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2/13 02:49
학교,과별로 교양필수 전공필수가 다르니까요.
학부사무실로 찾아가셔서 조교와의 면담을 추천합니다. ^^ 가장확실해요. 졸업 및 학년이수학점, 필수이수과목 등등의 정보는 확실히 알아둬야 하구요.
09/02/13 03:01
학교 컴공과 쪽 선배들이 시간표 짜기 쉽게 만든 프로그램같은게 있을거에요.
그래서 자기가 들어야 될것, 또는 듣고 싶은것 과목을 쭈욱 적으면, 시간표 겹치지 않는 범위에서 생성가능한 시간표가 쭈욱 나열되어서 한눈에 보기좋고, 쉽게 생성되더군요. 그거보면서, 가장 원하는 시간표하나 찾아도 되구요.
09/02/13 03:59
신입생 전공 수업은 거의 짜서 나오지 않나요? 기억이 가물하긴한데.. 전공 수업은 그리 어렵지 않았던것 같아요..(제 학부가 신입생수가 300명이 넘어서,,그냥 반별로 넣어줬거든요..) 전공 못 넣으면,,조교나 교수님, 또는 학과 전산담당자한테 가서 신입생이라고 말 좀 잘하면, 거의 넣어줘요.
뭐..힘들었던건,,교양이죠. 인기 있는 교양은 금방 채워지고,, 운 없으면 이상한 수업 받아야 하고.. 전공수업을 기준으로 시간표를 짜고, 점심시간을 확보한 다음에, 그 시간에 맞는 교양수업( 본인이 원하는 것 또는 선배들이 추천하는 것)을 넣으면 돼요.~ 스피드와 순발력만 따라주면 전혀 어렵지 않아요.
09/02/13 05:08
1학년이시니깐 제가 1학년때 기억을 살리면..
일단 과 OT던가??해서 학과에서 신입생을 다 모아서 설명을 해줍니다. 저희과는 한학년에 80명인데, 과건물에 피씨실엔 20명인가??밖에 못 들어가서 4그룹으로 나눠 들어갔습니다. 전공기초은 2개 분반, 혹은 4개분반까지 나눠져있었구요.. 그래서 앞에 들어간 그룹순서대로 분반이 자동적으로 정해졌구요.. 과에서 정한거니 따라가야죠. 교양은 자기 맘대로 넣어라고 했는데 넣는다고 넣어집니까. 이미 2 3 4 학년이 다 집어넣었는데. 아무거나 집어넣습니다.. 그리고 전 그 교양 말아먹었습니다. 우선 시간표짤때 전공관련은 전부 과에서 해주니깐 따라가시면 됩니다. 저희과는 최대 21학점 신청가능한데 과에서 시키는대로 따라가니깐 16학점인가?? 나오더라고요. 나머지학점은 교양으로 매꿔라고해서 3학점짜리 교양한개 들었구요.. 그래서 19학점이 나오는데 남는 2학점은 2학점짜리 과목이 없어서(사실 신청했는데 폐강됐습니다. 폭설이와서 볼링장이 무너져내렸다고 하더라고요.. 볼링수업이었는데;;) 그냥 19학점으로 다녔습니다. 전공은 크게 문제가 안되지만 기초로 무조건 들어야하는게 있습니다. 교양뿐만 아니라 컴퓨터나 영어에 관련된 과목들일텐데요.. 이거 잘못짜면 답이 없습니다. 저희학교가 산에있는데 10분만에 산을 하나 타야하는 상황이 나올수도있습니다. 땀뻘뻘흘리면서 뛰어가는데.. 허참.. 안쓰럽더군요. 그리고 지금생각하시기에 아침9시수업이 엄청 여유로울것같지만 무쟈게 힘듭니다. 전 지금까지 9시수업 한번 이수해봤습니다. 나머진 다 재수강;; 그리고 사람마다 다른데 전 공강이 넉넉하게 있는게 좋습니다. 시간표에 구멍이 숭숭 뚫렸다고 하죠. 오월님께서 화끈하게 아침부터 점심때까지 수업 조지고 쉬고싶다 하시면 빡빡하게 붙혀 넣으시고요 난 좀 여유롭게 수업중간중간 쉬면서 할래 싶으면 구멍숭숭 내면됩니다. 저희학교는 12시부터 1시까지 의무적으로 점심시간이라 그때는 수업이 없습니다. 그래서 점심시간 걱정은 안해봤네요.. 에..그리고.. 전공은 오월님께서 가신과에서 가르치는것이구요. 저같은 경우는 조선해양공학과라서 선박에 관한과목들이 전공이구요.. 아.. 전공은 3개로 나뉩니다. 전공 필수와 전공 선택, 전공기초 인데요.. 1학년이시니깐 전공 기초만 들으실겁니다. 이건 저같은경우 전 공대 공통으로 일반물리학 미분적분학 기초물리실험 이렇게 있었구요.. 과 교수님이 가르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물리학과나 수학과 시간강사들이 가르치고, 실험같은 경우는 대학원생들이 가르치더군요. (전부 저의 이야기입니다.) 교양은.. 학교 다니면서 몇학점 이수해야하는게 있을겁니다. 이건 과사에 가서 직접 물어보심 될거구요.. 아니면 학과 OT같은거 가면 잘 알려줍니다. 수강신청설명회나.. 그리고 이렇게 4년을 해도 졸업이수학점이 안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때는 복수전공인가?? 해서 타과전공 수업을 들어야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심화전공인가?? 뭐 해서 학과수업 다 들으면 끝난다던데.. 사실 저도 헷갈려서.. 여튼 이런 부분은 과사에 물어보심 정확하구요.. 학과에서 주최하는 모임같은건 빠지지말고 나가심이 좋을듯 합니다 =)
09/02/13 11:31
전공신청은 과마다 학교마다 아예 다 다릅니다. 거의다 짜여져서 나오기 때문에 신청할 건덕지가 없는곳도 있고요
그리고 신입생들의 수강신청을 도와줄 그런 모임이 있을겁니다. 과단위던 단과대단위던 수강신청OT같은 행사가 있을테니 그곳에서 보는게 가장 좋습니다. 그런게 없다면 1년선배에게 도움을 청하세요. 인터넷공간에서 도움을 주기에는 님이 합격하신 학교에대한 정보가 부족하네요... 1학년때 수강신청은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문제는 본격적으로 전공과목을 배우게 되는 3학년 이후의 수강신청입니다. 걱정하지 마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