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9/22 23:26:02
Name Medici
Subject 글을 너무너무 못써서 걱정입니다..
안녕하세요 pgr회원님들.

저는 대학교1학년에 재학중인데요.

레포트나 논술을 쓰기가 너무너무 힘이 듭니다.

제가 듣는 수업중에 중간.기말고사를 안보는 대신 논술 몇편으로 대체를 하는 수업이 있습니다.

전 논술도 배워본적이없고 글을 제대로 써본적도 없어서 수업중 글을 쓸때마다 엄청 고생하곤 합니다.

몇일전에도 논술하는게 있어서 썼다가 분량도 못맞추고 글의 짜임.구성도 엉망이어서 교수님한테 공개적으로 엄청 까여서(대체 뭘 주장하는 글인지 모르겠고 이렇게 엉망인글은 처음본다고 막 까시더랍니다 흑흑) 자존심 상했던 기억도 나네요-_-

중.고등학교 시험에서는 열심히 암기만하면 좋은점수 받을수 있었는데 대학 진학하니까 뭐만 하면 글을 써서 내라고하니 학점도 완전 낮고

스트레스로 매일매일 정말 힘드네요 ㅠㅠ

저는 일단 처음 글을 어떻게 써내려가야하는지 그 방법도 알지못합니다.

논술은 저의 주장을 써내려가는 글 아닙니까?그럼 저의 의견을 써야하는데..항상 생각에만 맴돌뿐 글로 나오질않습니다..

생각으로 맴도는것도 정리되어서 맴도는 것도 아니고 완전 뒤죽박죽..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수있을까요?

자세하게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말 너무너무 힘듭니다 흑흑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woolrich
08/09/22 23:27
수정 아이콘
세상모든일은 자주하면 늘게되있죠; 자주 글을써보세요.
항즐이
08/09/22 23:29
수정 아이콘
일단 쉬운 글 부터 쓰십시오. 일기/편지.

하지만 일단 책을 많이 읽고 그 작가를 따라해야 합니다.

그래서 연애편지가 좋죠..
그럴싸한 작품을 읽고, 그 작가처럼 그럴싸한 사람인척 연애편지를 쓰는.. 쿨럭.
Mr.Children
08/09/22 23:29
수정 아이콘
자주글을쓰는게 능사가아닙니다;

글쓰기와 글읽기는 같습니다.

글을 많이 읽으셔야 글쓰기가 늡니다. 다양한 종류의 많은 서적들을 읽으시는게 우선입니다.
일단 아는것이 많아지고 어휘가 풍부해지면 같은 문맥이라도 단어의 차이로 글수준이 확 변하죠.
Mr.Children
08/09/22 23:30
수정 아이콘
항즐이님// 고독한 연애편지로군요 .. ㅠ_ㅠ
Who am I?
08/09/22 23:30
수정 아이콘
주제를 정하고 개요를 짜는 연습부터 하세요.

무슨이야기를 어떤순서로 할것인지를 정하고 글을 써나가시면
최소한 '뭘 주장하는지'정도는 전달하실수 있습니다.
VoiceOfAid
08/09/22 23:31
수정 아이콘
속성으로 논술학원에 다니시던가 강의를 들어보세요.
서론, 본론, 결론.
이런식으로 대충 큰틀만 짤 수 있으면 그나마 글 적기 편합니다.
항즐이
08/09/22 23:32
수정 아이콘
Mr.Children님//

