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5/01/23 02:17:50
Name 허클베리핀
Subject 대 저그전에 자신있는 분 답해주세요~~ ㅠ.ㅠ
안녕하세요~ 전, 플토 중수유저입니다.. 중수라고 했지만, 거의 하수에서 벗어난
정도네요.. 주로 스타를 아는 형(저그유저)과 자주하는데,

처음엔 과감한전략등(센터투게이트, 미네랄뒤 캐논러쉬, 빠른 스카웃, 커세어다크)
으로 무척 자주 이기다가, 어느 순간부터, 단 1승도 못건지고 있습니다.

제가 강민선수 팬이다 보니 거의 원게이트를 즐겨하게 되는데
처음엔 그게 효력을 봐서 잘 먹혔는데, 역시나 비슷한 전략을 즐겨쓰면

안먹히는지 거의 배째는 부자 저그로 하더군요.
부자 저그로 흘러서 땡히드라, 뮤탈, 혹은 럴커조이기 등으로 괴롭히면

무척이나, 어렵더군요.

배째는 부자저그로 가면, 대부분 초반 질럿 찌르기를 하라고 하지만
드론을 상당히 잘 뭉치는 편이라 한두마리 잡다보면 바로 저글링 튀어나와 막히고
투게이트로 가도 역시 큰 피해를 못입히고 돌아옵니다.


대저그전에 있어서 중요한 키워드 내지는 타이밍좀 알려주세요.....

저는 상대방 해처리가 점점 늘어나는 중압감에 못이겨 멀티러쉬를 가서
해처리를 깨도, 병력을 소모하게 되는 바람에

결국 추가병력차이로 지는 경우가 허다한데요......

도무지 어디에 갈피를 잡아야 대저그전을 잘 끌어갈 수 있는지 모르겠네요.
누가 좀 알려주심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01/23 02:28
수정 아이콘
아...그럼 전략란에 스플레쉬 토스 한번 보세요..
저도 플토로 저그전은 약한데 그 스플레쉬토스는
꽤 승률이 높게 나오더군요..
팁이라면..3질럿3드라군..2게잇에서 드라군 꾸준히 생산
저그 해처리 앞으로 렐리 이정도..
그리고 무엇보다도 저그를 이기려면
스타급센스가 필요하겠네요
안티테란
05/01/23 02:56
수정 아이콘
정석적인 2게이트로 하시면서 성큰을 2개정도 짓게 만드세요... 질럿 한 8기 될때까지 계속 저그기지 앞에서 압박을 주는 겁니다.(질럿의 모습을 계속 보여주면 됩니다.) 저글링이 발업되면 슬슬 빠지면 되구요. 초반부터 성큰2개이상 지으면 3번째 해처리를 빨리 짓기가 거의 힘듭니다. 빠져준후 멀티 먹고 갖출거 갖추고 중앙진출하면 되는데 중앙만 장악하고 있어도 저그가 추가멀티먹기는 거의 힘듭니다. 섬멀티 견제와 드랍 견제만 하면서 중앙을 계속 장악하세요... 타 스타팅 포인트만 못먹게 하면 필승입니다.
가을의 남자
05/01/23 03:45
수정 아이콘
질럿뽑을거면 상대 멀티 타이밍 느리게하면서 한방. 스플래쉬하는거면 최대한 못보게한후 괴롭히고요. 타이밍은 만드는것입니다. 가령 질럿찌르는데 저글링 반응느리다면 멀티, 공격(또는 방어)준비, 업글 이셋중에 하나겠죠? 경험으로 또는 감으로 또는 정찰로 뭘하는지 알면 그에대한 대비를 잘할수 있을겁니다.
코리아범
05/01/23 04:08
수정 아이콘
일단 원게이트로 나가는데 상대는 부자저그로 간다면 상대적으로 저그의 테크는 늦는 편일겁니다. 뭐 다수 저글링이나 히드라로 테크의 약한 부분을 만회 하려 할테인데요.. 원게이트 빠른테크라면 게릴라와 동시에 타이밍 러쉬를 노려보세요.. 제가 가끔 하는전략인데요..(로템용 ;;) 1게이트 가스로 간다음에 첫 질럿으로 일단 드론을 괴롭혀 줍니다. 저글링 발업이 되기전까진 질럿을 잘만 돌리면 시간을 많이 끌수가 있거든요 첫질럿을 잃으면서까지 무리하게 드론을 잡으려 하지 마시고.. 질럿을 돌리면서 틈을 노려보세요. 그리고 커세어 테크를 타면서 질럿을 한 3-4기 정도 모으면서 드래군 한두기가 갖춰졌을때 러쉬를 갑니다. 본진에서는 게이트 하나가 추가되어서 투게이트 상태여야 하구요 드래군 사업을 하시고.. 그리고 로보틱스 테크를 탑니다. 그리고 게이트 두개의 랠리포인트를 러쉬가는 드래군으로 찍어줍니다.(이 초반 러쉬 유닛은 함부로 소비시키진 마세요..;;) 부자저그로 간다면 커세어로 오버로드 툭툭 칠때쯤이면
저그가 성큰을 소홀히 하는 경우가 있거든요.. 러쉬를 가면서 오버로드를 계속 공격합니다. 드래군을 계속 추가하면서 압박을 하구요.. 성큰이 적다면 드래군 일점사로 성큰이나 스포어를 일점사 하시구요..
본진에서 로보틱스가 완성되면 일단 셔틀을 바로 찍구요.. 리버 테크로 갑니다. 드래군은 계속 추가하시구요.. 셔틀 나오면 저그 언덕에 드래군을 두기정도 올려놓고 자원캐는 드론을 괴롭히면서 셔틀은 생산된 리버를 다시 태우고 본진쪽으로 갑니다. 본진을 괴롭히시면서 드래군추가후 압박하다가 적당한 타이밍에 앞마당 방어선을 리버 드래군으로 파괴합니다. (사실 저도 손속도가 딸린지라 완벽하게 못해서;; OTL)

