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4/10 13:17
저도 무기물만 하다가 이제 유기물에 발을 들여서 정확히는 모르지만(아마 OrBef님의 1/10정도 지식도 안될듯), 억셉터와 도너의 역할에서 CNT가 억셉터역할을 못해주기 때문에 BHJ가 안되는 거 겠죠. 저도 알고 싶군요.. ㅜㅠ
CNT는 써본적이 없는 1인..
09/04/10 13:21
honnysun님// 어이쿠 전 전공이 이게 아니라서 잘 모릅니다..
fullerene 이 전자를 polythiophene 으로부터 한 개 받아도 안정하기 때문에 쓴다는 것, 그리고 fullerene 에 benzene chain 비슷한 걸 붙여주면 polythiophene 속에 맥시멈 용해도가 확 늘어난다는 것, 요 두가지가 장점이라고는 하더군요. 근데 CNT 키우는게 아무리봐도 더 쉬워보이는데 말이죠....
09/04/10 13:35
우와아아앙!!! J. Am. Chem. Soc., 2006, 128 (51), 16827-16833 이사람들이 CNT 로 해봤네요. 읽어보고 결과는 안알려드리겠습니다 우헹헹
09/04/10 13:38
대충 찾아봤는데 fullerene 와 polythiophene 의 결합시 HOMO LUMO의 안정화(?)가 보이네요. hopping의 용이함이 있어보입니다.
더 알고 싶지만 세미나 때문에 요까지. 시간나면 공부 좀 해봐야겠군요..
09/04/10 17:31
이건 먼가요~~ 대학원때 랩실 후배가 태양전지를 전공을 해서 귓동냥으로 어느정도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넘사벽... 좌절 크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