.. 짝사랑이라도 해야죠. 그걸 혼자 갖고 있으면.. 진짜 우울..
A certain romance
08/09/22 23:35
수정 아이콘
짝사랑을 2주전에 하기 시작했는데
이틀 후에 남친이 옆에 같이 있는걸 보게되서 ....
아.. 전 짝사랑할 대상도 없네요.
고독하네요.
WizardMo진종
08/09/22 23:36
수정 아이콘
다독 다작 다상량
이게 기본이래요.
Go.To.The.Sky
08/09/22 23:38
수정 아이콘
글쓰는 문체에도 영향이 있을 수도 있지만 공부가 부족해서^^ 그럴걸지도 모릅니다...주로 교수님이나 조교들이 필요로 하는 포인트가 글에 없으면 점수를 팍팍 깍는 경우도 있는데, 그 포인트를 잡지 못하셨을 수도 있어요
치우단검
08/09/22 23:38
수정 아이콘
Medici님// 일기장, 연예편지와 논술은 문체자체가 달라서 큰 도움을 받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저도 어렸을 적부터 글을 자주 써서 문학적인 문체를 뛰어나게(;;)쓸 줄 압니다만, 그런 논술에서 사용하려 할때마다 논술선생께서 뭐하는 짓이냐고 혼내던 기억이 많습니다. 글을 쓰는 방법은 여러방법이 있겠지만, 제가 논술을 배운 방법은 이것입니다. 우선 대학생이시니 글의 구조나 논증의 단계따위는 잘 알고 계시리라 믿습니다. 그리고 나서 '아 이사람 글 정말 잘쓰는구나!'하는 사람의 글을 모아서 원고지에 그대로 필사해보세요. 그러면서 논술에서 요구되는 문체를 배우고 논증의 과정도 점차 발전하게 된답니다. 논술은 학원다닐 필요 없어요. (비싸요.)
survivor
08/09/22 23:44
수정 아이콘
1. 글을 많이 읽는다. 책도 좋고 신문도 좋다.
2. 쉬운글부터 쓴다. 예를 들어 원더걸스 좋아하시면 "원더걸스를 좋아하는 3가지 이유" 라는 제목으로 글을 쓰면 되구요. 마재윤 선수를 좋아하시면 "나는 남자인데, 마재윤이 너무 좋소"라는 제목으로 글을 써도 좋다.
3. 좋은 글을 써야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하나 주제잡고 일단 되는데로 쓴다. 머리에서 맴도는걸 그대로 쓴다. 다쓴 다음 읽으면서 문장의 수정, 삽입, 삭제, 위치변경을 하면서 글이 되도록 만들어본다.
4. 부끄럽지만 자신이 쓴글을 다른 사람이 읽어보는게 좋다. 그리고 지적이나 감상을 짧게 부탁해보자.

일기나 쉬운글과 논술글은 틀리긴 한데, 일단은 글을 쓰는 것 자체에 길들일 필요가 있을것 같습니다.
점점 주제를 어려운걸 잡아보고, 글의 형식도 일기처럼 자유분방한것이 아닌 눈술문형식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가끔씩 짧은 신문 사설을 그대로 쓰면서 어떻게 쓰여졌는지 분석해보는것도 도움이 될지도 몰라요.

마지막으로...이 모든것이 나름대로의 재미가 있어야 합니다. 재미가 조금이라도 없으면 고문이 따로 없겠죠.
항즐이
08/09/22 23:44
수정 아이콘
치우단검님//
연예편지가 아니라 연애편지겠죠. 예술적 문체를 유려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인데 논술을 잘 못쓰는 건 문체의 문제라기 보다는 글의 논리구조 문제입니다.

문학작품 중에서도 논리적 인과관계 및 건조한 묘사가 주를 이루는 작품들이 많이 있습니다. 연애편지 역시 자신의 마음을 화려한 말보다는 담담한 서술로 드러내는 것이 더 효과적일 때가 많구요.

만류귀종입니다. 더 빠른 길이 지루하다면 더 좋은 길이라 보긴 힘들수도 있습니다.

재미있게 책 많이 읽고 글 많이 쓰세요. Pgr에서 다른 분들과 토론도 많이 하세요. 언젠가는 쑥 자랍니다.
08/09/22 23:47
수정 아이콘
글쎄.. 많이 읽는게 가장 많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가우스
08/09/22 23:48
수정 아이콘
디테일한 방법은 다른 분들이 많이 적어 주셨으니까

저는 단 하나만 꼽자면 글을 많이 읽으세요. 그 중에서도 책을
두 번째로는 노력해서 글을 쓰세요, 읽을 때는 편하게 읽어도
쓸 때는 노력해야 합니다.
치우단검
08/09/22 23:54
수정 아이콘
항즐이님// 부끄럽네요. 수정 감사합니다. 논술을 쓸 때에 과도하게 유려한 문체를 사용했을 때에 나타나는 부작용은 글이 무슨 말인지 정확하게 이해하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즉, 글의 논리 구조 또한 무너진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제 논술선생님께선 제 문체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애쓰셨죠.

역시나 만류귀종입니다. 각자 길은 다르겠지만 결국은 진리에 근접하기 위해서 논술을 하는 것이겠지요.
08/09/23 00:03
수정 아이콘
일단 논술을 통해 내가 하고자 하는 말이 뭔지를 확실히 알아야겠죠.
결론적으로 내가 하고자하는 말이 무엇인지 한두줄로 요약을 먼저 해놓으시고
거기에 맞는 근거를 살로 붙여가세요.

