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9/09 19:23
빛은 파장이라서 물질의 저항에 따라 속도가 바뀌고, 그에 따라 굴절이 일어난다..
고 학교에선 배웠습니다. 정말 왜 그런지 설명하려면 중고생 수준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해서 바퀴로 비유한 것 같더라구요.
08/09/09 20:42
고등학교에서 저런 걸 안 배우나요? 저 학교 다닐 때만 해도 물리2에서 당연히 배워야 할 항목이었는데요.
빛의 굴절에 관해서는 스넬의 법칙으로 검색하시면 자세히 나올 겁니다. 물리의 기본 원리는 대부분 고등학교 수준에서 설명 가능합니다.
08/09/09 23:01
제가 고3물리2수준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빛은 파동의 성질을 갖지만 파동이 아닌 물질의 성질도 갖습니다. 빛의 양면성이라고하는데요.. 본문에서 의문을 가지신 사항은 빛의 파동성으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파동은 매질을 통해서 전달이되는데 (빛은 매질이 없어도 이동이 가능하긴 합니다만..) 매질이 '소'하느냐 '밀'하느냐 에 따라서 파동의 속도가 달라집니다. 다시말하면 빛은 매질이 없어도 이동이 가능하지만 주어진 상황에서는 매질을 통하여 이동고 있으므로 매질의 밀한정도에 따라 (밀 하다는것은 매질이 오밀조밀하다.. 밀집되어있다 라는 개념으로 이해하세요) 속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소한매질보다 밀한매질에서 이동할 때 더 느린속도를 가지게 되고요. 공기보다 물이 상대적으로 밀한 매질이므로 속도가 줄어들며 꺽이게됩니다. 자동차가 아스팔트에서 빙판길로 비스듬하게 달려가고있다고생각해보세요. 한쪽바퀴가 빙판에 닿게되면 양쪽바퀴의 속도가 달라지면서 (저항이 달라지니까) 일자로 진행하지 못하고 꺾이게 되겠죠? 비슷한 원리로 이해하시면 될거에요. 또한가지 말씀드리자면 빛이 꺽이면서 진행하면 매질의 경계면위의점 A와 아래의점 B 점을 이었을때 생기는 최단거리인 직선보다 먼 거리를 이동하지만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더 적어집니다. 다시말하면 최단시간에 두 점 사이를 이동하게 되는거죠.
08/09/09 23:04
육지에 있는 해상구조요원이 바다속에서 쥐가난 사람을 발견하여 달려갈때 수영하는 속도보다 달리는속도가 빠르므로 1자로 달려가는것보다
비스듬히 좀더 먼 거리를 달려서 이동한 후 더 짧은거리를 헤엄쳐서 구조하는게 거리로는 손해지만 시간으로는 이익이다.. 라는 원리랑 비교하시면 이해가 좀 더 잘 되실거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