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5/01/16 18:12:37
Name Dis★~
Subject 예비고1 공부에대해서 Q.
금년 2005 년도에 고등학생이 되는 학생입니다.
솔직히 저는 중학교 때도 공부 그다지 잘하는 편은 아니였습니다.
그러나 고등학교 들어서 공부를 열심히 하려고 생각하고 공부를하고
있습니다.

일단 계획인데요

1월 :  수학의정석 10-가
2월 :  수학의정석 10-나
3-7월 : 학교내신 + 수I
        수학의정석 - 학교진도와 맞추어서 한번더 봄.
        수학의정석 - 문제집풀면서 병행
                                      (10-가 총 3번 복습)

여름방학중 : 수학의정석 수II 시작, 수학의정석 10-나 선수학습시작
9-12월 : 2학기 시작 학교내신 + 수II
         수학의정석 10-나 - 학교진도에 맞추어서
         수학의정석 10-나 - 문제집과 병행
                                           (10-나 총 3번 복습)

이런식으로 미적분을 고2 여름방학기 정도까지 선수학습을 끝내고 그후부터는
수능을 준비하는식으로 할예정입니다

그리고 질문
1. 방학동안 10-가, 나를 완전히 이해하고 넘어가야 하는지, 아니면 어느정도
하는 수준만 해놓는지.

2. 저는 고2때 이과 - 미적분 선택을 하려고 하는데 고2 여름방학 까진 미적분 끝내놓아야 편한가요?

3. 수학의정석을 최소한 3번은 봐야한다는데. 그러면 방학동안 한번보고. 학기중에 학교진도랑 맞춰서 한번보고, 학기중에 내신을 위해 문제집 풀면서 병행해주고 이러면 되는건가요?

4. 제가 많이 개념이 없어서 질문이 많은데요 제가 위에 적은 계획표가 시원찮다고 생각하시면 계획표좀 짜주시겠어요? 일단 목표가 정해지면 무조건 달릴수는 있거든요
(하루에 10시간 까지가능)

5. 좀더 여유롭게 해도되나요? 그리고 그렇게 된다면 그렇게 계획을 크게좀 세워 주세요


*질문이 많은데요, 한사람 인생 구제해주신다고 생각하고 좋은 말, 충고 부탁드립니다 ^^
* 총알이 모자라...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5-01-16 22:54)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서창희
05/01/16 18:22
수정 아이콘
수학의 정석도 좋습니다.
그런데 혹시 혼자하신다면, 수학의 바이블을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비슷한 개념서이지만, 해설체로 되있어서 더 이해하기 쉬울 때가 있습니다.
보고 판단하세요. 사람마다 관점이 다르니까요.
컨트롤황제
05/01/16 18:23
수정 아이콘
여기다 질문하지 마세요^^
님의 아이디로 쪽지 엄청날아옵니다.
왠만하면 질문게시판에 올려주세요.
우울저그
05/01/16 18:24
수정 아이콘
솔직히 말해서 -_-;; 고1되기전 중학교 마지막 방학은 열심히 노는게 좋은것 같습니다.
학교 들어가서 내신 공부 열심히 하시고, 방학떄 수능 준비 천천히...
견습마도사
05/01/16 18:32
수정 아이콘
가장 중요한 부분은..공통수학 앞부분 9-가 부분이죠
개념을 확실히 하고 가시길..
공부완전정복!!
05/01/16 18:54
수정 아이콘
너무 심하게하시네요 이렇게 계획을잡아도 다하지도 못할거 같은데.. 무시하는게 아니라 저는 예비고2인데 차라리 공통을 확실히 잡는게 훨씬좋습니다
05/01/16 19:05
수정 아이콘
9-가는 중3내용 아닌가요,,? 공통수학은 10-가 아닌가,,?
goEngLanD
05/01/16 19:07
수정 아이콘
이런 계획은 좋은데 실천하기가 쉬울지 ...
왠만한 애들도 이런 계획 다 세우지만
정작 실천하는건 100명중 한 3명 ?
반 1등 하는 애들이 저거보다 적게 하고 올라오던데

