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4/18 23:46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각국의 보수당이 '안보'를 이유로 각종 강경책 및 조건부 기본권 제한을 주장하긴 하는데, 이게 실효가 있는건지는 며느리도 모릅니다.
16/04/19 00:17
회사에서 성과를 더 잘 내겠다고 야근시키는거랑 비슷한 느낌? 실제로 그럴 수도 아닐 수도 있는데 성과를 바라는 쪽에서는 뭐라도 시키니까 안심을 하겠죠. 일반 국민들이 실제로 안보를 잘 하는지 못 하는지 판단하기에는 진짜 전문지식이 필요한데다가 상당수 정보는 기밀일테니 무리라고 생각해요. 그런 상황에서 그냥 열심히 하겠다고 외치니까 뭐 그렇겠지? 정도라고 생각해요. 다만 거의 확실한건 북한에 대해서는 야당에 비해서 더 강경책을 쓸 확률이 높죠.
16/04/19 00:28
판단은 자유인데 전 입안보라고 봅니다. 유화책이건 강경책이건 각각 나름의 장점과 단점이 있으니 그 부분에 대해선 상관없는데, 대중이 강경한 걸 좋아하는 경향이 있는 걸 알기에 강경 제스쳐를 취할 뿐이죠. 천안함 사건이나 북한 탈영병이 담 넘어오는 사건 등을 보면 뭐... -.-
16/04/19 00:40
진짜 안보라기보다는 북한에 대한 태도, 지원을 더 문제삼곤 합니다.
실제로 보수정권에 비해 민주정권에서 더 북한에 무상지원을 많이 해준건 사실이죠. 관련 자료를 찾아보면 보수정권에서 북으로 간 금액의 대부분은 상호교류가 많은데, 민주정권에서는 무상지원이 대부분을 차지하죠. 이걸 우리나라국민들 대부분이 못마땅해합니다. 저도 마찬가지고요. 북한에 왜자꾸 퍼주냐 이거죠.
16/04/19 00:45
사실 국민들이 새누리당이 진짜 '안보'자체를 가지고 새누리의 장점이라고 연결짓는다기보다는 새누리당의 북한에대한 가차없는 태도.
인정사정없는 그 태도를 맘에들어하죠. 민주정권 최대의 약점이기도 하고요.
16/04/19 01:32
입안보, 입보수일 뿐이에요.
국방력, 방산비리, 대북외교력 등 무능하기 짝이 없습니다. 비교 대상이 없다가 한 10년 비교대상이 생겼죠.
16/04/19 02:58
네. 개인적으로 맞다고 생각합니다.
자기 밖에 모르는 탑신병자 vs 밥먹듯이 던지는 유리멘탈 서폿 정도의 차이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둘다 못마땅하더라도, 하나를 고르라면 전자를 고르는게 맞죠,
16/04/19 05:37
안보를 강조하지만 정작 자신들의 아들을 군대에 보내지 않는 경우가 많죠. 군대 가더라도 병 걸렸다고 조작해서 군대병원에서 생활하거나 의가사 제대도 있구요. 그러다가 이회창이 군대 안 간 아들 때문에 대통령이 못 되었구요. 물론 야당의 아들들도 군대 안간 경우가 적진 않아요.
16/04/19 07:42
북한을 억압한다는게 가장 큰 어필요소입니다.. 실질적으로 안보가 더 뛰어나냐는 사실 고려대상은 아니예요..
그냥 감정적으로 북한 정권이 유지되는데 도움이 되는걸 안하니까 지지하는겁니다..
16/04/19 10:36
야당에 반하는 이미지일 뿐이죠.
눈으로 보이는 성과나 차이점이 뭐가 있나요. 퍼주지 않는다? 결국 우리나라에서 안보라는건 북한에 대한 태도를 말할 뿐이고, 야당은 그나마 대북관계 진전을 위해 뭐라도 해왔고 그게 잘 안된건 거의 북한탓이죠. 현여당쪽은 그냥 아무것도 안하는거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