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5/03 14:21
아래는 제 구별법입니다.
동창 일반 5만 친하면 10만 불x 친구 25만 <-- 몇명 안되요.. 직장은 5만원 동일 우리부서 아주친한넘들 10만.. 전 위의 룰을 지키고 있습니다. 근데 전 사회생활한지 오래되서.. 가격이좀 쎌수도 있을듯 합니다.
10/05/03 14:26
진리의 5만원... 이죠, 저는 친해도 5만원 안친해도 5만원...
3만원 정도의 친분이라면(?) 어차피 다시 만날 일도 없는 사람이라 하지 않고요. 또 나중에 내 큰일에 오라고 연락하지도 않을것이고,
10/05/03 14:28
그런데 불X친구면 10만원정도내면 조금 그렇겠죠???????????
위에 아우쿠소님처럼 20십만원이상 내야되나요? 초년생인데,,흠.. 보통 3/5/10으로....테크를 타야되는거군요....
10/05/03 15:18
결혼식 축의금은 거의 정해져 있죠 사실..
그냥은 5만원 친하면 10만원 절친이면 마음가는 만큼 (전 30만원 정도 줍니다. 몇명 없습니다.) 경우에 따라 요즘 물가에 3만원은 내고 욕먹을 수도 있습니다. 정말로.....
10/05/03 15:43
예의상 가는 수준이라면 3만원
친구나 내가 당연히 참가해야 하는 자리면 5만원 (아마 왠만하면 5만원 냅니다. 저번에도 3만원 낼려고 한니까 어머니가 무슨 3만원이냐면서 어머니가 2만원 준다면서 5만원 내라고 하시더군요) 친한친구- 10만원(계원이 아니면서 이 부류에 들어가는 친구는2명) 계모임이 있는데(7명) ,계원중 한명이 결혼하면 -20만원.
10/05/03 16:33
축의금보다 조의금이 더 문젭니다. 축의금이야 내가 아는 그 사람의 일인 경우가 많으니 보통은 5만원 하는 경우가 많은데.. (못 가는 경우는 3만원) 조의금은 아는 분의 처의 할머니라거나 뭐 이런 식이면... -_- 내기도 뭐하고 안 내기도 뭐하고 난감하더군요. 보통은 3만원으로 합니다만...
10/05/03 17:28
저도 3/5/10인데..
5는 낸적이 거의 없군요. 그냥 저냥 아는정도면 3으로 하고.. 친하면 10이나.. 아주친한 녀석에 경우 15입니다. -_-;; 5로 내고 싶은데.. 후.. 상가집 가는일이 더 많으니... 한숨만..
10/05/03 17:39
많은 것을 배우고 갑니다. 저는 돈도 못버는 백수시절에도 전혀 친하지도 않는 인간들 결혼식에 참석한것만으로도 어색한 상황에서 5만원을 내고 다녔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정말 정신나간 짓이었습니다.그인간들이 내 결혼식에 올 확률도 없는데 말이죠..그래도 무조건 참석하게 되면 5만원이라는 생각을 가졌습니다... 아니 참석조차 안해야겠군요. 도대체 내가 내친구의 친구일뿐인 인간들 결혼식에 참석해서 왜 오만원이나 냈는지.. (아니 그런데 참석안하면 괜사리 친구가 저보고 지X을 하니까.. 이건 뭐..)
저도 제발 쿨하게 그냥 인연없거나 인연없을 인간들 결혼식은 가지말아야겠습니다. 굳이 가게 된다면 3만원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