개인적생각으로는 대 저그전 프로토스의 테크를 다 갖추고 센터를 장악하면서 멀티를 늘려가는 플레이가 좋아요.. 너무 당연한 말인가.. -_-;; 멀티는 무리하게 파괴하시기 보다는 병력 우위가 있을때 하시는게 좋습니다.. 우위를 그리 크게 점하고 있지 못하다면 멀티하면서 병력으로 방어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보통 저그유저들은 한번 부딪혀주는 경우가 있기때문에.. 방어후에 멀티 늘리면서 상대 멀티를 파괴하는 방식으로요.. 로템같은 경우에는 양쪽 섬멀티를 언제가져가는지 확실히 알아야 하는것도 팁이라면 팁입니다...

너무 길었군요.. 사실 저도 프로토스 잘 못한답니다 -_-
바카스
05/01/23 10:17
수정 아이콘
어차피 중수라면 위엣 분들 말씀대로 이런 처방은 오히려 독일 될 수도 있다고 생각되는데;;

그냥 노겟잇 포지 더블넥 가세요. 9드론에도 안 뚫립니다. 만약 상대가 4드론이나 5드론이라면 포톤 짓는 도중에 오지만 프로브 뭉치기 컨트롤 여하에 따라 시간은 벌 수 있죠. 단 관건은 포톤을 전진하냐느 안전하게 본진 근처에 지어놓고냐인데 요즘 저그가 플토 상대로 계속 지다가 마지막 필살기가 아닌 경우 4,5드론은 하지 않으니 전진 포지 포톤 수비 후 더블넥이 좋겠네요^^
05/01/23 11:03
수정 아이콘
전형적인 기본기 부족이신것같습니다.
부끄럽지만,전략게시판에 제가 적은 공방승률50%프로토스 저그를 어떻게 이기냐고요?<<이게 제목입니다.
한번 읽어보셨으면 하구요.
님께서 적으신 도박적인전략은 역시 1회용이라는것입니다.
결과가 제대로 나왓네요.처음엔 쉽게이기다가 점점 갈수록 아예못이기는 상황이 나오는것이죠.
일단은 9,10게이트 하드코어 러쉬를 연습하셨으면 좋겟네요.
질럿으로 저글링과 싸우는법을 모르고서야 저그전을 논할수가없죠.
3질럿일때 저글링 8~10기이하와만 싸워주시고,5질럿이상됐을때는 저글링1부대가 넘을텐데 해처리의 위치를 이용해서 저글링을 한방향에 몰아두고 싸워주시면됩니다.
컨트롤요령은 이론으로 잘 아실거라생각합니다.맞는질럿 약간 뒤로 뺏다 다시어택.
교전 상황을 자세히보면,3질럿이 5저글링과 싸우고,2질럿이 7저글링과 아래위나 양옆으로 싸우는 상황이 나오는데 이때는 2질럿을 3질럿쪽으로 무브해서 싸우시면 저글링이 한쪽방향으로 몰아서 싸우는양상이 돼서 질럿이 잘싸웁니다.
설명이 잘 못해드리겠네요 -_-;
많이 하시다보면 어느질럿이 맞고있는지가 눈에 보이기시작할겁니다.
썽큰 2개 짓고 이러면 대충 저글링수 줄여주고 가스 지으시면 됩니다.
9드론앞마당같은 하드코어는 우습게 막는빌드라는걸 보시면 그 순간 가스 지으시구요.

