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초년생이라. 이제 통장관리를 해야될것같은데요..
네개의 통장을 제가 책은 안 읽었지만,, 사회초년생이 읽어볼만하다고, 추천해주셔서 (pgr21 질게 검색..)
블로그 검색으로 대충 감을 잡았습니다..
본론으로
책내용을 보면 큰틀로 통장을 4분류로 나눕니다.
1. 급여통장 (급여를 받는 통장)
2. 예비통장 (CMA통장으로 계설, 예비통장은 예기치못한 목돈소비..예를들어 명절이나, 자동차사고,여행등등 한 5개월치 여유있게 있어야된다고하네요...)
3. 용돈통장
4. 투자통장 (적금이나 펀드등등)
이렇게 나누네요
그리고 매달 1일 급여가 250만원씩 들어온다고 가정합니다.
그리고 급여통장에 모든공과금을 자동이체해놓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공과금이 이체되고..
용돈통장에는,, 자기가 한달에 쓸 용돈을 이체시킵니다. (한달에 50만원이라고 잡겠습니다. )
그리고 투자통장에는 적금을 (125만원정도 넣을려고 합니다. pgr21글보니깐,, 월급의 50%정도만 적금을 넣어도, 적게 넣는게 아니라고 하더군요..)
그리고 이렇게 급여통장에서 용돈통장, 그리고 투자통장에 돈을 이체시키고,,, 그리고 공과금도 빠져나가고,,
남은 돈은,,,예비통장(CMA통장)으로 전부 이체시키는것 같습니다..(네개의 통장책에 의한다면..)
궁금한게 한개 있는데, 공과금이라는게, 매달 일정적으로 빠져나가는,, 그러니깐 핸드폰요금, 인터넷요금, 전기요금, 수도요금
가스요금 이런것을 말하는것 맞죠?? 자동차보험료라던지,,,,각종보험료라던지...
또하나 더...용돈통장도 똑같이 CMA로 통장만드는것이 좋지 않나요?? 저도 지금 CMA통장을 쓰고있는데,, 그냥 일반 은행 체크카드보다 훨씬 이자나 포인트가 쏠쏠한것 같아서요.... 용돈통장도 CMA로...즉 예비통장과 더불어 또하나의 CMA통장을 하나 더개설하는게
좋을것같은데,,,,맞나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투자통장에는 적금을 125만원정도 넣을생각인데요
그냥 제 2금융권? 새마을금고? 거기에 125만원 몰빵으로 적금 1년씩이나 2년씩..몰빵하면되나요??
아님 투자통장을 2개정도나 3개정도로 만들어야되나요?? 저는 지금 제명의 집이 없는 상태고, 언젠가는 집을 구입해야할것같은데
장기주택마련통장?? 이런것도 꼭 만들어야되나요????? 집없는사람이라면?? 그럼 적금통장에 65만원,, 장기주택에 60만원
이런식으로 넣어야되나요??
(참고로 저는 무엇보다 안정적인 투자를 좋아해서,,펀드 분산해서 이런것은 전혀 관심없고,주식도물론이구요.
그냥 금융권에 안전하게..제 돈이 보호되는...약간 이율이 적더라도, 그렇게 투자할려고 생각합니다...그냥 다른쪽으로 아껴쓸려구요...)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