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0/05/03 14:18:24
Name 석호필
Subject 결혼식 축의금 보통 직장인분들 어떻게 내세요???????
저는 이번에 고등학교때 친하게 지냈던 친구가 결혼식이였는데
축의금을 처음냈는데,, 저도 이번에 취직을 했는데요. 사회초년생이네요

얼마를 낼지 전혀 감이 안와서, 네이버 지식인검색좀하고 그래서, 안친하면 3만원,,, 보통 5만원, 친하면 10만원이라고
있어서..

제가 그런데 결혼식에 참가를 사정상 못하고, 계좌로 붙여줬거든요.10만원..

그런데 곰곰히 생각해보니..이제 친구들결혼식도 많을텐데....물론, 축의금은 다음에 다시 돌려받을수있고 저축의개념으로
생각해라고하지만(pgr21에 축의금검색했는데, 생각보다 많이 없더라구요..)

뭐 갑자기 한번에 몰아닥치거나 이러면 한달에 경조사비가 50십..60십도 넘게 나갈것같은데..
일단 사회초년생인데

친한사람들에게 축의금 어느정도로 내야되나요? 친하다는 기준에 따라다르겠지만,
뭐 꾸준히 연락하고,,1년에 1번씩은 볼 사람들은 저는 친하다고 생각하는지라...특히나 초중고등학교때 같은동네살거나
같이 학교통학했거나, 대학교다닐때..........같이 수업듣고,,같이 밥먹고 그랬던사이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우쿠소
10/05/03 14:21
수정 아이콘
아래는 제 구별법입니다.

동창
일반 5만
친하면 10만
불x 친구 25만 <-- 몇명 안되요..

직장은 5만원 동일
우리부서 아주친한넘들 10만..

전 위의 룰을 지키고 있습니다. 근데 전 사회생활한지 오래되서.. 가격이좀 쎌수도 있을듯 합니다.
10/05/03 14:22
수정 아이콘
3 5 10이 정석인데 굳이 아껴야겠다면 'xx일동' 이런식으로 묻어가기 편법도 있습니다.
완성형폭풍저
10/05/03 14:22
수정 아이콘
5만원을 내거나 식사비가 비싼 곳이라면 식사비와 비슷하게 냅니다...;;;
쪼잔해 보이지만 어쩔수가 없네요. ㅠ_ㅠ
10/05/03 14:26
수정 아이콘
진리의 5만원... 이죠, 저는 친해도 5만원 안친해도 5만원...
3만원 정도의 친분이라면(?) 어차피 다시 만날 일도 없는 사람이라 하지 않고요.
또 나중에 내 큰일에 오라고 연락하지도 않을것이고,
석호필
10/05/03 14:28
수정 아이콘
그런데 불X친구면 10만원정도내면 조금 그렇겠죠???????????
위에 아우쿠소님처럼 20십만원이상 내야되나요?

초년생인데,,흠.. 보통 3/5/10으로....테크를 타야되는거군요....
10/05/03 14:30
수정 아이콘
아직 3-5 까지밖에 못 내봤습니다만, 친하다면 조금 더 내야겠죠 흐흐..
낼름낼름
10/05/03 14:37
수정 아이콘
동창은 최소5만, 친하면 10만, X알친구는 아직 결혼들을 안해서 모르겠는데 하게되면 더 나가게되겠죠.
석호필
10/05/03 14:54
수정 아이콘
그런가요? 사회초년생도..보통 친하면 10만원 분위기네요...
많이 참고가되었네요.. 답변주시분들 감사합니다.
나해피
10/05/03 15:16
수정 아이콘
아예 안 친한 동창 - 안 감
가끔 보는 동창 - 5만
엄청 친한 동창(3명 정도) - 아직 결혼을 안 해서 다행
시오리
10/05/03 15:18
수정 아이콘
결혼식 축의금은 거의 정해져 있죠 사실..

그냥은 5만원
친하면 10만원
절친이면 마음가는 만큼 (전 30만원 정도 줍니다. 몇명 없습니다.)

경우에 따라 요즘 물가에 3만원은 내고 욕먹을 수도 있습니다. 정말로.....
켈로그김
10/05/03 15:22
수정 아이콘
직장, 동창 등은 5만원.
결혼해도 같이 놀 수 있을정도면 10만원
대충 비슷하네요.
가즈키
10/05/03 15:43
수정 아이콘
예의상 가는 수준이라면 3만원
친구나 내가 당연히 참가해야 하는 자리면 5만원 (아마 왠만하면 5만원 냅니다. 저번에도 3만원 낼려고 한니까 어머니가 무슨 3만원이냐면서
어머니가 2만원 준다면서 5만원 내라고 하시더군요)

친한친구- 10만원(계원이 아니면서 이 부류에 들어가는 친구는2명)
계모임이 있는데(7명) ,계원중 한명이 결혼하면 -20만원.
WizardMo진종
10/05/03 16:18
수정 아이콘
3/5/10에 정말친한친구라면 액수가 무제한이되겠죠;;
10/05/03 16:33
수정 아이콘
축의금보다 조의금이 더 문젭니다. 축의금이야 내가 아는 그 사람의 일인 경우가 많으니 보통은 5만원 하는 경우가 많은데.. (못 가는 경우는 3만원) 조의금은 아는 분의 처의 할머니라거나 뭐 이런 식이면... -_- 내기도 뭐하고 안 내기도 뭐하고 난감하더군요. 보통은 3만원으로 합니다만...
이쥴레이
10/05/03 17:28
수정 아이콘
저도 3/5/10인데..

