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2/17 05:39:38
Name honnysun
Subject 무신론자가 운명을 믿는다면 더이상 무신론자가 아닌걸까요?
예.. 저는 무신론자입니다. 그리고 공학도(과학도에 가까운)입니다.

전공에 대한 지식이 늘어갈수록 세상이 참 신기하다고,, '아~ 과연 빅뱅이?' 아님 '정말 모든 걸 초월한 무언가가 있나?' 란 생각이 가끔 듭니다.

또 지구의 역사가 몇십억년이라던데.. 화석도 있고, 왜 종교에서는 고작 몇천년밖에 지구의 역사가 안된다고 하는 것일까? 창조론은? 진화론은? 등등 이런 생각을 하고 합니다. 하지만 위에 올린 질문들은 흔한 논쟁거리기에 오늘은 패스하기로 하고 처음으로 돌아가서

과연 무신론자와 운명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요? 어느정도 운명이나 행운을 믿는다면 그건 신을 인정하고 있는 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명왕성
09/02/17 05:55
수정 아이콘
일단 운명이라는걸 믿는다면, 지금 우리가 보고 있고, 알고 있는 것 외에 뭔가가 있다는걸 인정한다는거겠죠.
(그게 신인지, 뭔지는 모르겠지만...)
신이 아닌 뭔가의 법칙이 운명을 만들어낸다고 생각하시면, 무신론과 운명이 양립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사실은 무신론도 결국 종교적 신념 중 하나입니다.
몽키.D.루피
09/02/17 06:13
수정 아이콘
단순히 종교적인 신을 믿지 않는다고 해서 무신론자는 아닙니다.
단지 겉멋이 아니라 진정한 무신론자가 되는 것은 정말 어렵고 골치아픈 일입니다. 정말 머리 좋은 사람들이 무신론자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차라리 유신론자로 사는게 속 편할 때가 있죠.
09/02/17 07:08
수정 아이콘
기독교와 이슬람교가 커서 그렇지
종교중에 신의 존재를 부정/긍정도 하지않는 종교도 있지요.
김연우
09/02/17 07:44
수정 아이콘
정의에 따라 다르겠죠.
'만들어진 신'에도 나왔지만, 기존의 종교들이 주장하는 신을 믿는 유일신, 세상을 조율하는 거대한 법칙이 있찌만 그들이 기존 종교에서 말하는 인격신이 아니다, 고 생각하는 사람 등.

그 책 한번 읽어보면 재밌을거에요
sad_tears
09/02/17 07:54
수정 아이콘
때로는 운명이나 행운 등이 있다고 가정하여 그것의 존재를 유라고 한다면 이는 일종의 우상숭배에 해당합니다.

자기손의 지문과 손금을 보고 인터넷에서 그에따른 대략적인 지식을 습득하고자 하는것 또한 전자와 동일시 되지요.

기독교는 예수를 믿고 불교는 석가의 가르침을 믿고 샤머니즘은 그 무언가를 믿는것, 혹은 목걸이나 반지에 어떤 의미를 담고 마음에 새기는 것 또한 예외일수는 없습니다.

신을 믿는것이 유신론이고 현상자체와 자신만을 믿는것이 무신론자라면 말 그대로 "보인는것과 나의미래 모든건 내가 만들어간다. 그리고 지금눈에 보이는게 전부다." 라는 그 현상만 믿게 됩니다. 여기까지는 무신론자입니다.

하지만 그 그릇안에 자신의 신념을 담고 주관적인 생각을 더하게 되겠죠. 아무리 완벽주의자에 모든것을 겸비하렸다 할지라도 어떤 문제에 다다르게 되고 스스로가 해결할수 없는 상황이 있다면...대표적인 예를들면 아무도 모르는 "사후세계"에는 말문이 막히게 됩니다. 그래서 가장 일반적인 유/무신론을 나누는 기준은 사후세계라고 알고 있지요.

다시 말해서 이러한 신념과 생각이라는 것이 점점 쌓이게 되면 누구나 어느시점에 다다르면 그 문제에 대한 답을 찾을수 없을때 중심점을 조금씩 잃게 되고 결국엔 그 이데올로기가 정체성을 퇴색해가고 현상의 진리를 고민하게 된다면...글쓴분처럼 미래나 운명,행운이라는 것을 과거와는 다르게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되겠죠. 시기와 나이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런 생각을 경험했다는 것이 기준이 되겠지요.

