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06/11/07 21:19
윈도우 시작시 지렁이 숫자는 솔직히 컴퓨터 속도하고는 별 상관없습니다. 주변기기 최적화 속도이기 때문이지 콘로 6600 으로 한다고 해도 지렁이 10마리 이상 나오는 경우 많습니다.
고사양 게임을 돌려보시면 됩니다. 오블 같은 게임 말이죠....
06/11/07 21:31
저 정도로 업그레이드가 되었으면 차이를 느끼실 수 있을 듯 한데요; 저는 예전에 펜4 1.7에 256램에서 컴퓨터 쓰는 것과 펜4 2.8에 512램 시스템을 두개 각각 써봤던 적이 있는데 꽤 차이가 났었거든요. 문제가 있는 듯 한데요..
06/11/07 21:39
저정도 업글에 캐리건이 같은 시간대로 나온다니....
저런 정도의 사양이라면 캐리건 얼굴이 안보여야 정상일텐데요? 하드를 안바꾸신 것 아닌가요??? 하드 속도가 상당히 중요한데.. 어차피 처음 시작할때는 하드를 읽어서 램에 데이터를 상주시키기때문에 프로그램의 첫 시작은 하드디스크 속도하고 같거든요.. 스타 켰다가..껏다가 다시 켜보세요.. 캐리건 나오는 속도가 처음 키는거랑 같으면 엄청 문제죠...
06/11/07 21:51
1기가 램이면 캐리건이 안보일텐데... 512에서도 안보이거든요..
예전에 256램이었으면 인터넷창 여러개 띄워봐도 차이가 있을 것 같네요
06/11/08 00:26
혹시나 싶어 포맷을 다시 후닥하고 봤는데..하드를 그대로 쓰고있거든요 이게 문제였나보네요.
포맷이라도 다시한번 해주니 조금이나마 나아진게 느껴지네요. 방금전까지의 속도는 정말 문제가 있었음;;;; 답변들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속도를 위해 하드까지 바꿔줘야 할까봐요..
06/11/08 02:31
하드의 버퍼나 rpm이 많은 영향을 끼칩니다..
차피 하드안에 깔린 프로그렘을 불러오는덴 하드가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게 사실이지요.. 그리고 컴터 본체에 가장 처리속도가 느린 하드웨어도 물론 하드입니다;; 버퍼높고 7200rpm대의 하드로 바꾸심이.. 버퍼는 일정시간당 처리할수 잇는 속도를 말하고.. rpm은 아시다 시피 1분동안 하드의 돌아가는 속도를 말합니다.. 하드는.. 그렇게 비싸거나 가격차가 크지 않으니.. 200-300기가대의 하드를 구입하심이 요즘엔 가장 경제적일듯 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