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4/12/30 19:32:32
Name 제갈공명토스
Subject 예비고 1인데요. 수학에 관한 질문하나.
저는 지금 예비고 1인 한 남학생 입니다.
pgr 에 글 올린경험도 꽤나 많은 pgr 매니아중 하나입니다.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자면 저는 지금 수학때문에 고생하고 있습니다.
아니 오래전부터 고생해왔습니다.

학원에서는 수학의 정석을 하고 있지만 수업진도에 맞춰서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집에서 나름대로 복습도 해보고 있지만 그게 잘 되지 않더군요. 이해도 안되고.

그래서 수학 중 1꺼부터 다시 보고있는데요.
제가 정석과 수학 중 1꺼를 다 본다면 체계가 잡히지 않을꺼 같아서요.

pgr여러분들은 정석과 수학 중 1 다 하는게 저한테 좋을까요
아니면 중학교 1학년수학만 하는게 좋을까요?

참고로 저는 수학 50점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준신
04/12/30 19:53
수정 아이콘
흠....일단 제 생각엔 중학교과정의 개념원리 책이 있습니다. 그것을 이번 겨울 방학 안에 빨리 보시기를 바랍니다. 만약 시간이 모자르면 목차를 보면 약한 부분이 보이는데 그 부분을 열심히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 다음은 고등학교 들어가면 바로 정석을 사서 계속 정석을 보시기를 바랍니다. 누가 뭐라해도 수학의 정석적인 공부 방법은 정석이기 때문입니다. 꼭 뒤에 있는 연습문제까지 꼭 풀어 보시기를 바랍니다.
Legend0fProToss
04/12/30 20:20
수정 아이콘
정석 처음볼때는 연습문제는 뒤로 미뤄두세요
일단 연습문제 유제 싹푸시고 다시 한번더보시면서
연습문제 풀어보세요 지금은 일단 중1중2중3교과 빨랑 한번 보시구요
너에게로또다
04/12/30 20:24
수정 아이콘
정석을 보세요.윗분 말씀대로 수학은 개념이 중요합니다.
고2때까지 정석책+학교 수업 으로 공부하시다가 고3때 다양한 문제를 접하면서 실전능력만 키우신다면 문제없습니다.수학은 단시간내에 성적이 잘 안오르기때문에 조바심내면 안됩니다..제 풀에 지켜 포기하는 학생 많이 봐왔습니다.정석책 들고 미처보세요 -_-
박경진
04/12/30 20:39
수정 아이콘
스타를 즐겨하는 수학교사입니다. 수학을 공부하겠다는 열정을 느낄수 있었습니다. 흔히들 고등학교 수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있어 정석은 하나의 필독서로 자리를 잡고있습니다. 하지만 수학실력이 튼튼하지 않은 학생들이 공부하기에는 좀 어려운면이 있습니다. 수학은 개념을 바탕으로 하는 과목이기 때문에 문제를 많이 풀어본다고 해서 수학실력이 늘어난다고는 할수 없습니다.(물론 많이 풀어보면 좋습니다.) 교과서로 공부를 해보시는 것이 기본실력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단 교과서의 중요부분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모든 부분을 정독하신다는 생각으로 차근차근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의 부분은 확실하게 기억해 두는 것도 잊지 마시구요. 튼튼한 기초개념을 갖게 된다면 어떠한 응용 문제를 만나도 당황하지 않게 되면서 어느새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 입니다. 중도에 포기하지 마시구요. 꾸준히 노력하시면 수학 고수가 되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열심히 공부하세요.
FTossLove
04/12/30 20:55
수정 아이콘
고교 수학 과외만 수년간 가르쳤었는데요
중학 과정 기초가 부족한 상태에서 고교수학을 예습하는건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어느공부나 마찬가지겠지만 특히 수학은 피라미드 탑쌓기와 마찬가지라서 기본 바탕이 튼튼하지 않으면 똑같이 공부해도 절대로 실력이 안늘어요.
고교입학전까지 중1-3과정을 확실히 해 두세요. 중1꺼만 공부하는건소용없습니다. 괜히 어려운책 붙들고 공부하지 마시고 교과서가 제일입니다.
04/12/30 20:58
수정 아이콘
수학을 잘하고 싶으면 교과서를 확실히 마스터하면됩니다. 저도 거짓말인줄알았는데 고1때 놀다가 모의고사에서 6등급 도 못맞았는데 지금은 그냥 교과서와 보충교재로 공부를 하니 3,4등급이 나오더군요. 교과서 가 가장 중요합니다.
FTossLove
04/12/30 21:07
수정 아이콘
염려가 되서 한마디 더 하자면
남들 학원다니면서 미리 정석배운다고 절대 따라가지 마시기 바랍니다.
예습보다 철저한 복습이 훨씬 중요해요.
오래전 일이지만 --;; 전 고교입학하기전까지 정석 한 번도 보지 않았고 진도 이상으로 예습한적도 없었습니다.
하지만 고교때 수학에서만큼의 거의 틀려본 적이 없었어요. 게다가 수능세대가 아니라 본고사세대였거든요.
중학교 수학에서 90~100점정도 실력이 아니면서 벌써 정석이나 공부하는 아이들.... 상당히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해요.
학교진도에 맞춰 나가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수학1의정석--v
04/12/30 21:08
수정 아이콘
박경진님이랑 FTossLove님의 말씀에 동의합니다.
제발 중학교과정 확실히 정리해두세요. 하나의 흐름입니다.
단순히 대충 개념만안다고 건너뛰지마세요.
확실한 이해를 해야합니다. 고등학교수학을 잘하는이는 결국 공통수학을 잘하는 이고 공통수학을 잘하는이는 중학교과정이 튼튼한 학생입니다. 중학교과정이 튼튼하다고 하는것은 단지 개념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 수학적인 아이디어가 문제입니다. 중학교과정의 수학적 아이디어를 확실하게 해놓으셔야 공통수학의 이해를 심도깊게 할수있으며
그래야지 수1 수2와 연계된 공통수학의 문제를 생각을 하며 풀수있는거예요
04/12/30 22:44
수정 아이콘
수학 50점대라면 어느정도 중학교 과정 공부를 하셔야 할겁니다
그리고 문제집 전에 교과서 완전히 이해하려고 노력하세요
교과서를 통한 학교 수업만 100% 따라가도 50점은 훨씬 넘기실겁니다
교과서를 완벽히 따라가게 된 시점부터
쉬운난이도에서부터 문제집에 손을 대세요

