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5/06 17:11:39
Name 아트스
Subject [질문] 카페 아르바이트에 노동시간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pgr회원님들
제가아는동생이 카페일경험을 쌓기위해서 1월에 아르바이트가 아닌 정규직으로 월급제로 받고 일을하기 시작했습니다.
근무조건도 안좋고 일하는사람 대우도 별로 안좋아서 일하는거에 대해서 탐탁치 않아했엇는데요
카페규모가 큰건아니지만 사람이 매우 자주드나드는곳에 있기때문에 바쁠때는 일하는사람이 4~5명정도 됩니다.
일하는분들중 절반은 자녀가 있는 아주머니분들이 일하고 절반은 젊은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해서 영업하는곳입니다.
근데 절반정도 되는 아주머니들이 다 사장님들과 인맥을 통해서 들어온거라서 텃세 같은것이 좀 심합니다.
같이 일을하면 자기쉬운일만하고 힘든일 시키는것은 일상이고  아주머니들 바쁜일 있으면 시간대를 바꾸는건 당연시합니다.
제아는 동생은 목요일에 항상 쉬었는데 아주머니 스케쥴에 따라서 쉬는날짜도 변경이 됩니다. 수요일에 쉬었다가 목요일에 쉬었다가
이번연휴에는 목금토일 연휴기간이라서 수요일에 쉬게하더군요.  
마감하는 날도 날짜가 정해져있는데 아주머니들 시간에 맞춰서 마감과 오픈시간도 바뀌고요 한번은 왜그러냐고 물어봤더니
아주머니들은 돌봐야 할 자식들이 있으니까 니가 이해해야된다 라고 말씀하셨다고합니다.
그리고 바쁜날에는 일찍부르고 늦게퇴근시키는건 매우 자연스럽습니다. 추가수당 ? 그런거 전혀없습니다.
이번 어제는 12-5 파트 시간이었는데 11시에 불러서 6시에 마쳤습니다. 더욱웃긴건 아무리 바빠도 아르바이트생들은
절대로 일찍부르지않습니다. 왜냐하면 시급제기때문에 일한만큼 시간을 더줘야되거든요 ..
그래서 항상 바쁜일이있으면 제동생만 불려다니고 늦게마치고 전 매일 볼때마다 왜 따지지않냐고  잘못된건 잘못됬다고 말할줄 알아야된다고 해도  이런쪽으론 전혀 한마디도 못하는 동생입니다.
그래서 매일 저만 울화통이 터지는데 오늘도 끝나는시간보다 한시간 더 일시키는거보고 더이상 못참을거같아서 글을씁니다..
이 사장님을 한번 혼내줄(?)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 ??
너무 화가나서 제가생각나는대로 주저리주저리 쓴거같은데  이런 방면으로는 어떻게 해야될지는 모르겠고  화만나니까 그냥 하소연처럼 쓴것같습니다 ..  이런일에대해서 자세히 아시는분들은 댓글부탁드립니다 ..
더욱더 자세한 자료가 필요하면 제가 댓글이나 내용에 추가해서 적어드리겠습니다 .. 꼭좀 부탁드리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몽쉘통통
16/05/06 17:25
수정 아이콘
말만 정규직이지 근로계약서 보셨나요?

90프로 시간제 아르바이트 일겁니다.

보통 '너 몇시간 근무면 한달에 이정도 나오는대 골치 아프니까 편하게 월급으로 하자' 라는 경우라 생각됩니다.

일단 불만사항을 먼저 사장에게 이야기하는게 먼저라고
생각됩니다. 원만히 끝내는게 제일 좋으니까요

거기서 조율이 안된다. 하면

주급휴가수당 근로추가수당
증거 다 확보하신후 노동부 신고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충분히 사장에게 이야기 한후 말이 안통하면 신고하시는게 좋아요.
3자 대면하는것도 골치 아프고 스트레스 받는 일이거든요.