계획이 의욕만 앞서신거 같네요 ..
조금 널널히 수정해보세요
goEngLanD
05/01/16 19:09
수정 아이콘
그리고 질문게시판으로 gogo ..
비의종소리
05/01/16 19:09
수정 아이콘
저기요. 수학 10 가,나가 그렇게 빨리 끝낼 수 있는 건 줄 아세요? 고1때 수2까지 다 공부할려고 하다니... 고1 겨울 방학 전까지. 10-가.나 확실하게 하세요 가나 안되면 수1 수2 공부하나 마나 입니다. 특히 방정식 부분은 기본개념 제대로 잡혀 있어야 합니다. 삼각함수 또한요.
05/01/16 19:11
수정 아이콘
예 질문게시판으로 가주세요.
05/01/16 19:15
수정 아이콘
고등학교 입학할때 수II 다 끝내고 들어가는케이는 봤습니다만....고1때 수I 까지 끝낸친구가(이친구는 이과입니다) 전국 모의고사는 훨씬 잘나오더군요(전국백분위 99.9%)
진도 빨리나가실 필요 없습니다. 수II는 고1 겨울방학때 하셔도 충분합니다. 수I 제대로 해놓지 않으면 나중에 수II 하면서 수I 까지 해야될 일이 생깁니다. 명심하세요. 특히나 공통수학은 수I의 기초가 되는것이기 때문에 자세히 해놓지 않으면 수I 문제풀다가 태클 엄청 걸립니다. 지금은 우선 남들보다 앞서나가고 싶은 마음 굴뚝같은건 알지만, 기초가 너무중요합니다.
05/01/16 19:18
수정 아이콘
한가지 덧붙이자면 하루에 10시간까지 가능한게 아니라, 하루의 목표를 끝낼때까지 하는방법을 택하는것이 좋습니다(물론 막연히 공부하는게 아니라 먼저 어느정도 공부해보고 적당히 시간을 맞춰줘야 겠죠). 사실 말이 10시간이지, 정석풀고나면 남은시간은 그리많지 않습니다. 또 시간에 얽매이다 보면 정작 책상에 앉아있긴 한데 공부하는 시간은 그리 많지 않게 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배정기
05/01/16 19:50
수정 아이콘
그 계획 못 지킨다에 올인...
우선 그냥 10가 천천히 보고 독서나 많이하세요..
선행 많이 한 애(지금 미적 끝내고 과학하는 놈)보다 제(수학10가 조금 끌적이다 왔음)보다 잘 나옵니다 벌써 부터 너무 조급하게 하지마요..
수능은 장기레이스이니까
帝釋天
05/01/16 19:52
수정 아이콘
이곳보다는 인터넷 강의 사이트 학원 강사에게 질문하는 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전문성이라는 게 있으니까요.
우울저그
05/01/16 20:11
수정 아이콘
진짜 권하고 싶은건, 고등학교 가기전에 추억을 좀 많이 만드시고, 독서를 많이 하세요. 수학 공부보다 영어 공부 기초 다지는게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Papilidae
05/01/16 20:12
수정 아이콘
YaKaMa님의 말에 한표 던집니다.
제갈공명토스
05/01/16 20:32
수정 아이콘
우와 계획이 참 대단하신데요. (참고로 저는 수학 50점대 ㅠ)
저런 딱딱한 계획은 실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학도 중요하지만 영어 독해공부도 틈틈히 하시구요. 독서도 많이하세요. 그리고 독서도 꾸준히 하시구요. 계획을 조금 헐렁하게 하세요.
05/01/16 20:36
수정 아이콘
예비 고1이세요? 그럼 방학동안 수학 10-가만 끝내도 잘하신겁니다 -_-
클레오빡돌아
05/01/16 20:50
수정 아이콘
BluSkai님 말씀에 동감합니다. ^^;; 저 지금 고1 올라가는데 수학선생님께서 예습보단 복습을 하라고 해서 수학10-가,나 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저 수학 못하는편 아니구요;; 내신은 수이상.. 모의고사는 3등급 밑으로 내려가본적 없는 학생입니다.
05/01/16 22:02
수정 아이콘
저는 이제 고2올라가는데요 고1때도 그랬는데 거의 진도가 학교공부보다 약간 앞서나가는 정도만 했거든요. 그래도 먼저 다 뗀 애들이랑 비교해서도 별로 차이안나고 오히려 잘했거든요. 많이 하는것만이 중요한게 아닌것 같아요.
임수정
05/01/16 22:30
수정 아이콘
흠.....
저도 예비고1 인데요
독서는 나중에 언어영역 대비로 현대문학 현대시 그런걸로 해야되나요?
아님 그냥 집에있는 아무 책이나.....?
05/01/16 23:17
수정 아이콘
여담이지만 이거 자유게시판에 있던 질문이 여기로 온거군요;

