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2/28 22:49
최연성 선수가 2003년 11월8일부터 2004년 7월1일까지 세운 25연승이 있습니다.
그 전에 홍진호 선수에게 패한 올스타전 전적을 빼면 29연승이구요. 다만 기간이 김택용 선수에 비해 훨씬 길고 itv랭킹전,챌린지 리그의 성적이 포함되어 있기에 직접적인 비교는 조금 어려울 수 있습니다. 현재 메이저급 (당시 OSL,MSL,듀토),프로리그급(프로리그,팀리그) 경기들만 치면 29연승중 16승 정도가 포함되네요. (기간은 10개월 가량) 프로토스는 9연승 이상이 없는거 같습니다. 혹시 강민 선수가 있나해서 찾아보았는데 단일리그가 아닌 모든 리그 합산시 9연승 이상의 기록은 없는 듯 하네요.
09/02/28 23:14
manly_toss님//
찾아보니 9연승 맞네요. 포모스로 찾아보니 2005년 11월 17일 김민구 선수전부터 2006년 5월18일 조용호 선수전까지 9연승으로 나옵니다. (제가 찾아본 바로는 안석열 선수는 8연승 상대였네요) 중간에 몇패가 있긴한데 자세히 보니 스니커즈 리그등의 각종 이벤트전이더라구요 ^^;
09/03/01 00:41
당시 최연성선수에게 저그는 한끼 식사였을뿐입니다; 질레트에서 투신에 의해 한풀 꺽이지 않았다면 포스가 더더욱 길어졌을지도 모르겠네요.
09/03/01 01:38
제 기억엔 최연성선수 비공식전 포함 23연승을 한 걸로 알고 있고 투신을 만나기 전에 최고 승률이 50전 45승 정도 했었죠.......-_-
대충 초반 데뷔때 박상익 선수를 비롯해서 한 2~3패쯤 하다가 연속으로 23연승 하고 한 번 끊겼다가 다시 십 몇연승을 하다가 투신을 만나서 질레트와 itv에서 연달아 수모를 당했습죠. 사실상 그 이후에 우승권에 있는 S급 선수인 건 맞지만 본좌라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절대강자 막판보스의 이미지는 사라졌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