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18 12:03:32
Name 영원한우방
Subject [질문] 전립선염 겪어보신 분 계시나요?
안녕하세요. 전립선염 때문에 꾸준히 약을 먹고 있는 학생인데요. 통증이라고 할 정도는 없는 거 같아서 불편이 있는 수준은 일단 아닙니다.

이게 만성질환이 되기 쉽다고 해서 걱정인데...완치가 되셨 거나 혹은 꾸준히 치료 중이신 분들의 경험담을 듣고 싶습니다. 생활습관을 어떻게 했다든지 등...의사 분 말씀으로는 1년 정도 치료하고 이야, 완치됐다 하곤 술 먹었더니 재발한 경우도 있다더군요.-.- 오래 앉아있는 건 피하고 술, 담배도 안 하긴 하는데...

그리고 치료에 도움이 되는 운동이 있을까요? 하체 운동은 전립선에 무리를 줄 거 같아서 안 될 거 같고, 걷기 정도도 안 되려나요...?

상체 운동이라고 해도 결국엔 복부에 힘 들어가지 않나 싶어서 하기 꺼려지네요. 맨몸 운동 정도면 괜찮으려나 싶긴 한데...운동은 안 하는 게 맞을까요?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케르나르
16/03/18 12:16
수정 아이콘
http://redtea.kr/pb/pb.php?id=qna&no=924 여기 답변 참조하세요.
영원한우방
16/03/18 16:0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그리움 그 뒤
16/03/18 16:12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전립선염은 만성질환입니다.
그리고 완치개념이 없습니다. 언제든지 증상이 재발될 수 있으니까요. 평생에 걸쳐 관리하는 질환입니다.
전립선염은 유별률이 성인 남성의 50% 정도이고, 주 호발연령은 20~30대입니다.
하지만 증상이 없는 category IV 의 무증상 전립선염 형태가 많아 모르고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립선염 진단과 치료가 어렵고 만성인 이유는 아직까지 정확한 발병 원인을 몰라 근본적인 원인 교정이 되지 않아서입니다.
원인은 잘 몰라도 증상을 유발하는 주원인은 술, 과로, 스트레스가 가장 많고, 오래 앉아있는 것이나 자전거 타기, 장시간 운전, 소변을 참아버릇 하는 것이 좋지 않습니다.
도움이 되는 것으로는 반신욕이나 좌욕, 규칙적인 사정습관(전립선염은 성병 아니고 사정액이 여자에게 병을 옮기지 않습니다.)이 좋고
음식으로는 토마토, 콩 성분이 좋습니다.
운동은 자전거타기 이외에 모두다 상관 없습니다. 무산소, 유산소 상관없습니다. 운동이 특별히 전립선에 좋을 것도 나쁠 것도 없습니다.

전립선에 좋은 음식이나 치료라고 광고하는건 마음의 위안 이외에 얻을게 하나도 없습니다. 돈만 낭비에요.
영원한우방
16/03/18 16:22
수정 아이콘
그리움 님도 의사셔서...다른 의사(제 진료 맡아주신) 분 이야길 하는 게 좀 죄송하긴 한데, 그 의사 분은 복부나 항문에 힘이 들어가는 건 피하는 게 좋다고 하셔서요. 그래서 아무리 상체 운동만 한다 해도 복부나 항문에 힘이 안 들어갈 수가 없는데...라고 생각했 거든요.

자세하게 답변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괜찮으시다면 제 진료 봐주셨던 의사 분 진단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 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그리움 그 뒤
16/03/18 16:54
수정 아이콘
전립선에 자극이 갈 수 있는걸 피하라는 의도로 하신 말이겠지요. 저는 동의하지 않지만요.
인정받고 있지는 않지만 에어로빅 같은 운동이 전립선에 좋다는 논문도 있습니다.
전립선염 치료 중 하나로 자기장 골반근육 치료도 있습니다. 케겔 운동도 권장하구요.
여러가지를 따져봤을때 저는 복부나 항문에 힘 들어가는걸 피하라는 말을 하지 않습니다.
영원한우방
16/03/18 18:47
수정 아이콘
요즘 운동에 재미 붙여서 열심히 하던 중에 이런 진단이 나와서...운동 하고 싶다는 마음이 컸었는데^^; 답변 고맙습니다.
전방카메라
16/10/21 18:20
수정 아이콘
.
그리움 그 뒤
16/10/21 18:36
수정 아이콘
일반적인 전립선염에 동반되는 균은 대장에서 유래된 대장균 계통입니다.
여자의 질 내부도 대장균 계통의 균들이 상주해 있습니다.
그래서 대장균 계통의 균이 동반된 전립선염이라도 어차피 여자 질 내부에도 같은 균이 있어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전립선염이 성병균과 관련이 있는 것은 주로 클라미디아 균이 가장 많습니다만... 드문 케이스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해당 균이 없어질때까지는 병을 옮길 수 있으니 이때에는 조심해야겠지요.

