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4/25 02:34
예전에 break dance를 잠깐 했었는데, break dance의 기초라고도 할 수 있는 물구나무 서기를 한참 연습했던 경험으로 조언 드립니다.
손아귀 힘과 복근, 어깨 운동 많이 하세요. 아랫배와 어깨 힘이 있어야 하체가 넘어 가더라도 버틸 수 있고요. 손아귀 힘은 손으로 땅을 움켜쥐듯이 잡는 데 필요합니다. 손가락을 적당히 벌린 뒤 땅을 움켜쥔다는 느낌으로 잡으세요. 팔은 어깨만큼만 벌리세요. 많이 벌리면 더 균형잡기 힘들고요. 물구나무 선 뒤 머리를 등쪽으로 당겨서 두 눈으로 땅을 붙잡고 있는 손끝을 보세요. 이렇게 하면 다리가 머리쪽으로 넘어가더라도 뒤로 넘어가지 않게 버텨낼 수 있습니다. 이때 복근이 필요하고요. 팔꿈치는 구부리지 마세요. 손목과 팔꿈치, 어깨 다 다칩니다. 무엇보다 겁 먹지 마세요. 다리가 뒤로 넘어가서 넘어질 것 같으면 머리를 배쪽으로 당기고 몸을 움크려서 등으로 둥글게 착지하면 물구나무 서서 크게 다칠 일은 별로 없습니다. 옆으로 넘어져서 골반 뼈 다치는 게 아니라면요. 다리가 뒤로 넘어갈 때 머리를 등쪽으로 젖히고 손아귀와 어깨로 균형 유지하는 감각은 얼른 익히기 쉽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겁이 나니까요. 그럴 때엔 팔꿈치 물구나무 서기부터 연습해 보세요. 두 손을 모아 머리 꼭지를 움켜잡고 팔꿈치로 손등쪽 손목으로 땅을 지탱합니다. 모인 손목과 양 팔꿈치 꼭짓점을 선으로 이으면 삼각형이 되겠죠. 그 상태에서 골반을 위로 올리고 팔꿈치로 땅을 누르듯이 밀어내면서 서서히 다리를 하나씩 올립니다. 바로 하늘로 올리진 말고 마치 기역 모양처럼 상체는 위로, 다리는 상체와 직각으로 뻗어서 버티는 연습부터 해보세요. 복근과 어깨, 팔꿈치에 힘이 실립니다. 익숙해지면 그 상태에서 다리만 하늘로 향해서 올리면 되지요. 손바닥을 땅에 댈 때 무의식 중에 손날로 버티려는 사람이 많은데, 그러면 손목과 손바닥으로 전해지는 힘을 땅으로 제대로 분산시키지 못하므로 균형을 잡을 수 없습니다. 손목에도 무리가 많이 가고요. 꼭 손바닥 전체를 땅에 대고 땅을 움켜쥐듯이 손가락에 힘을 주어 손으로 몰리는 힘을 분산시키세요.
10/04/25 04:20
윗분이 잘 설명해주셨네요..
전 별도의 연습없이 1분 정도 가능한데요.. 제 기준에서 설명드리면 물구나무는 딱 1자로 가만히 서는게 아닙니다. 처음에 설때 엉덩이를 뒤로 빼지 마시고 뒤로 넘어간다는 생각으로 확실하게 서 주셔야 하고, (겁먹으면 엉덩이를 뒤로빼고 엉거주춤하게 서는데, 100% 앞으로 기울어져버립니다.) 무릅은 조금 굽히셔서 다리가 뒷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서세요. 넘어져도 뒤로 넘어진다는 생각으로 겁먹지 않는게 중요합니다. (안다쳐요.....넘어갈때 본능적으로 몸을 틀어서 옆으로 착지하게 돼있음..) 그리고, 뒤로 넘어갈거 같은 느낌이 들때, 땅 집은 손 위치를 조금 옮기셔서(뒤쪽 방향으로 걸어가는 느낌?) 중심 잡아주시면서 됩니다....너무 많이 옮겼으면 다시 앞으로 조금 걸어오시구요.. 결국...균형을 잡기 위해서 끊임없이 조금씩 뒤로(가끔 앞으로) 움직여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