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4/18 01:53
고도가 높을 수록 기압이 낮아지는 이유는 중력 때문이고,
대류권에서 기온이 고도에 따라 감소하는 이유는 기온 역전현상 때문이 아닐까요?
08/04/18 01:55
기압이란 어떤 높이에 있어서 공기의 압력을 말한다. 공기 내의 어떤 점의 압력은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지만, 어떤 점의 기압이란 그 점을 중심으로 한 단위면적 위에서 연직으로 취한 공기 기둥 안의 공기의 무게를 의미한다.
- 고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공기의 양이 줄어들기때문에 기압이 감소합니다.. <근데 오랜만에 생각하는거라 정확하지는 않을듯.. 정의보니 딱 생각나는게 이거라서.. > 대류권 기온 변화에 대해서 이해하실려면 대기권의 구조부터 아셔야 합니다.. 기온분포에 따라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외기권의 5단계로 나누고 있죠.. 대류권에서 기온이 하강하는 수치를 기온감률이라고 하죠.. 자세한거는 책을 찾아봐야 되겠네요.. 생각이 안남.. ㅠㅠ
08/04/18 03:10
잘 모르겠지만 예측해보건데
대류권에서 기온이 고도가 올라감에 따라 감소하는 이유는 지구복사에너지가 아래쪽부터 흡수되기 때문이 아닐까요 상승기류는 기압이 낮아지면서 부피팽창이 일어나 온도가 내려가고 하강기류는 기압이 높아지면서 부피수축이 일어나 온도가 올라갈 것 같습니다.
08/04/18 05:35
대기 중의 공기덩이는 기압의 변화에 따라 기온변동을 일으킨다.
단열과정(외부로부터의 가열 X)에서는 압축이 온도상승을 가져오는데, 이것을 단열승온이라고 한다. 한편, 팽창에 따른 온도는 하강하므로 이것을 단열냉각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공기덩이가 상승하면 단열냉각이 일어나고, 하강하면 단열승온이 일어난다. 대기 중에서 높이에 따라 기온이 하강하는 것은 대류에 의한 공기덩이의 상하운동에 따른 단열냉각으로 설명된다. -기상학사전 공기덩이가 단열적으로 상승할 때 온도가 감소하는 것은 주위 대기의 기압이 낮아짐에 따라 공기덩이의 팽창으로 인하여 공기덩이가 외부에 대하여 일을 하게 되고 이 때 내부에너지가 일을 하는데 소모되기 때문이다. -대기과학개론 대충 필요한 부분만 발췌해 봤습니다. 다 알고는 있는 건데 설명하자니 책을 찾아봐야겠더군요. (열역학은 패스 ㅡㅡ;;;;) 기압은 행복한 날들님께서 말해주신게 기상학사전에 나와있는 겁니다. 너무 늦게 올려 드려서 도움이 될련지 모르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