임수정//독서는 아무책이나 읽어도 좋지만(만화책은 당연히 제외겠죠?) 현대소설류를 읽어주시는게 좋긴 합니다만, 꼭 그런것만은 읽을필요 없이 자기가 좋아하는 책을 읽으면 됩니다.

언어영역은 우선 책을 많이 읽으시고, 학원등에 다니시면서 문제푸는 스킬이나 방법등을 배우시고 점차 연습하다보면 올라갑니다. 지금은 책읽는게 도대체 얼마나 도움이 될까? 라는 생각을 가지고 계실지 모르지만 나중에 고2나 고3 가보시면 자연히 알게되실겁니다.
05/01/16 23:31
수정 아이콘
수학-가,나 를 2개월만에 끝내시려고하는데 고등학교수학중 1학년 내용이 가장 어렵다고 대부분의 경험자들이 말합니다. 그렇기 때문그건 쪼금 무리있습니다. 그리고수학1은 다른건 혼자서도 잘할수있지만 순열 단원부터는 완전히 머리가돌정도로 어렵기 때문에 단시간에 끝낸다는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그리고 수학2는 제가 생각하기에는 가장 쉽습니다.또 미분적분의 경우 저희는 2학기 말에 완전히다끝났고 공식만 많을뿐 어렵다고는 말할수 없습니다. 그리고 정석보다 교과서를 마스터하는게 더낳다고 생각합니다.
/임수정/님 언어영역은 독서를 많이 하면장땡입니다. 참고로 우리학교에 공부는 안하고 판타지 소설같은거만 보는 선배가 있었는데 요번수능에서 만점을 받았습니다.
오라메디테란
05/01/16 23:59
수정 아이콘
수학공부만 하실생각이 아니라면...계획표를 수정하시는편이 나을듯 합니다. 고1 겨울방학부터 수1이나 수2를 동시에 시작해도 늦지 않습니다. 1학년때는 10-가 10-나를 확실히 익히는게 좋습니다.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10-가, 10-나 저는 수1보다 공통수학이 더 어렵더군요. ^^ 그리고 저도 다른 분들의 조언처럼 독서를 많이 하는것을 추천합니다. 주로 현대소설이나 고전소설을 읽는게 좋지만 그건 금방 질려버릴수 있으니 그냥 좋아하는 종류의 책을 많이 읽으세요. 고2, 고3때는 따로 언어준비를 위한 책 읽을 시간이 부족합니다.
CopyLeft
05/01/17 00:10
수정 아이콘
다달이 세워놓은 계획을 모두 다 실천 할 의지가 있다면 추천할만한 학습법입니다만, 그 의지의 지속성이 어느 정도일지는 알 수 없으니....
이제 고1이시고, 시간도 어느정도 있으시니 하나를 보시더라도 이해될때까지 끝까지 보는 집요함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그것이 때론 집착이라도 괜찮습니다.공부에 있어서는요. 시간이 모자라서 공부를 다 못할 시기는 아닌것 같습니다. 의지의 지속성여하에 달려있다고 보여지네요.
지금 시기가 고1이라면 말이죠.
레피넬
05/01/17 00:18
수정 아이콘
... 저도 이제 예비 고1인데요... 저정도면 엄청 빡세네요.. 쿨럭 -_-;;;
제가 엄청 한심하게 보이는... 혼자 하실 경우 의지가... 엄청 강하시거나 그냥 생각없이 공부만... 하시는 분이라면 추천... 하지만 저같이 대충 놀고 먹고 시험때면 친구들 염장지르는... 타입이라면 절대 비추...; 뭐 학원에서 과외같은 경우에서 저 계획표로 수업을 진행한다면.. 할 수는 있겠네요... 쿨럭;;;
05/01/17 18:36
수정 아이콘
흠..난 고3때도 하루에 10시간정도밖에 공부안한거같은데..무슨고1이 그렇게 공부를-________________-절대 필요없다에 올잉 좀 노세요
