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9/20 14:26
흠.. 다른건 잘 모르겠는데..
전공쪽 문제는 크게 없을거같은데요.. 자 사촌누님이 현재 유치원 교사로 활동중이신데 정말 그쪽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과를 나오셨는데 잘만 하고계십니다.. 경력도 3년차.. 즉 꼭 그쪽으로 편입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생각해요..
08/09/20 14:44
유치원도 초, 중등 교원처럼 공립 유치원에 들어갈 수 있는 임용 시험이 있습니다.
시험을 보셔서 합격을 하면 공립 유치원에 발령이 나겠죠. 공립 학교면 아무래도 공무원이다 보니 사립 유치원에 비하면 남교사에 대한 처우 등은 괜찮지 않을까 합니다만; (제 생각) 아무튼 이건 시험을 보시려면 유치원 교사 자격증이 있어야 할 거고, 그러기 위해서 유아교육과를 다녀야 할 겁니다. 그러기 위해선 편입이나 새로 대학을 가야겠고, 또 임용 시험 자체 경쟁이 워낙 치열하다보니 힘들죠... 사립 쪽은 잘 모르겠습니다 ;;
08/09/20 15:33
자격증이 문제일거에요. 전문대학/4년제 유아교육과나 4년제 아동학과에서 상위 특정% 성적우수자 그리고 유아/아동학 관련 대학원(교육대학원 포함)을 해야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이 주어지는 것으로 압니다.
훗날 개인사업(유아원, 유치원 등) 하시려면 이때 또 자격증이 필요하거든요. 제법 긴 기간의 교사(교감) 경력이 필요합니다. 전공하신 분이 아무래도 더 일찍 자격증을 취득하게 됩니다. 남교사는 오히려 여교사에 비해서 처우가 괜찮다고 했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08/09/20 18:12
어머니께서 전문대 유아교육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계시는데요
남학생 완전 귀히 여기신답니다 ^^; 전공 중요하고요 ;; (타 전공생이 유치원에서 일하는 경우 교사 경력 인정을 못 받는다고 말씀하십니다, 자세히 여쭤보지는 못했어요) 친구분께서 혹시나 술, 담배, 욕 중 어느 하나를 갖추고 계신다면 절대로 끊으실 것을 조언해드리세요~ (1학기 초마다 어머니께서 힘들어하십니다 ㅜ.ㅜ; 화장실에서 담배피면서 욕하는 학생들이 그리 많다네요; )
08/09/20 21:49
스프링필드님께서 좀 잘못 알고 계신 것 같네요. 유아교육을 전공하지 않으면 유치원 교사는 못 됩니다.
아마 유아 연령대를 대상으로 하는 학원 쪽에 일하고 있으신게 아닐까 싶은데요. 유치원에 교사로 근무하려면 정식으로 유아교육과나 관련학과를 나와서 교직이수를 하고 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간혹 정교사가 아닌 보조교사는 무자격자를 쓰는 곳도 있기는 합니다만. 어린이집이나 놀이방 같은 곳은 보육교사교육원 같은 곳에서 1년 정도 이수를 하면 보육교사 자격을 받고 근무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유아교육/보육 체계가 2원화 되어 있어서, 유치원은 교육부 소속. 교육법의 적용을 받고, 어린이집/놀이방은 보건복지부 소속, 영유아 보육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유치원 교사 자격을 가진 사람은 어린이집/놀이방 근무도 가능하지만, 보육교사 자격을 가진 사람은 유치원에서 정교사로 근무할 수는 없습니다. 간혹 법을 지키지 않고 무자격자나 비자격자를 쓰는 시설이 있다고 해도 정식으로 교육청에 등재되어 있지는 않을겁니다. 보통 대학을 졸업하면 유치원 정교사 2급을 받게 되는데, 그 후 유치원에서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하게 되면 1급 정교사 연수를 받을 수 있고, 1정 연수를 이수하면 1급 정교사 자격을 얻게 됩니다. 그 후 마찬가지로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하고 원감, 원장 등의 자격 연수를 받고 자격을 얻게 되는데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이 없는 보육교사 자격 보유자나 무자격자는 이런 자격 자체를 얻을 수가 없는거죠. 예전에는 덕망 있는 자는 유치원을 설립할 수 있다던가 하는 애매모호한 이상한 규정이 있어서 사실상 돈만 있으면 유치원 원장을 할 수 있었습니다만, 지금은 원장 자격증이 있어야 합니다. 어린이집은 보육교사 자격증 취득 이후 일정기간 경력을 쌓아 시설장 자격을 취득해야 하구요. 그래서 요즘은 돈 있는 사람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설립해서 이사장으로 있고 자격 있는 사람 데려다가 월급 원장으로 앉혀 놓는 경우도 많습니다. 남자 유치원 교사에 대해 물어보셨는데, 유아교육과 다니다 보면 가뭄에 콩 나듯 ^^; 남학생들이 들어오는 경우가 있는데 중간에 그만두는 경우도 많고(아무래도 자그마한 교구 같은 것도 만들어야 하고 인형 만든다고 바느질도 하고 율동이나 무용도 해야 하고 그런 것들을 남학생들이 잘 못 견디는듯 합니다) 졸업을 하더라도 유치원보다는 유아 체능단 같은 곳으로 많이 빠지더군요. 사립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은 박봉에 새벽부터 밤까지 일하는 경우도 많고 행사 있으면 휴일에도 나가서 일해야 하는 등의 문제로 힘든 점도 많고 결혼하게 되면 그만두는 경우도 많습니다. 임용시험에 합격해서 공립유치원(병설/단설)에 근무하게 되면 초등교사와 같은 대우를 받기 때문에 훨씬 낫긴 하지만 유아 임용이 워낙 TO가 작아서 합격하기가 힘들죠. 친구분 같은 경우는 정 원하신다면 유아체능단이나 유아 대상 학원 같은 곳을 고려해 보셔도 될 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