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6/18 16:59:49
Name 유키노처럼
Subject 기든스 구조화이론 질문입니다.
시험기간이라서 열심히 공부를 하고 있는 중인데요..

기든스 부분에서 막혀서 도저히 진도가 안나가네요..

지식이 짧아서 책 이해하기도 너무 어렵구.. 수업시간에도 마찬가지였구요..

구조와 행위 간 관계가 대체 어떻게 됐다는 건가요?

이해하기 쉬운 텍스트라도 어떻게 좀..

염치불구하고.. 도움좀 요청할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s. Anscombe
08/06/18 17:29
수정 아이콘
기든스는 글을 명료하게 쓰는 영국식 전통의 학자라 그리 어렵지만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기든스와 부르디외의 구조-행위 연결 이론의 아이디어는 거의 유사하다고 보지만, 확실히 기든스의 글이 이해하기에는 낫죠. 뭐, 부르디외도 프랑스 학자 치고는 현란함이 덜할진 모르지만.

기든스가 자신의 구조화 이론을 집대성한 책은

기든스, 사회 이론의 주요 쟁점
기든스, 사회 구성론

'사회 구성론'이 '주요 쟁점'을 발전시켜서 좀 더 완성된 형태로 구조화 이론을 설명했다고 보면 됩니다.

Giddens, New Rules of Sociological Method

는 구조화 이론의 배경 요소, 방법론적 부분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번역서가 없다는 점이 낭패죠. '주요 쟁점'을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것 같네요.

기든스에 대한 해설서는 생각보다 많지 않은 편입니다. 국내에는 터커의 '앤서니 기든스와 현대사회이론'이 출판되어 있습니다.

'현대 비판사회이론의 흐름'에 김호기가 쓴 논문이 있고, 구조화 이론에 대해 해설한 논문이 실린 바가 있습니다.(기억이 안나네요, 염동훈이 한국사회학에 썼던 글 같은데, 확실치 않음) 터너의 '현대 사회학이론', 사이드먼의 '지식 논쟁'에도 기든스를 설명하는 파트가 있습니다. 생각보다 기든스 이론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편입니다.
진리탐구자
08/06/18 17:33
수정 아이콘
간단히 말해서 구조화는 행위가 구조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구조 속으로 편입된다는 것입니다. 가장 압축적으로 설명해주는 것은 이 구절입니다.

"역사(또는 사회)는 행위자의 의도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점을 인정한다. 그런데 그 의도는 역사에 의해 만들어진다. 뿐만 아니라 이 두 가지는 동시에 이루어진다. 즉 개인가 구조는 각기 영향을 주는 것만큼 동시에 받는다. 다음, 인간이 역사를 만드나 자신이 뜻하는 대로 희망하는 그대로를 만들지는 못한다. 따라서, 행위자의 의도와 다른 결과가 타나난다. 즉, 역사는 의도만큼, 또는 그 이상, 의도되지 않은 결과의 연속이다."


마르크스가 쓴 구절과 비교해도 좋을 듯 합니다.

"인간은 스스로 자기의 역사를 만들지만 그러나 그것은 자신의 뜻대로 만드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자신의 역사를 자신이 선택한 사회환경 속에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미 주어진, 과거로부터 물려받은 환경 속에서 만든다."
Ms. Anscombe
08/06/18 17:41
수정 아이콘
기든스가 구조와 행위를 보는 기본 관점은

1. 일방적으로 구조에 의해 행위가 결정된 듯 설명하는 기능주의적 입장(여기에는 파슨스는 물론 경제 결정론적인 맑스나 구조주의자들도 포함됩니다)

2. 행위자에 의해 자유로운 행위가 이루어지고, 의미가 창출된다는 행위론(주관에 치우친 현상학, 상호작용론, 일상생활 방법론, 해석학)

양 입장에 반대하면서 양자를 절충하는 것입니다. 그 근저에는 언어적 전환이 놓여 있죠. 간단히 말하면, 구조주의자나 기능주의자들이 말하는 것 처럼 행위가 완전히 결정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가핑클과 같은 사람이 보여주듯, 행위자들은 결코 '멍청이'가 아니죠. 사람들은 주어진 상황을 그대로 받아들여 기계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성찰성'을 갖고 있습니다. 이 점에서 기든스는 2번의 입장들(그 자신은 기본적 합의에 저항한다고 규정하고 있는)을 채택하죠.

