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4/25 21:53:04
Name CoolLuck
Subject 자살의 법적인 취급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자살이 범죄로 취급되나요?

만일 그렇다면 인간이 자신의 생명을 포기할 자유에 대해

어떠한 근거를 통해 법적 제한을 가하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오해를 막기 위해 첨언하자면 오늘따라 비도오고 우중충한게 자살이 땡겨서-_-; 그런 건 아니고요...

뉴스에서 경찰이 자살자 생명 구했다... 하는 내용이 나오길래 급 호기심이 생겨서 그렇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오렌지
09/04/25 22:02
수정 아이콘
범죄 아니에요.
죽었는데 어떻게 처벌할수도 없구요.
자살 방조죄는 있습니다
09/04/25 22:03
수정 아이콘
<형법>

제250조(살인, 존속살해) ①사람을 살해한 자는 사형,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에 처한다.
②자기 또는 배우자의 직계존속을 살해한 자는 사형, 무기 또는 7년 이상의 징역에 처한다.<개정 1995.12.29>

제252조(촉탁, 승낙에 의한 살인등) ①사람의 촉탁 또는 승낙을 받어 그를 살해한 자는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②사람을 교사 또는 방조하여 자살하게 한 자도 전항의 형과 같다.

제253조(위계등에 의한 촉탁살인등) 전조의 경우에 위계 또는 위력으로써 촉탁 또는 승낙하게 하거나 자살을 결의하게 한 때에는 제250조의 예에 의한다.

명문의 규정에 의하면, 자신의 자살은 법적인 규제가 불가능하지만
타인의 자살을 방조하거나, 자살하도록 도와주는 행위는 형법에 의해 처벌받습니다.
판례에 의하면, 자살을 시도하는 사람을 봤음에도 불구하고 돕지 않으면 죄가 성립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다양한 판례가 있어 복잡하긴 합니다.)
아마 경찰의 경우에도 자살하는 사람을 찾았기 때문에, 형법 252조를 유추해서 구하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마동왕
09/04/25 22:37
수정 아이콘
일단 자살을 시도해서 성공한 사람의 경우 해당이 될 수가 없습니다. 자살에 대한 조문이 있건 없건 간에 죄를 적용시킬 행위자나 피행위자가 없습니다. 죽은 사람은 말이 없는 법이죠.;; 문제는 자살미수를 살인미수나 상해죄로 볼 수 있느냐는 것인데... 자세한 것은 밑에 분이..
09/04/25 22:57
수정 아이콘
자세히는 모르지만 자살미수가 범죄라면 피해자는 자신이며 가해자는 자신이겠군요.

둘이 만나서 소주한잔하고 합의봤다고 하면 법이 끼어들 여지가 있을지모르겠네요
09/04/25 23:38
수정 아이콘
그저님// 법은 잘 모르지만 합의로도 해결이 안되는 죄도 있을텐데요.
09/04/25 23:41
수정 아이콘
윗분들이 답변을 다 한 셈입니다.
형법은, 자신에 대한 가해행위는 처벌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살은 미수에 그쳤다 하더라도 처벌할 수 없고, 자신의 신체에 스스로 상해를 가하였다 하더라도 처벌할 수 없습니다.

자살방조죄를 처벌하는 것은, 비록 자살시도자의 입장에서는 자기 자신에 대한 가해행위를 함에 있어 남이 도와 준 것에 불과하지만, 자살방조자의 입장에서는 그 자살시도자에 대한 가해행위의 성격도 함께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자살자를 보고도 모른 척 하였다 하여 자살방조죄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번에 보도된 경찰관의 경우에는, 누군가 생명에 위해를 받고 있다고 할 때 이를 구하는 것은 경찰관으로서의 당연한 직무이기 때문에 이를 행한 것이지요.
마동왕
09/04/26 01:00
수정 아이콘
은별님// 질문자는 아닌데 답변 감사합니다^^;; 또 하나 알았네요. 제대 후 갓 복학해서 열심히(?) 공부하는 법대생인데, 이렇게 인터넷으로 판사님과 글을 나눌 수 있다니 새삼 PGR의 대단함을 느낍니다.
창작과도전
09/04/26 01:02
수정 아이콘
음 궁금한게...

군대에서 자살내지 자해를 시도하면 보통 영창가거나 못해도 휴가제한이거든요.

군대에서는 어떤논리로 처벌하는건가요?

거기다 군생활이 힘들어서 자살기도 한 사람을 휴가제한을 줘버리는건 어떤 논리일까요?
아로스아로스
09/04/26 06:42
수정 아이콘
창작과도전님// 군대에서는 자기몸도 자기것이 아닙니다~사회와 비교불가죠~
09/04/26 09:19
수정 아이콘
미국에선 자살미수를 하면 감옥에 가는걸로 아는데 한국과 다르군요.
09/04/26 10:00
수정 아이콘
창작과도전님//
꼭 군대가 아니더라도, 직장 내에서 자해행위를 하면 징계는 가능하겠지요. 그와 같은 행위는 대부분의 직장에서 징계대상에 해당할 것입니다.
영창은 형벌이 아니라 징계의 일종입니다. 다른 직장 같으면 해고나 감봉일텐데, 병에게 감봉을 해봐야 아무 소용이 없으니 영창을 선택한 것이겠지요.