또 중요한것은 '열심히 하는것' 이라 생각됩니다
제가 뼈저리게 경험한 내용이기도 하고요
저는 중학교때 수학은 항상 100점 나왔습니다
다음부터 수학시험을 우습게 보고 노력도 안했더니
고등학교 첫시험에서 60점대의 좌절을 맛봤죠 -_-

노력하셔서 저와 반대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겨울방학 잘 이용하시기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6226 작정하고 오는 8배럭 치즈 벙커링... 어떻게 해야할까요? [5] 나야NaYa1962 04/12/31 1962
6224 [긴급]김동수 해설위원 연락처를 구합니다. [10] 정 주지 마!2692 04/12/30 2692
6223 언어영역에 관해서... [6] ggMan1645 04/12/30 1645
6222 2004년 펼쳐진 온게임넷과 엠비씨게임의 게임 수. 잇힝1870 04/12/30 1870
6221 프라이드2004 남제(男際) 대진표 아시는분... [2] 문워크 프로부1557 04/12/30 1557
6220 예비고 1인데요. 수학에 관한 질문하나. [9] 제갈공명토스1579 04/12/30 1579
6219 비주얼 c++ 질문입니다. [3] 시즈플레어1458 04/12/30 1458
6217 예비고1 인데요... [2] StoneCold추종자1635 04/12/30 1635
6216 스타중 화면 깨지는 현상 나이트클럽1893 04/12/30 1893
6215 스타크래프트 오류에 관해서 [2] 스텝좀밟앗니1592 04/12/30 1592
6213 게임 도중 중간 중간에 잡음이 납니다. [1] hi!템플러1592 04/12/30 1592
6211 익스프롤러 오류가 너무 많이 일어나요... [2] Naraboyz1511 04/12/29 1511
6210 서울에서 재미있게 놀 만한 곳이 없나요? [6] 나를찾아서2194 04/12/29 2194
6209 베넷에서 말입니다. [1] RushGo~★1940 04/12/29 1940
6208 영어 단어/숙어장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BluSkai3130 04/12/29 3130
6207 IAUDIO U2 사용자님들께 질문요~ [5] woojoo1632 04/12/29 1632
6206 동영상문제요.. 임수정만세1515 04/12/29 1515
6205 기타에 관한 질문... [1] Zeroize2195 04/12/29 2195
6204 펭귄 프로그램에 대한 몇가지 질문 입니다. [5] 우우웅1795 04/12/29 1795
6203 5.1 ch 추천부탁드립니다... [4] JHfam1798 04/12/29 1798
6202 [러브스토리인하버드] SBS 드라마플러스.. [3] 잃어버린기억1628 04/12/29 1628
6201 여러가지 질문들.... [1] 자갈치1585 04/12/29 1585
6200 위닝7을 하다가 점점 빨라져요.. [2] lightkwang1603 04/12/29 160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