이것은 인간의 완벽하지 못함을 스스로가 드러내어 내면의 안정을 찾기위해 구하는 자신과의 심리적 활동이죠.

종교를 알지 못한다면 신이라는 존재유무를 설정하는것이 무/유신론을 나누는 기준으로 삼겠지만 종교적 관점에서 본다면 인간의 심리적 내면활동에는 자신과 신 이외의 것을 의지하고 우상으로 여기는 것도 일종의 종교활동입니다. 다시 말하지만 "사후세계"라는것은 무신과 유신을 나누는 척도가 아닙니다. 이건 사회적 편견이 낳은 일반적 구성하기에서 나오는 오류라고 볼수 있겠네요.

스스로의 삶과 생활의 관점을 바라보는 것이 '자신과 현상 뿐인가 아니면 기댈 수 있는 다른 무언가가 있는가가 있느냐' 가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보는게 옳습니다.

운명, 행운 외에 사랑,꿈,이상.. 등에도 우상화의 대상이 됩니다.

따라서 무신론자로 사는건 아무리 머리가 좋아도 불가능합니다.

무신론으로 살 수 있는건 신뿐입니다.
마동왕
09/02/17 09:43
수정 아이콘
sad_tears님// 완벽한 설명이십니다.^^;; 협의의 무신론과 광의의 무신론이군요.
09/02/17 11:01
수정 아이콘
오우.... 멋집니다.
Who am I?
09/02/17 11:03
수정 아이콘
그래서 우리에겐 범신론-이 있는겁니다.
09/02/17 11:34
수정 아이콘
sad_tears님//

유신론자 또는 종교인의 관점에 지나치게 치우친 견해가 아닌가 싶습니다. 위에서 분류한 우상 숭배의 기준을 만든 것은 유일신을 갖고 있는 종교인들이지... 무신론자의 분류도 아닐뿐더러 이외의 개념 역시 종교인의 관점에서 본 것을 일반화하는것 아닌가 싶습니다.

무신론의 입장에서는 존재하지도 않는 신의 존재를 바탕으로 한 논리 자체가 무의미해지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질문자님의 질문에 대한 생각은... 운명이라는 것이 정해져 있고 불변하는 것이라고 믿는다면 무신론과 다소는 모순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운명을 인과의 흐름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자신의 행동 및 자세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무신론과 공존할 수 있는 것 아닌가 생각되는군요.

ps. 개인의 생각에 있어서는 때론 모순이 생긴다고 해서 문제가 될 건 없지 않나 싶습니다.
Ms. Anscombe
09/02/17 12:24
수정 아이콘
'운명과 행운'과 '신'이 관계가 있느냐는 질문은 우리가 무엇을 운명, 행운이라 부르는지(더불어 신도)에 달려있습니다. 예컨대, 문학적인 표현상 '운명이야'라고 말한다면 (통상적 의미의) 신과는 아무 관계도 없겠죠. 사랑하는 여자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너는 내운명'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죠.

운명같은 개념이 신을 믿는 것과 관계가 있다면 어떤 의미에서 관계가 있는 것인가가 밝혀져야 할 것입니다. 예컨대, 운명이란 초월자의 지시라던가 등등.. 운명이나 행운 같은 개념을 정말 그렇게 받아들이는 사람도 있겠고, 그냥 가볍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사실 사람들이 어떠한 믿음이나 신념을 갖지 않고 살아갈 수는 없습니다. 그것은 인간 사회의 본질이니.. (그런데)'그러므로 우리 모두 종교를 갖고 있다'는 식으로 말하는 건 억측이지요. 물론 어떤 종교적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는 종교 개념의 지나친 남용입니다. 예컨대, sad_tears님 처럼 "운명, 행운 외에 사랑,꿈,이상.. 등에도 우상화의 대상이 됩니다."와 같이 설명하는 것이겠죠. "자신과 현상 뿐인가 아니면 기댈 수 있는 다른 무언가가 있는가가 있느냐"는 신의 존재를 믿느냐를 가름하는 기준이 아니라 유아론자를 판별하는 기준으로 적합합니다. 만약에 그것이 신을 믿는 사람을 판별하는 기준이라면, 우리 모두는 (말씀하신대로) 유신론자일 것입니다. 그리고 그건 아무 의미도 없죠.