S2)Is(님//
제가 아는 범위에서는, 미국의 일부 주가 자살미수를 처벌하고는 있지만, 실무상 실형까지 과하지는 않는 것으로 압니다.
P.S. 미국이든 한국이든 언론에 보도되는 것은 대부분 여러 명이 합동으로 자살을 시도했다가 미수에 그친 경우인데, 이것은 서로 상대방에 대한 자살방조죄가 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우리나라에서도 언론에 보도되는 대부분의 자살미수는 감옥에 갈 수 있습니다.

마동왕님//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감사합니다.
09/04/26 10:47
수정 아이콘
창작과도전님//
<군형법>

제41조(근무기피목적의 사술) ①근무를 기피할 목적으로 신체를 상해한 자는 다음의 구별에 의하여 처벌한다.
1. 적전인 경우에는 사형·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에 처한다.
2. 기타의 경우에는 3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②근무를 기피할 목적으로 가병 기타 위계를 한 자는 다음의 구별에 의하여 처벌한다.
1. 적전인 경우에는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2. 기타의 경우에는 1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근무기피를 목적으로 한, 자살로 인한 신체상해로 인하여 군형법에 의한 처벌을 받게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이 법 아니어도 다른 법을 갖다대면서(명령불복종으로도 처벌할수 있습니다. 자살하지 말랬는데 왜 시도하는거냐! 라구요.)
09/04/26 11:07
수정 아이콘
Futrues님//
군형법 제41조 제1항은 제목 그대로 [근무를 기피할 목적]으로 [사술]을 행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규정입니다.
따라서, 해당 자살시도가 진정한 것으로 보이면 자살이 미수에 그치고 그 결과 신체상해가 잔존한다 하더라도 군형법 제41조로 기소하지 않습니다.
(적용하라고 펄펄 뛰는 지휘관도 있습니다만, 군검찰관들이 기소 못하겠다고 버티죠.)

명령위반죄로도 처벌할 수 없습니다. 2년마다 주기적으로 탈영자 복귀를 명하는 참모총장의 일반명령과 달리, 자살을 금지하는 명령 형태의 문서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자살방지대책 등이 매뉴얼 형태로 존재할 뿐입니다).
(혹시라도 어떤 참모총장이 법무감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일반명령을 한다면? 아마도 헌법 문제가 생길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4519 순열과 조합 문제풀이(해설)좀 부탁드릴게요! [4] 화이트데이2679 09/04/26 2679
54518 빈집도둑 막을만한 방법 없을까요? [1] 윤대협1930 09/04/26 1930
54517 빵집에서 없는 케익 만들어 달라면 만들어 주나요?? ^^;; [4] KrisAdis2173 09/04/26 2173
54516 [WOW] 힐러관련 질문 + 초보만렙 질문입니다. [8] FlyHigh2878 09/04/26 2878
54514 와우용 노트북 하나 추천해주세요~ [4] beloved2718 09/04/26 2718
54513 스타크래프트 채널 용어 관련.. [5] 카스3466 09/04/26 3466
54512 토플학원 추천좀 해주세요 [2] 까탈1989 09/04/26 1989
54510 수학 미분 질문드려요. [5] 너와나의거리2054 09/04/26 2054
54509 컴퓨터 멈춤현상 다시 질문요 ㅜㅜ [7] 윤하1651 09/04/26 1651
54508 매일 45분의 헬스, 어떻게 해야 효과를 볼까요 [14] Via_Avalon3119 09/04/26 3119
54507 컴퓨터 부팅 관련... 질문합니다. [4] 참글2369 09/04/26 2369
54506 운동에 대한 질문입니다. [4] 무늬2150 09/04/26 2150
54505 제가 사용하기 가장 효율적인 히터 방식이 무엇일까요? 겨울愛1580 09/04/25 1580
54504 공필성 & 박재홍사건때.. 이런말도 나왔나요? [8] 창작과도전4072 09/04/25 4072
54502 저기 김연아씨 말인데요 [27] 까탈2518 09/04/25 2518
54501 제 아이디가;;;;;이상합니다;; [44] Gun_PPang'-')2178 09/04/25 2178
54500 하드디스크 질문이요~ [5] iNoKiEs.1573 09/04/25 1573
54499 공부가 잘 안될 때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9] 쑤마이켈1874 09/04/25 1874
54498 자살의 법적인 취급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3] CoolLuck2469 09/04/25 2469
54497 오늘(4/25) 기아 승리투수가 왜 임준혁인가요? [8] dejavu2109 09/04/25 2109
54495 눈 뜨고 자는 여자들..? [23] 거침없는몸부4130 09/04/25 4130
54494 오늘 KBL챔피언결정전 다시보기 질문인데요 [3] 무쇠다리1562 09/04/25 1562
54493 컴터가 이상해요 ㅜ [3] 윤하1700 09/04/25 170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