Ps.하지만 제 생각에는 그만두시는게 제일 좋을거라 생각됩니다. 카페 업종이 수가 많은 업종이라 더 좋은곳으로 옴기는것도 좋고,
노동부 신고 같은 경우는 3자 대면해야 하는대 동생분이 마음이 약하시면 그게 더 상처가 될수도 있어요.
아트스
16/05/06 17:38
수정 아이콘
의견감사드립니다. 동생에게 사장님이랑 얘기해보라고할게요
아트스
16/05/06 19:53
수정 아이콘
몽쉘통통님 질문이하나더있는데 예를들어서 출근하고 퇴근할때 기록부같은것이없다면 출퇴근시간은 어떻게 증명해야될까요..?
16/05/06 17:28
수정 아이콘
우선 저는 다년간 카페 운영했었습니다.
알바생이 많다면 1명 빠진다고 하더라도 별 타격이 없고, 소규모로 운영되는 곳에서 사장 인맥으로 들어온 사람을 어찌하긴 정말 힘듭니다.
추가 근무에 대해서 알바생은 시급 더 줘야하니깐 안쓴다는 부분에서 사장이 일부러 월급직원을 뽑고 부려먹고 있다고 생각되네요.
근무시간과 휴일 다 따져서 나중에 수당관련으로 신고하는 좋은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선 근로계약서와 출퇴근 시간을 기록해서 챙겨둘 필요가 있습니다.

그걸 떠나서 글 읽어보니깐 제일 좋은건 그만두는게 제일 좋습니다.
뭐 얼마나 대단한 카페인지는 모르겠고, 동생분이 미래에 어떤 일을 하기 위해 카페에 정규직으로 들어갔는지 모르겠으나
장인 급으로 유명한 바리스타에게서 배우는게 아니라면 커피빈,스타벅스 같은 직영으로만 운영하는 카페에 직원으로 들어가서 배우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트스
16/05/06 17:39
수정 아이콘
근로계약서와 출퇴근시간을 기록해둔게 필요하단말씀이시군요 감사드립니다!
16/05/06 23:17
수정 아이콘
아트스님이 밑에 단 댓글보고 추가적으로 답변하자면,
노동부 신고는 정말 쉽구요. 단지 시급 혹은 월급이 적게 주어졌다는 부분이 입증된다 하더라도
사장이 안주기로 마음먹으면 정말정말 귀찮게 시간이 끌어질 수 있습니다.(물론 그렇다 하더라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사장이 빨리 처리해야지 하고 금방 주는 사람이 있는 반면에, 그래 끝까지 가보자 하고 질질 끌어서
기존에 받아야 할 금액보다 훨씬 적은 금액에 합의해서 받고 종결짓는 케이스도 있습니다.

직영 프랜차이즈 아닌 이상 수당으로 걸고 넘어졌을 때 안 걸릴 곳은 정말 드뭅니다.
제가 알바했을때 고통받은 적이 있어서 알바생들 챙겨준다고 퇴직금, 법적으로 명시된 수당 이것저것 다 주다가 인건비가 많이 나가서 정말 바쁜 시간 아니면 혼자하다가 드러누웠거든요. 크크크
마늘간장치킨
16/05/06 17:36
수정 아이콘
이건 동생분이 거절을 확실하게 하셔야 합니다. 어차피 인맥으로 들어온 사람을 자를일은 없으니까요

일단 근무시간과 스케쥴 이동에 대해서는 분명한 이유를 대고 (ex:이제 공부때문에 오전엔 학원다니고 오후에는 스터디 한다던가 아니면 다른 이유를 대서라도) 출퇴근 시간엄수와 무분별한 스케쥴 조정은 안된다고 그 동생분이 사장님한테 '직접' 말해야합니다.
이유없이 그냥 싫다고만 하면 분명히 '나이많은분들 가정도 생각해줘야지~/ 정없게 그러기니? / 쪼금 일찍 나오는게 그렇게 싫냐?' 등등 진짜
더럽게 짜증나는 말을 하면서 뒷담화를 엄청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실 이건 동생분이 마음 독하게 먹고 확실하게 거절해야 합니다. '오늘 한번만 해주면 안될까?' 이런말에 넘어가서 다시 해주면 절대 안됩니다.

노동시간 관련해서는 근로계약서를 다시 확인하시고 법적으로 문제있는부분에 대해 증거를 확보하세요(확실히 사장을 멕이고 가게를 그만둘거라면)

가장 추천하는건 그 동생분이 5달쯤 했으니 차라리 다른곳을 알아보는게 더 좋겠어요
아트스
16/05/06 17:40
수정 아이콘
네 저도 다른곳을 알아보라고하는중입니다.. 의견감사드려요!
몽쉘통통
16/05/06 17:38
수정 아이콘
일단 돈계산부터 해보세요

지금 받는 금액이 무조건

주급수당 포함 최저임금은 넘어야합니다.

