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7/03 21:01:53
Name canoppy
Subject 환경호르몬(비스페놀 A, BPA)과 PP(폴리프로필렌) 연관성 질문!!!
옥션에서 전자렌지용 용기를 구매하려고 보니 전부 PP (폴리프로필렌)계열의 재질이었습니다.

요즘 환경호르몬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고 아이들에게 특히 큰 영향을 줄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4살배기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걱정이 되어 인터넷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환경호르몬은  폴리카보네이트( PC ) 와 PVC가 환경호르몬 검출 소재로 알려져 있다고 하며 환경호르몬으로 부터 안전한 FREE BPA 계열의 플라스틱 재질에 대해서 알아보았더니 다음과 같았습니다.

FREE BPA 계열의 플라스틱이 폴리에틸렌 인것은 확실한데 PP(폴리프로필렌)에 대해서는 안전하다는 의견과 그렇지 않다는 의견등 안전성에 대해서  명확하지가 않은거 같습니다.

이 분야 대한 지식이 있으신 분들의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참고 기사:

여러분들이 만약 BPA가 염려된다면, 폴리에틸렌이나 불투명하고 광택이 덜한(재활용 코드:1 그리고/또는 PET(polyethylen terephthalate)이 표기된), 깨지지 않는 BPA-free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십시오. 그것들은 BPA가 녹아나오지 않습니다. BPA로 만들어지지 않은 다른 플라스틱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2, 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4, LDPE), 그리고 폴리에틸렌 (5, PP)입니다.폴리카보네이트가 포함되었다는 재활용 코드 7이나 PC(폴리카보네이트의 약자)가 표기된 것은 피하십시오. 유리는 또 다른 대안이지만 깨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 사용해야 합니다.