평생에 걸쳐 관리하는 질환의 개념은 같습니다.
전방카메라
16/10/21 19:10
수정 아이콘
.
그리움 그 뒤
16/10/21 19:13
수정 아이콘
아마 요도염과 전립선염이 각각 있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클라미디아 균에 의해 전립선염이 생겼을 가능성보다요.
요도염 완치후 관계라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을 듯 하네요.
그리움 그 뒤
16/10/21 19:15
수정 아이콘
클라미디아에 의한 전립선염이라는 것이...
소변 PCR 검사에서는 클라미디아가 검출되지 않았는데, 동시에 진행한 전립선액 또는 정액 PCR 에서 클라미디아 균이
검출된 케이스인데요. 이건 정말 드물거든요.
전방카메라
16/10/21 19:31
수정 아이콘
.
그리움 그 뒤
16/10/21 20:37
수정 아이콘
그런 케이스면 저같으면 요도염과 전립선염이 각각 생겼다고 봅니다.
전방카메라
16/10/27 14:07
수정 아이콘
감사인사가 늦었네요..답변 감사합니다.

진료보고 왔는데, 말씀하신 것처럼 전립선염은 해당 균과 무관하다고하네요.
의사분이신 것 같은데 글로만 보고도 파악하신게 대단하시네요. 결과 확인하고 많이 놀랐습니다 크크.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9932 [질문] 'iPad <-> PC 원격 제어' 어플리케이션 추천 부탁드립니다. [3] Propose1858 16/03/18 1858
79931 [질문] 이 신발은 무슨 신발인가요? (신서유기 21화 이승기 신발) [2] 유라2882 16/03/18 2882
79930 [질문] 지메일 인증절차 건너뛸수 있을까요? [4] 가까이3987 16/03/18 3987
79929 [질문] 오사카성 벚꽃 문의 드립니다 [4] 豚6921765 16/03/18 1765
79927 [질문] 스팀에서 보더랜드2를 사려고 합니다. [11] 아론2085 16/03/18 2085
79926 [질문] 내일 영화관에서 영화만 4편정도 볼 생각인데요. [20] 파란무테2688 16/03/18 2688
79925 [질문] 고양이 대소변 가리는 문제.. [4] 노랑오리부채2180 16/03/18 2180
79924 [질문] 스키장에 관해 잘 아는 분들 계신지요 [10] 카우카우파이넌스1528 16/03/18 1528
79923 [질문] 스탁론 이용해보신 분 계신가요?? [3]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1241 16/03/18 1241
79922 [질문] 전립선염 겪어보신 분 계시나요? [14] 영원한우방4512 16/03/18 4512
79921 [질문] [연애] 연애초기 여성의 심리가 궁금합니다. [14] 장수풍뎅이10768 16/03/18 10768
79920 [질문] 중고차 판매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6] 정직한사람1780 16/03/18 1780
79919 [질문] 층간소음 민사소송 관련 질문 [1] 삭제됨2771 16/03/18 2771
79918 [질문] 내시경 비용 [4] 밀물썰물8143 16/03/18 8143
79917 [질문] 발목재활 관련 운동법 문의드립니다. [1] 좌절금지1426 16/03/18 1426
79916 [질문] 종로쪽 맞춤정장 어디가 좋을까요? [2] 어디쯤에1857 16/03/17 1857
79915 [질문] 30대, 친구 관계에 대해서 고민.. [18] 삭제됨10341 16/03/17 10341
79914 [질문] 게임엔진 유니티 해보신 분? 와 이건 정말 [1] 삭제됨1967 16/03/17 1967
79913 [질문] 폰 사용 제한하는 앱처럼 컴퓨터 사용 제한하는 프로그램 없나요? 최초의인간1159 16/03/17 1159
79911 [질문] 인천터미널 근처 피시방 추천 부탁드립니다. [2] 몽유도원5983 16/03/17 5983
79910 [질문] 여기 보이는 보안문자가 무슨 글자일까요?? [6] 윤소희2558 16/03/17 2558
79907 [질문] 전에 삼성에서 뛰었던 나바로 퇴출사유중에... [29] 잘가라장동건3840 16/03/17 3840
79906 [질문] [영어] 특정문제유형에 대한 습관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2] 스팍1348 16/03/17 134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