의외로 주급수당 빼면 최저임금보다 못받는 경우가 많거든요
아트스
16/05/06 17:41
수정 아이콘
월급나누기 일한시간으로 계산하면되는건가요??
어둠의노사모
16/05/06 18:23
수정 아이콘
아닙니다. 주휴수당 계산법은 따로 알아보시고 계산해보세요. 설명보다는 검색하시면 자세히 나와있을 겁니다. 일주일에 휴무일 하루를 유급 휴무를 줘야 한다는 규정이라.
아트스
16/05/06 18:55
수정 아이콘
그럼 월급에 주휴수당이 붙어서나오나요? 그럼 월급에서 주휴수당계산해서 빼고 일한시간으로 나누면 시급으로보면될까요?
소와소나무
16/05/06 17:42
수정 아이콘
월급을 얼마나 주길래 참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가끔 한두시간 더 일해줘도 다른데서 시급제로 일하는 것보다 나은 점이 있다면 모를까 왜 일하고 있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아트스
16/05/06 17:44
수정 아이콘
다른곳에일하려고 경력쌓는다고하는데 저도참답답하네요 100만원초반정도라고만 알고있습니다..ㅠㅠ
소와소나무
16/05/06 17:49
수정 아이콘
그럼 하루 5시간에 일주일에 6일씩 일하는 것 같으니
대충 6030*5*6*4=723600인데 나름 꿀이긴 하네요.
본인이 주관잡고 할말만 좀 하면 좋게 일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아쉽군요.
아트스
16/05/06 17:59
수정 아이콘
아뇨.. 짧은시간만저렇고 10시간할때도있습니다
소와소나무
16/05/06 18:08
수정 아이콘
그럼 한달 일한시간 해서 계산기 두드려 보라고 하시고 현재 월급이랑 비슷하게 나오던가 넘게 나오면 차라리 체인점 쪽에서 일하라고 하세요. 1월부터 여태까지 일한 경험이면 어디든 일하는데 문제 없을 것 같네요. 저런 단점들을 경험을 쌓는다 하나로 땡치기에는 좀 아니다 싶네요.
아트스
16/05/06 18:09
수정 아이콘
네 감사합니다. 다른분들생각이 이러하다는걸 인지시켜주고 그만두게해야겠네요
16/05/06 17:45
수정 아이콘
그만두시고 다른곳을 구해보세요.
일단 돈받으려고 싸우기 시작하면 그 매장은 그만둬야 하는데다, 돈을 받기위해 해야하는 일도 스트레스가 이만저만 쌓이는게 아니거든요.
쿨하게 나가시고 다른곳을 알아보시는게 나을겁니다.
아트스
16/05/06 18:10
수정 아이콘
의견감사드립니다.
16/05/06 19:13
수정 아이콘
저같으면 불법적으로 일을 자행한 부분을 죄다 따져서 고용노동부에 바로 찌를거 같네요.
근로계약서 작성 & 4대보험 가입
최저시급 준수 / 주휴수당 / 야간수당 / 연장수당 등등등 죄다 따져보는게 좋을듯 합니다.

