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0/04/25 00:28:21
Name 꽃보다질럿
Subject 올드의 기준은 어느정도일까요?
음 저는 올드의 기준을 온게임넷 탄생 이전에 프로게이머를 하던 선수들로 국한하는데

마재윤 전상욱도 올드라고 하더군요

음......사실 제 생각에 올드라고 하면 최진우 국기봉 김동수 강도경 이기석 기욤정도가

아닐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4/25 00:33
수정 아이콘
저도 한때 마재윤, 전상욱선수가 올드라고 불리는 게 어색했는데. 그래도 e-sports가 방송을 탄게 10년은 됐는데. 전상욱 선수같은 경우 데뷔 5~6년은 됐을 텐데 올드라고 해도 되지 않을까요?
Karin2002
10/04/25 00:41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 개국이전이라면 홍진호도 올드게이머가 아니란 말인가.. 개인적으론 2007년 전에 전성기를 가졌던 게이머라 봅니다.
10/04/25 00:44
수정 아이콘
통합 프로리그 이전에 데뷔한 선수들을 개인적으론 Old라고 칭하고 싶네요.
10/04/25 00:45
수정 아이콘
참 그 기준이 애매하지만.. 제 생각엔 꾸준히 활동했던 선수들이 대거 예선탈락과 은퇴를 하면서, 그 동시대에 활동했던 선수들을
올드라고 부르게 된 게 아닐까 싶네요.. 2007년정도..까지 활동했던 선수들중에 현재 전상욱, 마재윤 선수가 지금까지 활동해왔고
그들과 대결했던 게이머들을 부르기엔 올드라는 표현도 적절하지 않을까.. 싶네요^^;
똥꼬털 3가닥처
10/04/25 00:56
수정 아이콘
제 기준으론 양대 방송사가 각 각 팀리그를 펄치다
하나로 통합한 프로리그 출범 이후 첫 결승인 SK vs KTF 대결 이전 '배테랑' 프로선수들을 올드라고 생각합니다.

저 쯤에 협회도 자리잡고 선수들 연봉도 제대로 받기 시작한 시기이니
그 전에 불안정된 스타판에서 활동 했던 선수들을 올드라 칭하고 싶어요.
아카펠라
10/04/25 01:06
수정 아이콘
03년과 그 이전을 올드라고 하는게 적절할듯 합니다.
가우스
10/04/25 01:13
수정 아이콘
박성준 선수급 이전 박성준 선수 급이 올드중에서 최근 선수인편
10/04/25 01:21
수정 아이콘
저도 지극히 주관적이지만 제가 군대가기 전에 전성기를 가진 선수들을 올드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04년1월 군번이라서 임요환,홍진호,박정석,이윤열선수 정도까지를 올드라고 느끼고 있습니다.
10/04/25 01:23
수정 아이콘
질레트이전~
VilleValo
10/04/25 02:30
수정 아이콘
질레트~ (2)
10/04/25 02:39
수정 아이콘
게임이 발매된지 13년 정도 됐는데 앞에 3년만 올드라고 하면 너무 까다로운게 아닌가 싶습니다.

전 공군을 제외하고 11개팀의 최고참 선수들 1~2명 정도되면 올드라고 생각합니다.

삼성의 송병구, stx의 진영수 박성준, cj의 변형태 마재윤 이런 정도로요.
FantaSyStaR
10/04/25 02:50
수정 아이콘
저는 심정적으로 2005년 이전 데뷔게이머들은 모두 올드...-,.-;;
10/04/25 05:56
수정 아이콘
전성기를 훌적 넘은 선수는 모두 올드 느낌이네요.
사실 리쌍은 2007년, 백탱은 2005~2006년쯤 데뷔로 기억하는데 이런 선수들을 현재 최고 선수들을 올드라고 하는 것은
무리수가 있고, fatasystar님처럼 2005년이 현재로는 경계선이 아닐까 싶습니다.
현재 올드로 칭하면서 잘하고 있는 전상욱 선수가 2003년이 데뷔, 박성준 선수는 2002년 정도 니까요.

