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3/01 00:21:42
Name Ggobugi
Subject 야자&문제집 질문드려요
이제 고1 되는 학생인데요.
말 그대로입니다. 야자시간에 뭘해야 할지 모르겠네요.사람들이 언수외영역만 공부하라고 하는데
솔직히 이렇게 말해서는 뭔가 와닿지도 않고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하기만 하고요..
구체적으로 어떤식으로 어떤걸 해야하는지 알아야 할텐데..
뭐 단어같은거는 시간 아깝다고 외우지 말라고하더라고요. 어차피 단어야..지겹도록 외워왔으니 -_-;;
어쨌든 야자시간을 얼마나 어떻게 활용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하나더 질문이있는데..
고등학교랑 중학교랑 다른진 모르겠지만 일단 공부하는 방법이 달라지는건 확실하잖아요.
그래서 그런데..괜찮다고 생각하시는 문제집 있으면 써주세요
일단 수학은 개념유형 (학원에서하는) 하려고하고요..
이제 10나 나가고 있습니다.10가 문제풀이까지 끝난상태구요.(부등식빼고)
거기에다가 플러스 쎈수학 정도면 될라나요..
영어는 바짝인가?그거 한번끝내고 들어가서 다시 고1보다 좀 높은 수준에 맞춰서 학원에서 해준다고 하더라고요.
영수는 뭐..문제없을꺼라 생각되는데 나머지 과목이 궁금하네요.흔히 주요과목이라고 하는 국사과(수학,영어는 학원에서 해주니)
문제집이 뭐가 괜찮은지.. 나머지 과목들..은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도 헷갈리네요 이제 고딩 되다보니 모르는게 수두룩 ;;
뭐 물론 문제집만 좋다고 되는건 아니지만 이왕 쓸꺼면 좋은것 찾아서 쓰는게 좋을꺼라 생각되어서 질문드립니다.

ps.고등학교랑 중학교랑 차이 많이 나나요?(수업이나 야자같은거 말고 평상시 생활이나 이런것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리아
09/03/01 00:40
수정 아이콘
사람이라는게 참 신기한게 고등학교도 처음엔 힘들지만 계속하면 버틸만합니다 그리고 고등학교생활만 버티면 그 이상 공부시킬수도 없는노릇이니까(하루는 24시간이니) 웬만한건 다 버티던데요 전.....

수학은 정석/개념원리/아니면 글쓴분이 쓰신것도 좋고요
언어는 1학년이니 완자나 우공비 추천이요
영어는 정해진게 아니라 내신 일단 열심히 하시고 영어는 좋은거 많으니 (좋은게 많아서 모르겠다 싶으시면 ebs)

열심히하세요~!!
서늘한바다
09/03/01 00:47
수정 아이콘
단어 외우는데 시간이 아깝다면 도데체 뭘하면 시간이 아깝지 않는 것인지.. 제가 오히려 묻고 싶네요.
수능 단어 7000-8000정도는 완벽히 외워야 수능에서 일등급 받을 수 있는데...
그 정도로 단어가 완벽하다면 영어는 다른거 말고 유형별로 되어 있는 문제집 사서 푸십시오. 문법이야 나올만한 문제들 학원에서 거의 다 정리해 줄테니 그것만 완벽하게 습득하면 되니까요.
새롬1000제나 기타 1000제 문제집이 유형별로 익히는데는 도움이 될거 같네요.
Papilidae
09/03/01 01:02
수정 아이콘
과학은 완자...
09/03/01 01:41
수정 아이콘
서늘한바다//그게 아니라 야자때는 단어외우는것보다 다른거 하는게 효율적이란걸 말씀드리고 싶은거에요. 단어는 쉬는시간이나 점심시간 짬내서 외우고 복습해도 충분하다고 하더군요.학교선생님이나 학원선생님이요.다른 공부에 비해 단어공부는 단순히 단어장만 피고 봐도 외워지는게 단어라서 그렇게 말씀드린겁니다
천상비요환
09/03/01 02:18
수정 아이콘
수리는 풍산자가 개인적으로 굉장히 좋은 교재라고 생각합니다.
전 야자시간이 3시간이었는데(1시간반/10분휴식/1시간반) 대부분 수학 문제풀이 했어요.
월~금까지 야자하시니 저와 같다면 1차 야자때는 수학/2차야자때는 국사과를 요일별로 하심이 어떨런지..

http://orbi7.com/Board/BoardList.aspx?ID=xi_orbi_bookeval 문제집평가게시판입니다. :)
09/03/01 09:30
수정 아이콘
Ggobugi님// 맞는 생각 같네요. 단어를 외우는데 막 집중해서 뚫어져라 보고 있을 수는 없는 거니까요.
그시간에 영어 독해연습을 해보시거나(독학이든 강의든, 인강이든), 수학문제집을 푸시거나, 언어 기출문제 분석을 해보시거나 하세요.
09/03/01 09:50
수정 아이콘
무슨 문제집을 하든지 끝까지 보시면 되요.
한 문제집 끝까지 못끝내는 녀석치고 제대로 성적나오는녀석 많이 못봤습니다.