이것만 지켜줘도 '이게 뭐임 ?'하는 글은 안나올겁니다.

살을 붙이는 방법은 역시 다독,다작이 최고고요.
밀가리
08/09/23 00:52
수정 아이콘
문체나 단어사용은 좀 숙련된거라고 생각합니다.
간단하게 서론-본론-결론 개요짜기만 잘하고 주제만 일관되게 설명한다면 그렇게 난잡한 글은 안될겁니다.
08/09/23 01:55
수정 아이콘
글 써서 먹고 사는데도 쉽지 않은 질문이군요.

지면으로 백 번을 가르쳐 드려도 기술적인 도움이 되지 못할 겁니다.

최선책은 필사입니다. 자신이 쓰고자 하는 분류에 속하는 글들 중 명문장 내지 모범답안을 선정하셔서 옮겨쓰기를 해 보세요.

문예창작과 진학지도도, 논술특기 대입지도도 필사부터 시작하는 게 가장 좋은 결과를 낳더군요.
08/09/23 06:05
수정 아이콘
글 쓰기와 관련해서 항상 나오는 말이지만 글을 읽고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는 대개 글 읽는 사람을 고려하지 않은 구성과 서술 방식 때문입니다. 심지어 글 쓰기를 주제로 만든 책조차 이런 경우가 많더군요.

'논리적인 문장이 자동적으로 써지는 책' 추천합니다.
Darwin4078
08/09/23 09:39
수정 아이콘
위에서 판님도 얘기하셨지만..

좋은 글들을 손으로 직접 써보시는걸 추천합니다.
(타이핑, 워드 안됩니다. 손에 볼펜을 쥐고 쓰셔야 됩니다.)
08/09/23 21:29
수정 아이콘
리플달아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2527 애플 아이폰에 대해서 좀 아시는분 계신가요? [2] 드림씨어터2110 08/09/23 2110
42526 컴퓨터에 관한 질문입니다.. 개그맨1578 08/09/23 1578
42525 곰tv 스타리그 질문 [2] 서성수1899 08/09/23 1899
42524 취미삼아 수학공부를 해보려고 합니다. [6] Darwin40782257 08/09/23 2257
42523 서울 차없는 거리! [3] 노려니1559 08/09/23 1559
42522 예비군 훈련중에 "기본교육"으로 된건 안가도 되는거죠? [3] 김영민2133 08/09/23 2133
42521 배탈이 났는데.. [1] .JunE.2138 08/09/23 2138
42520 네이트 닷컴 로그인이 안됩니다~ 네이트온도 안되고요..ㅠㅠ [2] 불꽃테란!5302 08/09/23 5302
42517 크리스마스도 몇달 안남았는데 스키장에서 여성분과 현지 만남을 하려면? [10] Cazellnu2488 08/09/23 2488
42516 포스 미드 사이즈 좀 봐주세요. [2] TaCuro2129 08/09/23 2129
42515 일렉기타를 독학으로 배워야합니다 엉엉 [12] 짝복2693 08/09/23 2693
42514 깨진 유리에 발을 찔렸습니다. [2] 사랑2274 08/09/23 2274
42512 C++ 연산자 오버로딩 질문 [2] EZrock2191 08/09/23 2191
42510 파이선 2:2 팀플 전략 어떤 게 있을까요? [3] ComeAgain2375 08/09/23 2375
42509 해커스 영어 질문입니다. [2] 라다2101 08/09/23 2101
42508 서태지 심포니를... [5] 스타2나와랏1895 08/09/23 1895
42507 빅뱅노래 질문입니다. [3] Galdae2074 08/09/23 2074
42505 기술행정병 면접안가면 어떻게되죠?? [4] Kaga5898 08/09/22 5898
42504 요새 뮤지컬 재밌는거 뭐하죠? [3] 오뱅2188 08/09/22 2188
42503 글을 너무너무 못써서 걱정입니다.. [22] Medici1883 08/09/22 1883
42500 서울에서 가장 자취가 싼 곳이 어딘가요? [5] EzMura3273 08/09/22 3273
42496 조혜련 아버지 영상 [121] 이리6746 08/09/22 6746
42495 pgr 여러분들~ 동대문 쇼핑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4] 오뱅2304 08/09/22 230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