5는 낸적이 거의 없군요.
그냥 저냥 아는정도면 3으로 하고..
친하면 10이나.. 아주친한 녀석에 경우 15입니다. -_-;;

5로 내고 싶은데.. 후..

상가집 가는일이 더 많으니... 한숨만..
장군보살
10/05/03 17:39
수정 아이콘
많은 것을 배우고 갑니다. 저는 돈도 못버는 백수시절에도 전혀 친하지도 않는 인간들 결혼식에 참석한것만으로도 어색한 상황에서 5만원을 내고 다녔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정말 정신나간 짓이었습니다.그인간들이 내 결혼식에 올 확률도 없는데 말이죠..그래도 무조건 참석하게 되면 5만원이라는 생각을 가졌습니다... 아니 참석조차 안해야겠군요. 도대체 내가 내친구의 친구일뿐인 인간들 결혼식에 참석해서 왜 오만원이나 냈는지.. (아니 그런데 참석안하면 괜사리 친구가 저보고 지X을 하니까.. 이건 뭐..)

저도 제발 쿨하게 그냥 인연없거나 인연없을 인간들 결혼식은 가지말아야겠습니다. 굳이 가게 된다면 3만원을.
10/05/03 18:06
수정 아이콘
예의상 가 본 적밖에 없어서 3만원밖에 내본 적이 없군요;
게다가 돌려받지도 못할 기세..OTL
페르마
10/05/04 02:23
수정 아이콘
볼일없는데 안친함 - 3
같은 직장 안친함 - 5
그냥그냥 친함 - 5

매우친함 - 가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0764 DDR 아직 남은 기계있나요? (서울 or 수도권) [4] 이카2619 10/05/03 2619
80763 디지털 카메라 (똑딱이) 질문입니다~!! [1] 원샷1602 10/05/03 1602
80762 책팔아서 사기친 사람들이 내일 찾아온다고 협박했네요. [1] Bikini2775 10/05/03 2775
80760 애니/만화책 추천 부탁드려요. [11] 임금2984 10/05/03 2984
80759 컴퓨터 복구 솔루션 관련 질문입니다. [1] 제로스2142 10/05/03 2142
80758 자동차 보험에서 자차는 얼마짜리 드는게 좋을까요? [3] 고등어3마리2282 10/05/03 2282
80757 공인회계사 자격시험 응시자격에 대해서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6] BoSs_YiRuMa2112 10/05/03 2112
80755 [프야매] 선발투수 고민입니다. [10] Xell0ss2131 10/05/03 2131
80754 DVD,Divx 플레이어 추천 해주세요 ~ 학교얘들2106 10/05/03 2106
80753 남자연예인들이 실제로 보면 그렇게 말랐다는데 사실인가요? [12] 아웅4145 10/05/03 4145
80751 이번에 새로나온 넷북에 관한 질문입니다. [2] 정지원1996 10/05/03 1996
80750 월세 계약 관련해서. [3] TORCS2046 10/05/03 2046
80749 지바롯데 일본에서 어떤가요? [1] 라우르2112 10/05/03 2112
80748 인터넷회사에서 공유기 사용을 금지할 수 있나요? [3] 테란의폐태자2240 10/05/03 2240
80747 윈도7 iis 사용할 때 동시접속자를 몇명까지 버틸수 있을까요? 지바고2816 10/05/03 2816
80746 특정 인터넷 사이트만 들어가면 다운이 됩니다 Closer2172 10/05/03 2172
80745 워크래프트3 래더 질문입니다. [4] 언데드네버다1661 10/05/03 1661
80744 동원훈련 관련 질문입니다. [6] 강나라2158 10/05/03 2158
80743 결혼식 축의금 보통 직장인분들 어떻게 내세요??????? [26] 석호필3273 10/05/03 3273
80742 김정일 방중이 갖는 의미가 뭘까요? [1] 소주한잔1917 10/05/03 1917
80741 조금 오래됐지만 유명한 명곡들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멜로2337 10/05/03 2337
80740 메인보드에 맞는 그래픽카드 아시는 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2] 세뚜아2036 10/05/03 2036
80738 40대에도 과연 개발자로 먹고 살 수는 있을까요? [24] Gidol4549 10/05/03 45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