근데 만약 제가 1학년이라면 그냥 책읽겠습니다.
맘속에서 뭘해야될지 모르지 않고 '이렇게 해야 되겠다.'라고 마음먹기 전까진 그냥 전 책읽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낭만랜덤
09/03/01 12:04
수정 아이콘
사실 고1때부터 수능문제집을 풀거나 할 필요는 전혀 없고요. 그냥 기초만 잡으면서 쉬엄쉬엄 책도 많이 읽으시고 하세요. 고1때부터 너무 압박감에 쌓여서 사실 필요는 전혀 없어요.
제 주변에 고1때부터 너무 힘빼다가 오히려 고3됐을때 슬럼프에 빠지는 친구들도 보고 그랬거든요. 그러니 고등학교 생활 즐기면서 틈틈히 공부 하시면 되고요. 가장 중요한건 공부를 손에서 아예 놓아버린다거나 이런 사태만 오지 않도록 하면 된다는 겁니다.
그리고 고등학교가 중학교 때 보다는 훨씬 재밌습니다. 야자에 밤 늦게까지 잡아둔다고 처음에는 불평하시겠지만 솔직히 집에 있는거 보다 야자하면서 친구들하고 노는게 훨씬 더 재미있고요. 심지어 대학 와서도 고등학교때가 더 좋았다 라는 생각이 들때도 많으니깐요. 그리고 중학교때보다 아마 시간도 훨씬 빨리 갈거에요. 즐겁게 학교 다니다 보면 어느새 수능시험장에 앉아있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 할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또 고3된다고 너무 걱정하실 필요도 없어요. 고3이 힘들다 힘들다 하지만 나중에 막상 지나놓고 생각해보면 가장 추억이 많을 때이기도 하고 친구들하고도 가장 친하게 지내는 때입니다. 그리고 사실 재수해본 입장에서 재수할 때의 공부량에 비하면 고3때는 훨씬 공부량이 적기도 하고(물론 당사자들은 힘들지만요) 또 그에 비해서 재수할 때 보다는 성적이 훨씬 잘 오르기도 하죠.

어찌 되었건 즐거운 고등학교 생활 했으면 좋겠네요. 근데 남고에요 공학이에요???
09/03/01 14:03
수정 아이콘
답변들 감사드립니다. 남고가 아닌 공학입니다.남고 가면 죽을꺼같아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220 뱃살을 어떻게 빼야할터인지........... [10] DeStinY....2753 09/03/01 2753
51218 신발 추천부탁드립니다 ㅠㅠ [4] 2031 09/03/01 2031
51217 내일하는 곰클 결승은 어디서 보는거죠? [6] 마재곰매니아1926 09/03/01 1926
51216 이런 증상 겪어보신 분 조언구해요.. [6] Hildebrandt2081 09/03/01 2081
51215 오리지날 대공마룡 가이킹 결말 아시는 분? [2] 초보저그2164 09/03/01 2164
51214 야자&문제집 질문드려요 [9] Ggobugi1893 09/03/01 1893
51213 팔꿈치를 검사하려면 어느 병원에 가야 하나요? [2] MayBee1841 09/03/01 1841
51211 아이팟 클래식 80GB 질문드립니다 [1] 베가.2152 09/02/28 2152
51210 비스타 사용자분들 도와주세요 ~~~ [5] 쮜방울1923 09/02/28 1923
51209 노래를 찾고 있습니다. PGR 여러분 도와주세요! [15] YUIv1823 09/02/28 1823
51208 폰 사는데 고수분들 조언좀 해주세요 ㅠㅠ [4] 사레복1919 09/02/28 1919
51206 이마트 TV 가격 질문입니다. [6] Xell0ss2120 09/02/28 2120
51205 저그전 최고연승은? [6] PuSan_Bisu2172 09/02/28 2172
51204 마우리시오 쇼군에 대하여 마동왕2185 09/02/28 2185
51203 공CD 인식이 안됩니다. [3] 로트리버4087 09/02/28 4087
51202 정말 군대 가기전에 딱 하나만 물어볼게요~^^:; [8] snut2478 09/02/28 2478
51201 오늘 스친소 어땠나요? [4] 핸드레이크2084 09/02/28 2084
51200 스타리그 흥행에 필요한건 회차당 출전선수의 숫자가 아닐까요? [9] 중견수1675 09/02/28 1675
51199 IELTS 공부해보신 분 있으신가요? 조언 부탁 드립니다. [2] Camel1945 09/02/28 1945
51198 헤드폰 추천좀 해주세요! [4] 김라울1930 09/02/28 1930
51197 pmp를 샀는데 갑자기 터치가 안되네요 [5] kiss1550 09/02/28 1550
51196 프로게이머들이 가디언을 선택하는 모습이 자주 보이는 이유가 뭘까요? [7] 공방풀업아칸2160 09/02/28 2160
51195 왜 나이 많은 사람에게 존대말을 써야되죠? [40] Inocent5087 09/02/28 508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