뒤르켕은 '사회가 우리의 신이 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그의 저작이 '복음서'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지구사랑
09/02/17 13:05
수정 아이콘
통상적인 유신론이라면 인격신을 믿는 경우를 말하겠죠. 우리가 이해할 수 있고, 때로는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그런 신 말입니다. 관련해서 김연우님이 언급하신 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은 꽤 볼만 합니다.
라이시륜
09/02/17 13:31
수정 아이콘
그건 구분법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다른 것 같습니다.

유신론/범신론/무신론으로 나누는 경우에는 범신론자로 봐야하지만,
유신론/무신론으로 나누는 경우에는 유신론의 불가지론자 혹은 운명론자로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honnysun
09/02/17 15:35
수정 아이콘
이제야 답변을 읽습니다. 너무 늦은 듯.. 우선 많은 답변들 감사합니다.
운명이나 행운을 믿는 것이 일종의 우상화라는 것은 상당히 긍정적으로 다가오네요. 하지만 무신론의 범주에 그것을 포함시키냐 마느냐는 것은 개인적인 차이가 있어 보인다는. 개인마다 가지고 있는 구분의 기준이 다른데서 오는 차이가 아닌가 싶네요.
현재의 종교에서 숭배하고 있는 신에 대해 제가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고, 그것(사후세계 등등의)을 제가 믿지 않기 때문에 '난 무신론자다'라고 저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우선 서점에 가서 '만들어진 신'을 사서 읽어 봐야겠군요.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495 미국 대학(혹은 대학원) 관련 질문입니다(생명과학, 건축학) [4] SHIFTUP2190 09/02/17 2190
50494 의병 제대에 관해서 질문좀 할께요. [4] Fly:D4036 09/02/17 4036
50493 편입 공부하시는 사람 있나요??? [1] 바닥인생2093 09/02/17 2093
50492 102보 가는길 질문드립니다. [1] worcs2158 09/02/17 2158
50490 양준혁 선수는 왜 국대에 차출되지 않나요? [12] 정태영4345 09/02/17 4345
50489 노트북 대기모드 상태 질문입니다. [4] 나이스후니2332 09/02/17 2332
50488 신피지투어 질문인데요. [4] ManUmania1744 09/02/17 1744
50487 팀플에서 드라군/벌쳐 컨트롤 [7] 여친2255 09/02/17 2255
50486 저그 초반빌드 질문입니다. [4] 0ct0pu52124 09/02/17 2124
50485 엑셀 수식 관련 질문 천사혼1731 09/02/17 1731
50484 컴공과 취업관련 질문 [6] 정희숙2470 09/02/17 2470
50483 무신론자가 운명을 믿는다면 더이상 무신론자가 아닌걸까요? [13] honnysun2360 09/02/17 2360
50482 저그 선스포닝 빌드 좀 가르쳐 주십시오. [6] 캐럿.2174 09/02/17 2174
50481 스타크래프트 관련 프로그램 질문 문근영2061 09/02/17 2061
50480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스페인 프리메라리가 에서 우승컵 이름이 무언가요? 양창민2107 09/02/17 2107
50479 티르님이 유게에 올려주신 "유명한 영화들의 명장면" [1] 사발라면2170 09/02/17 2170
50478 벤자민 버튼의,,,, 영화 질문입니다(스포 포함) [6] 오월2158 09/02/17 2158
50477 속옷, 기본티는 어느 매장이 좋을까요? [4] Latanta2751 09/02/17 2751
50476 스타독(star dock) 이란 프로그램에 대한 질문입니다. [1] 도시의미학2668 09/02/17 2668
50475 예전 손찬웅의 선지지 사건에 대해 물어볼께 있어요 [3] 녹색양말4074 09/02/17 4074
50474 체육관 관장님께 드릴 선물 어떤게 좋을까요? [1] 자네스타좀해2339 09/02/17 2339
50472 네비게이션 처음 구입하려고 하는데요.. [5] 상이2099 09/02/16 2099
50471 잠 잘자는 법 [4] 착한손2081 09/02/16 20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