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5/25 01:55
1. 글쎄요 애매하기는 한데 일단 기본적으로 성능차이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기판과 쿨러에 의해 살짝 날듯말듯도 할 정도입니다 2. 변종은 기본기종과 달리 메모리 클럭이나 코어클럭을 살짝 높힌버젼입니다 OC(오버클럭)라고도 하죠 4770이 가격대비 킹왕짱의 성능이었는데 가격이 안드로메다로 가버리면서 다시 한번 고민해야할때입니다 (109$로 출시 되었으니 최소한 14~15만원 사이어야 하는데 참... ㅠㅠ)
09/05/25 02:18
게임을 한다거나 하는 이유로 그래픽카드가 꼭 필요하다면 모를까 아니라면 그래픽카드는 구입을 보류하시는게 좋을 겁니다
다른거 사기는 좀 애매하고 4770은 시장에 좀처럼 풀리지 않고 있거든요 게임을 하지 않는다면 내장그래픽으로도 충분하니 내장그래픽 달린 보드를 산 후 차후 필요시(스타2 출시라든가...) 다는게 좋겠습니다 물론 그때 또 뭐가 대세가 되어있을지는 며느리도 모르죠 예를들어 아마도 라데온 5000대가 출시될 때에 맞춰 스타2가 정식출시될 걸로 예상이 되는데 그때가 되면 4770은 '대세, 꼭 사라'에서 '강추까지는 안하지만 꽤 좋은 카드'수준으로 떨어져 있을 겁니다
09/05/25 02:50
4770이 물량을 풀기 싫어서 안 푸는게 아니라,
40나노 공정의 신기술로 만들었는데, 문제도 좀 있고(?) 아무튼 수요만큼의 대량 생산이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지금 4850의 가격도 많이 떨어졌으니까, 6월초라면 상황봐서 4850도 생각을 해 보는것도 좋을 듯 하네요. 성능은 당연히 상위기종인 4850이 더 좋습니다. 전력소모량을 뺀다면 말이죠.
09/05/25 10:07
캐나다는 지금도 구매 가능하지만.. 가격이 $179로 나와있네요-_-;;; 직영점도 아니고 소매상이어서 비싼거 같긴 하지만.. (18만원)
09/05/25 14:03
회사가 다를경우 코어/메모리클럭이 같다면 성능상은 같습니다.
회사별 나머지 차이라면 a/s와 쿨러의 차이등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시면 되요.
09/05/25 23:11
답변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6월에 상황보면서 가능성이 없어보이면 HD4850,4830,지포스9800GT 쪽으로 다시 생각해 봐야겠네요. 9년여 만에 컴퓨터 새로 장만하는지라 공급 안정화 되어서 꼭 원하는 부품 구매 했으면 좋겠네요...ㅜ.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