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2/24 10:27
has postied가 되려면 뒤에 목적어가 있어야 하는데 목적어가 없지 않나요? that 절은 부사절 같이 보이고..
그리고 문맥상으로도 The theory가 posit하는게 아니라 posit되는걸로 보는게 더 어울릴 것 같아요.
12/02/24 10:34
http://endic.naver.com/enkrEntry.nhn?entryId=85a255cbe1ef4d6cac4990dd22e61a03
네이버 사전을 살펴보았습니다. posit 이란 동사를 살펴보니 타동사로 다음과 같이 쓰이네요... (격식) (주장・논의의 근거로 삼기 위해 무엇을) 사실로 상정하다[받아들이다] Most religions posit the existence of life after death. 대부분의 종교는 사후 세계가 존재함을 상정한다. 코빌드에는 다음과 같이 설명과 예문이 있습니다... 뜻 : If you posit something, you suggest or assume it as the basis for an argument or calculation. 예문 : Several writers have posited the idea of a universal consciousness 이론은 posit 하는게 아니라 posit 당해야 하는 거네요...그러니 수동태가 적절해보입니다...
12/02/24 10:39
여기서 that은 목적격 관계대명사입니다.
이러한 이론은 이 동물들을 현재 고래들의 진화상 조상으로 받아들여왔다. 로 작가가 수동의 의미로 쓴 것입니다. 문법적으론 능동/수동 모두 가능하고 여기에서는 작가가 수동의 의미로 쓴 것이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