[출처] [미국] 아기 젖병과 비스페놀A에 관한 Q&A |작성자 안전센터
http://blog.naver.com/ycyleaf?Redirect=Log&logNo=13003032934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1972299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천재여우
08/07/03 22:24
수정 아이콘
에시당초 pe나 pp는 태생이 같다고도 볼 수 있는 물질입니다.
pe는 에틸렌을 중합시킨것이고 pp는 프로필렌을 중합시킨 것인데 에틸렌과 프로필렌은 한 배에서 나온 녀석들입니다.
(원유중 나프타를 분리하면 에틸렌과 프로필렌, 아세틸렌같은 불포화 탄화수소가 나오는데 어차피 프로필렌이 에틸렌계이죠)
걔들은 비스페놀과는 상관이 없는 것들이구요,
(에틸렌계 탄화수소는 가장기본적인탄소의 이중결합구조로 되어있는데 반해 비스페놀은 페놀이 결합된 방향족탄화수소입니다.
이게 pc로 변해도 수소만 떨어져나갈뿐 구조는 그대로 입니다.)
pc나 에폭시가 합성플라스틱의 원료로 많이 쓰여왔는데
그 둘은 원래가 비스페놀을 원료로 만든것이라 문제가 되는 같습니다.
비스페놀이 없는 pe나 pp와 같은 에틸렌계 합성물질(pet등)의 사용이 점점 늘어가고
pvc도 일정부분 eva나 tpe등으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pp가 문제가 된다고 하는 것은
pp자체의 문제라기 보다는 pp가 다른 곳에서 활용되면서 생기는 문제인데
pp가 병이나 완구류 뿐만 아니라 각종 식품의 포장재로도 쓰이고 있는데(게다가 섬유의 원료로도 쓰입니다)
각종 완제품의 성질에 맞게 pp에 첨가물을 추가하게 되는데 아마도 이 첨가물 중에서 논란거리가 될만한 게 있어서 그럴 수도 있죠.
아뭏든 pp를 못믿으시겠다고 하면 음............
pp의 사용량이 pe보다 훨씬 많은데다 주위에 보시면 안 쓰이는 데가 없습니다.
08/07/04 01:02
수정 아이콘
천재여우님// 추가로 질문드리겠습니다.
pp 재질로 되어있는 전자렌지용 라면용기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위 용기는 전자렌지에서 5분에서 -7분 정도 라면을 끓이는데 사용하는 용기구요.
염려되는 것은 pp는 165도 정도에서 녹는다고 알고 있는데 위 경우라면 환경호르몬이 발생할 정도의 상황이 되지않을까하는 염려가 됩니다. 아이용으로 구매하려고 하기에 염려가 많이 됩니다.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http://blog.naver.com/theskater/120034143098
08/07/04 01:10
수정 아이콘
화학을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PP는 환경호르몬과 전혀 상관없습니다. 걱정하지 마세요.
08/07/04 02:21
수정 아이콘
순수한 폴리프로필렌이라면 단순한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구조이므로, 분해가 된다하더라도 상관없습니다.
다만 방향족 탄화수소가 들어간 고분자물질들은 조건에 따라 유해물질을 만들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예를들면 폴리카보네이트(PC)라거나 폴리 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같은 경우는 방향족탄소화합물(벤젠고리)가 달려 있으므로 위험할 수도 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고분자전공이 아니기에 더이상은 자세히 모릅니다만, 물질 자체보다는, 내구성강화라거나 세정을 쉽게 하기 위한 등의 용도로 코팅, 불순물 첨가 등이 원인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천재여우
08/07/04 08:13
수정 아이콘
canoppy님// 제가 그 쪽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이 아닌지라 100%확신하기가 어렵습니다.
다만 말씀드릴 수 있는 건 pp가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합성 플라스틱 중에서는 가장 열에 강하구요(더한 것들도 있습니다만)
게다가 pp는 분자간 결합이 강하기 떄문에 실제 수치상의 녹는점보다 더 잘 견딘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전자렌지용 플라스틱 용기는 대부분이 pp로 만들어졌습니다. 제품에 따라서는 내열성을 더 강화한 것도 있구요)
그리고 전자렌지라는게 원리가 단순히 가열하는게 아니라 마이크로파와 수분을 이용하는 것인데
전자렌지 안의 내용물이 뭐냐에 따라 온도가 천차만별입니다. (전자렌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링크에 나와있는 것처럼 단순히 라면용 물을 끓일 거라면 저렇게까지 온도가 올라갈 일은 없으므로 괜찮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뭐든지 염려되는 건 당연한 것 같은데
제가 괜찮다 아니다로 말하기가 좀 조심스러워지는군요
아예 플라스틱은 전자렌지에 넣지 않는다는 분들도 계시던 것 같건데 말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950 데이트 코스 질문 드립니다. [2] 너만을사랑해2101 08/07/04 2101
38948 노턴 고스트 사용법에 대해서... [2] 모십사2272 08/07/04 2272
38947 토익을 독학이나 인강으로 공부해보려합니다 [1] 익산_프로게이2108 08/07/04 2108
38946 신검에 대해서 질문이요~! 그리고 빈혈에 대해서 [6] 제갈공명토스2979 08/07/04 2979
38944 아..진짜 궁금한 노래가 있는데.. [131] CakeMarry14484 08/07/04 14484
38943 키보드가 고장난거 같습니다. [4] adolescent2111 08/07/04 2111
38942 양악수술 전문으로 하는 병원 잘 아시는 분 소개좀 부탁드릴게요. [3] EZrock2291 08/07/04 2291
38941 영어 토익에 관한 질문입니다! [4] GolGoDa1818 08/07/04 1818
38940 펌,컷트 어느걸 먼저해야할까요? [3] 미라클신화2023 08/07/04 2023
38939 뭐가 문제일까요 유유 [9] 개념less2082 08/07/04 2082
38937 군무원 합격자 발표가 이상하네요... [9] 오돌이5035 08/07/04 5035
38936 디카추천부탁드립니다. 사신프로브2039 08/07/04 2039
38934 야구 황당한 질문 한번 해봅니다.. [9] 비야레알2089 08/07/03 2089
38933 입사 신체검사 관련 질문드립니다. [2] 야메쌍꺼풀2074 08/07/03 2074
38932 [수학질문]극한 관련 [4] 해솔1759 08/07/03 1759
38931 인터넷 바꾸려고 할때 질문요 [2] 낚시꾼1917 08/07/03 1917
38930 환경호르몬(비스페놀 A, BPA)과 PP(폴리프로필렌) 연관성 질문!!! [5] canoppy11448 08/07/03 11448
38929 아름다운 노래말을 가진 곡을 추천해주십시오. [18] baramgurm1946 08/07/03 1946
38928 도대체 선동렬 선수(현 감독님)는 얼마나 잘했던건가요?-_-; [21] 대장균2421 08/07/03 2421
38927 워3 maxfps에 대한 질문입니다. [1] 타치바나1588 08/07/03 1588
38926 핸드폰 기기변경을 하려고 하는데요. [9] 반아2016 08/07/03 2016
38925 스타 마법(스킬)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6] BBoShaShi2255 08/07/03 2255
38923 영어 강사 관련 질문입니다 take the time2935 08/07/03 29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