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5/25 07:51:57
Name 6436346326
Subject 공산당선언의 철학적 의의가 뭔가요?
공산당선언은 아무리봐도 사회학적으로밖에 생각할 수밖에 없네요...
철학관련 교양수업 숙젠데 아무런 사전지식도 없이 읽다보니까 무슨 내용인지도 잘 모르겠고
이걸 철학적으로 어떻게 느낀점을 써야 할지도 막막하네요...
사회학적으로라도 공산당선언이 갖는 의미같은 것이 뭐가 있는지 좀 설명해 주시면 좋고
철학적으로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제가 읽은 부분은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와 프롤레타리아와 공산주의자 이 두 부분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진리탐구자
09/05/25 08:17
수정 아이콘
실천철학의 관점에서 보는 것은 어떠합니까. 이를테면 공산당 선언의 사회/정치/역사/윤리철학적인 면모를 조명해볼 수 있겠지요.
09/05/25 09:46
수정 아이콘
맑스가 후에 완성시킬 소위 '역사적 유물론' 의 기초를 엿볼 수 있습니다

포이어바흐 류의 '기계적 유물론' 과는 갈라지는 역사적 유물론의 단초가 이 팜플렛에 들어 있지요
역사적 유물론이란, 정말 거칠게 이야기하자면 역사가 물질에 의해 추동되고 움직인다는 이론입니다.

생산력과 생산관계, 그리고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간의 긴장과 갈등,
그리고 그 속에서 일어나는 변혁과 그로 인한 관계의 재설정이 역사를 이끌어간다는 것이지요
Ms. Anscombe
09/05/25 11:32
수정 아이콘
두 가지 차원이 있다고 봅니다.

하나는 역사 철학적 관점으로, 거품 님 말처럼 역사를 설명하는 방식을 논의하는 것입니다. 이것도 두 차원을 나눠볼 수 있는데, 형식의 차원에서, 역사는 일정한 방향을 따라 전진한다는 입장(목적론적, 역사 철학적)과 여러 경로 중 하나가 선택된다는 입장(목적론 반대, 역사적 상황 강조)으로 나눠볼 수 있겠습니다. 또 하나는 내용의 차원으로 의식의 변화를 강조하는 입장(헤겔, 콩트 류)과 사회적 제반 조건을 강조하는 입장(역사 유물론)으로 나눌 수 있겠죠. 뭐 나누는 거야 사람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이지만. 역사가 형식적으로 어떻게 발전(목적론이든 아니든)해 왔는가, 그리고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었는가,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추면 충분히 철학적 논의 대상이 될 것 같습니다.

다른 하나는 의식의 문제입니다. 맑스의 '존재의 사회 구속성' 개념은 근대 철학의 자율적 의식에 대한 강한 비판이 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사회학적 관점을 덧붙이면, 의식이 단순히 구성된다는 게 아니라 계급적 이해 관계에 의해 구성된다는 것이겠죠. 이를 설명한 개념이 '이데올로기'일 것입니다. 근대 철학자들(데카르트부터 로크, 흄, 칸트, 헤겔에 이르는)이 의식을 설명한 방식과 맑스의 설명법의 차이를 보여주면 역시 충분히 철학적 논의 대상이 될 수 있겠네요.

'공산당 선언'의 목적은 철학적 논의가 아닙니다만, 실제 이러한 논의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6265 게토 같은 프로 그램 구할수 없을까요? [8] 라캉~2173 09/05/25 2173
56264 영어 질문 드립니다. [6] 비야레알1626 09/05/25 1626
56262 발톱이 뒤집혔습니다;;; 으앙..도와주세요-_- [16] 루나양4732 09/05/25 4732
56261 맞춤 양복에 관한 질문입니다. [8] 항즐이2973 09/05/25 2973
56260 gif파일 저장하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3] MOTIVELY2148 09/05/25 2148
56259 안녕하세요~ 홈페이제에 낙서장같은거 만들수 없을까요? [2] 래토닝1931 09/05/25 1931
56257 현금서비스를 계속 받으면 신용등급이 떨어지나요?..ㅠ.ㅠ [6] 카스트로폴리3919 09/05/25 3919
56256 주유소 할인카드에 대해서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2] 신밧드2229 09/05/25 2229
56255 운영자님께 건의 드립니다 [9] 나고리유끼2431 09/05/25 2431
56254 한국 근,현대사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도와주세요 [8] 김석원2162 09/05/25 2162
56253 종합소득세 관련 질문입니다. [2] Cute Poison1788 09/05/25 1788
56252 스타트랙 더 비기닝 - 그 이후의 이야기가 궁금합니다. [2] 로랑보두앵2182 09/05/25 2182
56251 내년 여름에 남아공을 가고싶은 대학생 입니다~ [5] ojh8810041850 09/05/25 1850
56250 이번 방학때 해외여행갈려고하는데 어디로 갈까요??? [10] 래토닝1905 09/05/25 1905
56249 공산당선언의 철학적 의의가 뭔가요? [3] 64363463262307 09/05/25 2307
56246 오늘 mbc espn 프리미어리그 엔딩곡 제목이 궁금합니다. [2] Claire2492 09/05/25 2492
56245 머리카락을 직접 짤라보려고 하는데요 [1] 에리1917 09/05/25 1917
56244 더블엘리미네이션 대진표 좀 만들어 주실분? No.1정민,5503 09/05/25 5503
56243 ATI 라데온 HD 4770, 언제쯤 시장에서 볼 수 있을까요? [7] sangbung1888 09/05/25 1888
56242 전두환이 무기징역 받은 이유? [4] SaiNT3173 09/05/25 3173
56240 검은정장에 갈색구두 괜찮은가요? [9] 리썽5010 09/05/25 5010
56239 크리링과 18호 [19] 바나나 셜록셜5401 09/05/25 5401
56238 조직론에서 Thopson's Level Model은 톰슨의 수준 모델? [3] 선미남편2038 09/05/25 203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