원게이트플레이는 일단원게이트 스타게이트까지 가고,후에 리버는 너무 고난이도라 비추천입니다.
스타게이트와 동시에 지어야할건물이있는데,포지냐 아둔이냐입니다.
온니저글링으로 입구뚫리면 그냥 gg거든요. 원게이트플레이는.
일꾼정찰로 저글링수나 발업유무 등등을 미리 보셔야되는데.
중하수시라니깐,스타게이트와 포지를 지으시고 아둔,템플러아카이브를 지으세요.입구에 포토1개지어주시고요.
커세어로 본진근처에있는 오버로드 잡아주시고 다크뽑으며 멀티 드시면됩니다.커세어로 상황보면서 앞마당을 안전하게까지는 먹을수있을겁니다.
이후에는 님의 운영에 달라지는것입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같은 중하수라 했을때 프로토스로는 저그이기기가 엄청나게 어려운것같습니다.
제 경험에 의해서도요.
저는 하드코어를 알아가면서부터 저그전이 쎄졌습니다.먼가가 보이기 시작하더군요.저그에게 압박을 주는것이 어떤것인지.
토스가 같은 멀티 먹고도 이기는 방법을 모르니 질수밖에없습니다.

제 18번 원게이트플레이가 있는데 언제 시간나면 리플 보내드릴께요.

바카스 님//더블넥은 앞마당 넥서스가 완성이 되었다고 성공하는것이아닙니다. 입구지역 본진 넥서스,멀티넥서스 이3곳에 포토캐논을 얼마나 짓느냐,정찰을 얼마나 잘하느냐에 따라서 더블넥이냐 져블넥이냐가 좌우되는것이지요.
정찰해서 상대가 해처리 먼저 지었으면 노포지로 넥서스를 먼저 지어야됩니다.
게이트 더블은 너무 고난이도라 전 사용안합니다만.
Return Of The Panic
05/01/23 12:26
수정 아이콘
중요한 건 언제나 여러 전략을 섞어서 써줘야 한다는 겁니다.. 맨날 원게이트만 쓰면 상대 저그는 맨날 배째저그를 할 수 밖에 없죠.. 투게이트, 원게이트 후 빠른 멀티, 공업 발업 질럿 러쉬, 포지 더블넥, 등등
토스도 고를 전략은 많습니다. 이것저것 페이크를 줘주면서 여기 있는 것들을 써보세요. 그러면 상대편은 님이 원게이트 인거 알면서도 성큰 한 1개 짓고 말거 성큰 2개 짓게 되게 됩니다.
그리고 항상 다템 1~2 정도를 초반에 뽑아서 잘 콘트롤 하셔서 저그의 멀티를 조금이라도 늦추세요.. 입구에 서서 드론을 잡는다던지, 구석에 숨어있다가 해처리 지을려면 깨버린다던지 말이죠..
Return Of The Panic
05/01/23 12:29
수정 아이콘
그리고 저그는 콘트롤 잘하는 테란만큼 하템 잘쓰는 프로토스를 무서워 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하템 잘쓰는 기술을 익히는 것도 중요할 듯 하네요..
05/01/23 14:07
수정 아이콘
3게이트 더블도 의외로 좋긴 하더군요. 저그가 한순간 방심할때 질럿 모아서 뛰쳐나가면 해처리까지도 깰수 있었고요.

