔서 컴파일하셨다면,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일단 가장 먼저 의심할 부분은 역시나 port 부분입니다. port를 htons 로 바꿔서 해보세요. SOCKADDR_IN inAddr; inAddr.sin_port = htons( usPort ); 이런 식으로 말이죠... 보통 윈도우는 Little-Endian, 유닉스는 Big-Endian 방식을 쓰므로.... 나중에 데이터를 주고받을때에도 이런 문제들은 계속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니 유의하시구요.
10/05/11 14:19
그렇다면 서버띄우고 넷스테이트로 해당 포트 리슨하고 있는지 먼저 확인하시고 (유닉스에서)
시험삼아 클라이언트쪽에서 텔넷이라도 붙여보세요 음 댓글을 보니 리슨하는포트가 그거밖에 없다면 또 말이 안되는게 유닉스에서 서버, 클라이언트 다띄웠을때는 붙었다고 하니 아마 서버를 안띄웠거나 혹시 클라이언트에서 붙으러가는 서버아이피같은걸 로칼호스트 같은걸로 한건 아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