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3/19 22:35
1. 직렬회로면 저항은 바로 나오지 않나요? 병렬회로에서 노드에 나가고 들어오는 전류의 합-차를 이용한 게 KCL이니..
2. 같은 저항을 연결했다면 그렇게 계산하셔도 무리가 없어보입니다. 3. 저항 읽는 법을 모시면 아시겠지만 금색과 은색으로 오차를 표시해 둡니다. 그정도는 감수하시고 보셔야 할 듯 합니다. 4. 부하전류가 늘어나는 만큼 분로전류(처음 듣지만 나눠지는 의미라면)도 늘어납니다. 부하전류*a 라면 분로전류*a 가 됩니다. 간단한 병렬회로를 그려보시면 될 겁니다. 5. 기본으로 합니다. 전압분배기는 직렬, 전류분배기는 병렬. 6. 부하저항을 출력단에 달았다면 각각에 연결되는 저항을 젤 아래 있는 저항부터 병렬로 하나하나 계산해서 올라가야 합니다. 이건 좀 계산을 거쳐야 할 듯 하군요. 7. 무한저항은 V/I가 무한대이므로 I가 0입니다. 즉 오픈되어있다는 뜻입니다. 허접해도 이해해 주세요. 저때는 분로전류란 말도 안써서.. ㅜㅠ
09/03/19 22:47
honnysun님// 우선 정말 감사드립니다 T.T
1.KCL을 이용해서 구할수 있는 식 같은건 없는건가요? 2.그렇다면 길이가 늘어났다고 보는게 맞군요!! 5.그렇다면 전압분배기는 KVL 전류분배기는 KCL을 기초로 하는건가요? 마지막으로 다시한번 정말 감사드려요 역시 PGR을 사랑할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