가을의 남자
05/01/23 00:09
수정 아이콘
중학교 수학하세요. 과고대비용 문제집풀다보면 이게 중학교문제인가 대학교 문제인가 헤깔리는것들도 있습니다. 수학을 국사같이 생각하시는 분인가 본데요. 수학은 외우는것이 아닙니다.(물론 공식은 외워야되는거지만요.) 그리고 정석은 한권보는데 2달걸립니다. 하루에 3시간씩 나가도 2달이 걸리는데 혼자서 한달만에는 못나가죠. 중학교 문제집도아니고요. 아무튼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6483 프로가 테란상대로 캐리어 쓸때.. [6] 영웅의재림1862 05/01/18 1862
6482 오늘 게시판을 보다가.. [1] Nerion1471 05/01/18 1471
6481 테란 대 저그전에서 폭탄드랍에 대한 질문! [3] 김준용1757 05/01/18 1757
6479 스타 채팅창에 도배에 관한 질문입니다..^^; [2] ∑엽기플토2614 05/01/18 2614
6478 싸이에서요 사진첩 같은거 사용 안함으로 하면 전에 있더 사진 다 날라가나요? [2] 뻘짓1321 05/01/18 1321
6477 재수 시작하려고 하는 재수생 입니다[조언부탁ㅜㅜ] [9] 명란젓코난1297 05/01/18 1297
6476 시디굽기 오류... 공부완전정복!!1919 05/01/18 1919
6475 소개팅 후의 애프터 신청 [11] Athena2315 05/01/17 2315
6474 예비 고2 문과생입니다. 공부 계획에 대한 많은 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9] 서창희1560 05/01/17 1560
6473 Cd-rom에 관한 질문요 [1] 빛의강림1576 05/01/17 1576
6472 지영훈 선수이신가? [8] 배정기2187 05/01/17 2187
6471 이건준 선수는 어떤 사람이죠? [1] 이웃집거지 용1764 05/01/17 1764
6470 노스텔지어 테란으로 프로토스 상대법 질문합니다... [4] 낭만토스1713 05/01/17 1713
6469 오늘 엠겜 예선하는걸로 아는데 [1] 원팩더블1826 05/01/17 1826
6467 가르쳐 주십쇼~ [1] 바람의파이터1759 05/01/17 1759
6466 스타리그 일정에 관해서 [2] 룡호어린이1575 05/01/17 1575
6465 목이 매우 뻐근할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6] 레피넬1618 05/01/17 1618
6464 전자사전 추전 해주세요~~ [5] 자갈치1589 05/01/16 1589
6463 아주 기초적인 수학 용어 문제입니다.(도전해봐요!) [25] 문제출제위원2108 05/01/16 2108
6462 예비고1 공부에대해서 Q. [28] Dis★~1946 05/01/16 1946
6461 이제 고1 올라가는 학생입니다. [3] 소라.~1644 05/01/16 1644
6460 확실한 답변좀 부탁드립니다.-_- [1] 잃어버린기억1590 05/01/16 1590
6459 프로토스의 모든전략 어딧는줄 아시는분~!!! [1] [Oops]ReaCh1521 05/01/16 15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