다만, 올드이면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홍진호, 임요환, 이윤열 선수가 있기 때문에 올드가 더 늙은 느낌이지만,
전성기를 지난지 꽤 된 선수들은 올드라고 봐야죠. 그렇게 보면 진영수 선수는 조금 아쉽긴 하네요. (너무 16강경계에서 꾸준하니까요)
信主SUNNY
10/04/25 06:16
수정 아이콘
'실력>인기'에서 '인기>실력'이 되는 순간부터가 올드라고 생각합니다. 신인선수들은 항상 이야기가 나오죠. "실력에 비해 인기가 없다." 그리고 올드선수들은 실력에 비해 인기가 있죠. 사실 이게 당연한 것이라 보이구요. 예를들면, 7,8월이 가장 덮고, 오후 2시가 가장 더운 것과 같달까요?

하루의 기온을 인기, 태양의 고도를 실력으로 비교할 때, 해가 떠서 태양의 고도가 상승하는 동안은 비교적 신인, 정오부터 낮2시의 최고기온까지가 전성기, 최고기온이후 천천히 식어가는 시간부터가 올드라 생각합니다.
BoSs_YiRuMa
10/04/25 08:05
수정 아이콘
네임벨류에 비해서 실력이 미치지 못할때, 그때가 올드의 시작이죠.
탈퇴한 회원
10/04/25 09:52
수정 아이콘
이전 본좌시절까지는 다 올드. 즉 지금은 마재윤 시절때 전성기를 누렸던 선수들까지 올드라고 봐도 되죠.
드랍쉽도잡는
10/04/25 12:58
수정 아이콘
질레트가 기준이죠.
박정준 전과 그 후.
그 이유는 그 때를 기점으로 스타판이 많이 변했기에...
Since1999
10/04/25 21:54
수정 아이콘
통합 프로리그의 확대이전 이후로 나눈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0068 전자사전 2가지 추천부탁드릴게요 [5] 늘지금처럼2099 10/04/25 2099
80066 인터넷,온라인게임 끊김 현상 질문입니다.. [2] 야수2874 10/04/25 2874
80065 프야매, 프로야구 전혀 모르는 사람이 해도 재밌나요? [7] 탈퇴한 회원2299 10/04/25 2299
80064 토목건축공학 관련해서 짧은 질문이 있습니다. [2] 탈퇴한 회원2121 10/04/25 2121
80062 런닝화 추천 해주세요~(뱃살빼기달리기) 쓰고이2297 10/04/25 2297
80061 서울시 9급 여자 공무원의 경우 [8] 돌아와요남규6018 10/04/25 6018
80057 군대갈때 시계를 차고 가면 거의 망가지나요? [22] 총사령관7875 10/04/25 7875
80056 첫 소개팅후, 애프터 질문입니다. [16] pkcstar4359 10/04/25 4359
80055 위르겐 하버마스, 리처드 로티에 관심이 많은데요... [3] 소주한잔2101 10/04/25 2101
80054 금값 시세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2] YoORin2659 10/04/25 2659
80053 아이폰 이어폰에 관한 질문입니다. [5] C.P.company2097 10/04/25 2097
80052 핸드폰으로 팝콘 만들기... [3] 김병장님2495 10/04/25 2495
80051 이 가사 뜻이 뭘까요? [2] 요비2359 10/04/25 2359
80050 민주주의 체제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요~ [12] Valueinvester1600 10/04/25 1600
80048 물구나무를 잘 서려면 어떻게 해야 하죠?? [5] 바나나 셜록셜3479 10/04/25 3479
80046 올드의 기준은 어느정도일까요? [18] 꽃보다질럿1889 10/04/25 1889
80045 북한지역구질문입니다. [3] 부엉이2103 10/04/25 2103
80044 서울에서 가장 집값이 싼 동네가 어디인가요? [5] Schizo6470 10/04/25 6470
80043 .tp .ts 동영상 파일 인코딩에 대해서 [1] let8pla2296 10/04/25 2296
80042 연애시대, 부활 그리고... [18] 라우르2372 10/04/25 2372
80041 아버지 컴퓨터 맞춰드리려고 합니다. 잘 몰라서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4] ski~2171 10/04/24 2171
80040 스타리그 야외투어 질문드립니다. [1] Paragon2162 10/04/24 2162
80039 아이팟터치요.. [5] 서현1924 10/04/24 19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