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4/02 01:18
1. 팔꿈치가 벌어지면 어깨 충돌이 나는 건 맞습니다. 이건 해부학이니 뭐... 근데 어깨랑 90도로 놓고 하는 벤치프레스 방법도 있습니다. 이른바 기요틴 프레스라고 불리는 건데... 대표적으로 강경원 선수 계열이 이렇게 합니다. 기본적으로 팔꿈치는 모으고(바보다 몸으로 더 붙은 상태), 견갑골은 이른바 숄더팩킹의 상태로 역시 뒤로 빼서 모으는 자세로 들어올리는 게 부상을 예방하는 자세입니다. 바는 그냥 젖꼭지 기준으로 90도로 올리면 된다고 생각하는데, 그것보다 더 위쪽 각도는 인클라인 벤치프레스에서 활용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그런데 느낌상 살짝 사선으로 들어올리는 거 같이 올려야 90도로 올라가긴 합니다).
2. 스쿼트고 데드리프트고 밀프고 서서하는 복합관절운동에서 중요한 건 허리 근육과 복근에 빡 들어간 힘으로 힙힌지를 포함한 운동의 전 구간에서 허리가 꺾이지 않게 하는 겁니다. 파워벨트는 복압을 높여줘서 척추 유지를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스쿼트에서 무게가 올라가면, 다리는 펴지는데 허리가 앞으로 무너지는 경우를 경험해 보셨을 겁니다. 그래서 다리는 무게를 더 들 수 있는데 스쿼트 무게는 더 올라가질 않구요... 이런 경우 복압을 높여주는 파워벨트를 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약한 허리힘을 보완해줄 수 있습니다. 데드리프트에서도 무게가 올라가면 허리가 앞으로 굽게됩니다. 이런 상태를 방지해 주는 게 파워벨트입니다. 그래서 꽉 졸라매야 하고, 끝나면 벗어야 합니다. 잘못하면 피 쏠리니까... 그리고 데드리프트할 때 허리는 뉴트럴입니다. 아치는 무게가 올라갈 수록 안 좋다고 합니다. 3. 1분 휴식에 2시간 하시면... 운동 한 셋트 길게 잡아 1세트라고 봤을 때(전 세트 슈퍼 네거티브는 아니실 테니..), 2시간이면 60세트....인데 뭐 그 정돈 아니겠죠.. 그런데 1분 휴식에 2시간 간다는 건 운동강도가 너무 낮은 거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듭니다. 등 같은 경우는 이것저것 챙겨주다보면 시간이 좀 더 걸리긴 하는데... 좀 줄여보시는 게 어떨지요. 4. 근비대(hypertrophy)에 중요한 것은 근에 점진적 과부하(overload)를 주는 겁니다. 과부하는 점점 올라가는 무게로 이루어지죠. 그런데 가끔 과부하를 근피로(fatigue)와 혼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두 세시간식 운동을 한다는 건 그런 상태가 아닌가 싶습니다. 근피로가 아니라 과부하라는 점을 명심하시면서 운동하시면 근성장이 촉진될 겁니다. 근피로를 추구하다보면 오버트레이닝의 늪에 빠지게 됩니다.
16/04/02 08:51
복압... 저거 멜때 배에 매는게 아니라 허리골반부분에 걸치게 매라고 해서 복압같은거는 생각도 못했네요...근피로같은거는 그냥 당연한거로 생각하고 운동 많이하면 지그력 올라가는 개념으로 알고있었는데 운동강도 높여서 해보겠습니다 세트는 한 40개 정도 하는데 생각보다 제가 느슨하게 했던것 같습니다 타이트하게 쉬는시간 줄여야겠네요 감사합니다!
16/04/02 04:52
1. 6,8회 기준으로 저정도 넘버면 보충제 드세요. 보충제 안먹으면 잘 안느는 지점정도에 오신거 같네요.
2. 그리고 5-10키로정도 더 찌워도 상관 없을거 같네요. 이정도 몸무게에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율 잘 맞춰서 늘리시면 체지방이 그렇게 불어나지도 않습니다. 3. 제 경험상 빡시게 한다고 했을때 아무리 컨디션이 좋아도 1시간 반 넘어가면 힘들기 시작합니다. 30분 트레드밀 때면 2시간-2시간반하신다는 소린데 오버트레이닝이거나 빡시게 안한다는 소리입니다. 4. 웨이트 트레이닝을 빡시게 한다고 했을때 매일 카디오를 할 필요도 없습니다. 주 2-3일이면 충분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