반면, 2번의 입장은 행위자들의 행위가 특정한 구조에 의해 제약된다는 점을 간과한다는 약점을 갖고 있습니다. 우리는 어떤 행위를 하지만 그 행위는 특정한 구조 속에서 행해지며, 행위의 가능성은 권력에 의해 제약됩니다. 2번의 입장은 이러한 제약성을 무시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구조화 이론이 이 두 입장이 갖는 약점들을 상쇄시켜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모델을 구성하려는 노력의 산물이죠. 간단히 말하면, 구조는 행위에 의해 구성되지만, 행위는 구성되어 있는 구조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치, 부르디외가 행위자들이 특정 게임 내에서 활동하는 자유로운 행위자들의 모델을 그리면서, 동시에 그들 행위자들에 체화된 아비투스라는 개념을 통해 구조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듯이 말이죠.

기든스가 이를 위해 동원하는 개념이 규칙과 자원입니다. 규칙이 구조의 수준에 있다면, 자원은 행위의 수준에 있죠. 특정한 행위 능력(자원)을 갖고 있는 행위자들이 특정한 규칙들로 구성된 사회 속에서 이루어지는 상호 작용이 사회에서 일어나는 셈입니다. 뭐, 이건 엄청 단순화시킨 것이고, 규칙과 자원 외에도 체계, 구조, 제도 등과 같은 개념들이 동원되는데 단순히 말하면 이런 식입니다.('사회 구성론'의 서론과 1장을 꼼꼼히 읽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군요)

다른 질문이 있으시면 해 주셔도 좋습니다.
유키노처럼
08/06/18 19:12
수정 아이콘
진리탐구자님// Ms. Anscombe님// 두분 다 너무 감사드려요^^

참고해서 책 열심히 보고 또 모르는것 있으면 질문할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308 12~13인치 노트북 구하는데요, 좀 저렴한걸루요. [3] 수미산2028 08/06/18 2028
38307 해외여행 학생요금 할인 받으려면 어떡해야 합니까?? [2] 신난다니깐1933 08/06/18 1933
38305 KTX프리패스가 있나요? [5] Shady2989 08/06/18 2989
38304 헤어진후에 빨리 잊을수 잇는 방법 없나요? [22] Sinder2153 08/06/18 2153
38303 스타 친구를 소개합니다에서 나온 노래제목.. yjy5279 08/06/18 5279
38302 대학생으로서의 첫방학입니다. 알차게 보내고싶은데 조언좀 부탁드려요 =) [16] 보아남자친구2138 08/06/18 2138
38301 기든스 구조화이론 질문입니다. [4] 유키노처럼4348 08/06/18 4348
38300 pgr에는 솔로분들이 많은가요? [28] Dis-v2311 08/06/18 2311
38299 핸드폰 공기계 관련.. [8] 쮜방울2171 08/06/18 2171
38298 프로그래밍에대한 질문인데요.. [1] 언젠가는..1543 08/06/18 1543
38297 웨스트 윙 풀패키지 yes24에서 파는거 가격 괜찮은거죠? [6] 불꽃열1576 08/06/18 1576
38295 비스타 알트탭 질문입니다. [1] 와이숑1927 08/06/18 1927
38294 오프라인으로 인터넷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2] jinhosama1872 08/06/18 1872
38293 비와 어울리는 음악 추천해주세요 [39] 박진호2777 08/06/18 2777
38292 MS office 관련 질문입니다 (Excel, PPT) [1] 사과~1579 08/06/18 1579
38291 외장형 하드디스크에 쉽게 비밀번호 거는법 알려주세요. 메타루2911 08/06/18 2911
38290 김병현 선수 최근 근황 아시는 분 [5] 낭만한량3543 08/06/18 3543
38289 <괴델, 에셔 , 바흐> 읽어보신 분~ 불같은 강속구2095 08/06/18 2095
38286 홍진호 선수가 '이긴' 명경기를 보고 싶습니다. [16] 진리탐구자2294 08/06/18 2294
38284 파일 다운로드 오류가 났는데 이 현상 어떻게 해결해야하죠? 심각합니다... [1] Jess:D2214 08/06/18 2214
38283 바로 밑에 있는 질문 글 보고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 [5] 질럿은깡패다1996 08/06/18 1996
38282 새벽에 할일없으신분들 좀 보세요(수학) [12] 강남재벌3세1984 08/06/18 1984
38281 영화제목 질문이요 [2] 가지나무1869 08/06/18 186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