그리고 전 박용욱선수 스타일처럼 초반 압박가면서 약간 프로브를 쉬어주면서 빠르게 가스를 올립니다. 일단 그렇게되면 2게이트로 별 압박을 주지 못하더라도 후속타로 리버라든지, 아니면 빠른 아칸이나 템플러등을 추가할수 있어서 굉장히 편하죠. 저는 템플러+로보틱스 테크까지 띄우고 3게이트에서 생산되는 질럿과 소수의 아칸으로 본진플레이를 펼치면서 앞마당을 먹어갑니다. 이렇게되면 저그가 럴커조이기를 하기도 힘들뿐더러 타스타팅 멀티도 하기 매우 까다로워지죠. 사실 어려운 운영이긴 합니다만 조금만 연습해보시면 될것 같네요.
05/01/23 14:16
수정 아이콘
더블넥은 별로 안좋다고 생각하는데요,, 저가 저그인데 상대편 플토가 더블넥 하는걸 알면 가스멀티 하나더 먹고,, 연탄조이기 들어가면 거의 필승모드이던데,,-_-;; 더블넥하면 자연스럽게 방어적이 되므로 오히려 전 더블넥 하면 땡큐~~를 날려주지요,,연탄조이기후 뮤탈게릴라하면,, 플토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앞마당먹고 땡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6555 테란 고수님께 질문할게요. 물량을 마니 잘 뽑으려면? [4] 열공하자1891 05/01/24 1891
6554 프로리그 GRAND FINAL... 국뚱이1851 05/01/24 1851
6553 군 입대 문제때문에 글을 올립니다. [12] 이디어트2117 05/01/24 2117
6552 임요환의 드랍쉽 pc방 위치 알려주세요.. [1] 자갈치2196 05/01/24 2196
6551 pgtour 되시는분 -_- [1] 줄리앙1429 05/01/23 1429
6550 [리플 평가;]테프전 조언부탁드려요 돌푸1667 05/01/23 1667
6549 다시한번 삼국지 10입니다.. 제발 답변좀 ㅠㅠ [8] 진해시풍호동2284 05/01/23 2284
6548 커리지에대해서... [1] 어리버리마린1479 05/01/23 1479
6547 스타튕기고 에러폴더에 010103.err 파일이 있습니다. 로타리4770 05/01/23 4770
6546 궁금한게 있어서 이렇게 글 남깁니다.. [2] CooL1625 05/01/23 1625
6545 챔피언스데이 폐지 된겁니까? 김우중1564 05/01/23 1564
6544 [빠진전적] 2001WCG 3차예선 [1] ClassicMild1696 05/01/23 1696
6543 올려도될지는 모르지만..카트라이더 실행이 안되서 질문합니다.. [2] Juventus5935 05/01/23 5935
6542 이글의 처음 출처를 알고 싶습니다. [7] YoSI2042 05/01/23 2042
6541 스타 렉에 관해서 [3] 포레버윤희ⓥ2099 05/01/23 2099
6540 대 저그전에 자신있는 분 답해주세요~~ ㅠ.ㅠ [10] 허클베리핀1536 05/01/23 1536
6539 재수생은 꼭 종합반 다녀야 하나요?! [5] 명란젓코난1822 05/01/23 1822
6538 이런 류의 저그를 상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5] 김준용1535 05/01/23 1535
6537 신문에 관한 질문입니다. [5] 삐잉1244 05/01/23 1244
6536 온게임넷이나 MBC게임말인데요.. [1] 김홍진1804 05/01/23 1804
6535 꿈에 관해서... Lyn1837 05/01/23 1837
6534 컴퓨터(57만원짜리) 잘산것인가? [4] 가을의 남자1634 05/01/23 1634
6533 음식하는 방법 질문..(튀기기) [2] SonOfDarkNess1278 05/01/22 127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