주휴수당의경우 주 15시간이상~40시간이하 근무시 [1주일 근무시간/8시간 * 시급] 을 한 만큼 주마다 추가로 수당을 줘야하구요. 40시간 이상 근무시 8시간어치 수당을 줘야합니다. 또한 하루에 8시간 이상 근무시 추가 근무시간은 연장수당으로 시급의 1.5배를 주어야 하구요. 야간또한 10시 이후에 근무를 했다면 1.5배입니다.
아트스
16/05/06 19:50
수정 아이콘
의견 감사드립니다. 월급제인경우에는 최저시급으로 넣어서 계산하면될까요? 고용노동부에 찌르는건 많이복잡한편인가요?
16/05/06 20:01
수정 아이콘
제가 직접 해본적은 없지만, 여러번 노동부에 갔던 친구말로는 그렇게 복잡하진 않다고 합니다. 물론 시급부분에 있어서는 자료가 조금 필요하고(그마저도 근로했다는게 증명이되거나 통장사본정도만 있어도 괜찮습니다) 사업주가 배째라는 식으로 끝까지 가면 좀 귀찮은 일에 휘말릴 수 있습니다만, 근로계약서 부분은 그냥 진정서만 넣어도 과태료가 나오니 엿먹이기엔 제격이죠 크크
아트스
16/05/06 20:06
수정 아이콘
통장사본은 있지만 출퇴근기록부가없어서 몇시부터 몇시까지 일했는가를 증명하기힘들면 어떻게해야하죠..ㅠㅠ
16/05/06 20:17
수정 아이콘
제친구의 경우 법률공단에서 자문을 받을때, 본인이 노동부 가기전에 스스로 일한 시간을 기억을 더듬어 정리했던 기억이 나네요.
불규칙적이시겠지만 어짜피 시급계산을 해보려면 정리를 해야하니, 한번 일한 시간 정리해보세요.
아트스
16/05/06 20:20
수정 아이콘
시간은 일정해서 일한시간은알고있는데 증명할수있을까요? 그시간에 일을했다는걸요..
16/05/06 20:25
수정 아이콘
일단 기본적으로 동일한 시간대에 일을 했다는건 급여가 나오고, 그렇게 일을 하기로 서로 동의했으니 상관없는데
문제는 추가로 일을 더 한 경우에는 아무래도 완벽하게 증명하긴 힘들겠죠.cctv로 최근 근무시간은 증명가능하겠으나 그것도 길어야 한달일테고.. 자세한건 노동부직원과 상담해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그쪽에서 어느정도 된다 안된다 가늠해 줄 수 있을겁니다.
맹꽁이
16/05/06 21:06
수정 아이콘
한번 냅둬 보시는 건 어때요? 작성자 분 보기엔 어린 동생이어도
뭔가 그럴듯해 보이는 마음이 있으니까 하고 있을 거예요
누구라도
16/05/06 22:02
수정 아이콘
킹무성의 명언이 갑자기 떠오르는....ㅡ,.ㅡ열받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2559 [질문] 직장인질문) 사무실 책상을 꾸며보고싶습니다 [4] 해피바스2071 16/05/06 2071
82558 [질문] 여동생 결혼상대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71] noname116879 16/05/06 6879
82557 [질문] [오버워치] 패키지 구입에 관한 질문 입니다. [6] 미네랄배달2214 16/05/06 2214
82556 [질문] [LOL] 아지르가 다시 뜬 이유가 뭔가요? [7] 난나무가될꺼야2921 16/05/06 2921
82555 [질문] 카페 아르바이트에 노동시간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9] 아트스2873 16/05/06 2873
82554 [질문] 중고차 샀는데 평가 부탁드립니다. [10] 비야레알2875 16/05/06 2875
82553 [질문] 윈도우7 아이콘이 이상해요. [2] fgcrom3310 16/05/06 3310
82552 [질문] 새전기면도기 배터리 수명 [3] 어느새주말1968 16/05/06 1968
82551 [질문] [하스스톤] 무엇을 제작해야 할까요 [4] 모챠렐라1657 16/05/06 1657
82550 [질문] 약간 살집있는 남자 옷 살수있는 쇼핑몰 추천좀 부탁드려요 달보드레1923 16/05/06 1923
82549 [질문] 이베이에서 스포티파이 이용권 구매하려고 하는데요.. [2] 김여유4175 16/05/06 4175
82548 [질문] [하스스톤] 잊힌 횃불은 어디서 구하는건가요? [15] 야수4640 16/05/06 4640
82547 [질문] 학과 홍보영상을 만들어달라는데 얼마를 받아야할까요? [3] 앓아누워2415 16/05/06 2415
82546 [질문] 가벼운 백팩 없을까요? 베컴1526 16/05/06 1526
82545 [질문] [LOL] 다이애나로 야스오 상대하는 법 급합니다 도와주세요 [14] DOITM4441 16/05/06 4441
82543 [질문] 이미지파일 용량 줄이는 방법이 있을지요...? [8] nexon2427 16/05/06 2427
82542 [질문] 금리인하와 양적완화는 어떻게 다른가요? [10] 어디쯤에2967 16/05/06 2967
82541 [질문] 디테일하게 원하는 옷이 있는데 찾을수 없을까요 [3] 초아사랑1549 16/05/06 1549
82539 [질문] [크로스핏] 헬스장 -> 크로스핏 질문입니다 [5] 재입대3027 16/05/06 3027
82538 [질문] 직구 락포트 밑창교환질문입니다 제이슨므라즈4982 16/05/06 4982
82537 [질문] 오목교역 주변에 맛집이 있을까요?? [8] 박보영3105 16/05/06 3105
82536 [질문] 게스트하우스 주인이 일방적으로 취소를 했어요. 추가로 경주 맛집, 여행지 질문입니다. [6] 삭제됨2368 16/05/06 2368
82535 [질문] 청약 통장 입금일 지나도 상관이 없나요? [3] 사랑님2325 16/05/06 23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