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3/14 17:22
일단 알파고가 하는 일을 그만큼 하는 것은 소프트웨어 기술 발전으로 해결될지 모르겠는데.. (갈수록 탐색하는 경우의 수가 줄어들테니까요..)
알파고가 하는 계산량을 가정으로 가져오는 것은 잘 모르겠습니다.. 대충 고급 컴퓨터 4~5000대 분량이라고 하던데.. 사실상 CPU의 클럭수가 제한되어 있는 지금 상태에서 아키텍처의 발전만으로 그만한 계산량이 가능할지는 의문입니다.
16/03/14 17:45
자기학습형 인공지능이니 제 생활패턴을 분석해서 아침에 적당한 시간에 깨워주고 컴퓨터도 미리 켜놨다가 출근했다 싶으면 컴퓨터 알아서 끄고 TV도 선호채널로 알아서 틀어주고 목욕물도 적당한 온도로 데워주고 밥도 차려주고 뭐 이런.... 말해놓고나니까 그냥 노예네...
16/03/14 18:15
그 정도 기능은 슈퍼컴퓨터도 필요없고 이미 많은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고객 니즈와 도입비용을 비교했을때 이익이 없어서 안하는 것 뿐입니다. 10년안에는 그래도 스마트홈에 그런 기능은 들어갈거라 예상합니다.
16/03/14 17:48
지금 알파고가 프로토 타입이라서 완성된 버전까지는 시간이 걸릴 겁니다.
만약 지금 버전을 바둑용으로 상용화 한다면 늦어도 10년 안에 스마트폰으로 알파고랑 대결 가능할 것 같습니다. 1판당 얼마 이런식으로 유료서비스 같은 거 하면 5년 안에도 가능할 듯..
16/03/14 17:52
양자컴퓨터라는 물건이 안정화된 후에 대중화되어야 할 거 같은데... 서버로 서비스하면 좀 더 빠르긴 하겠네요 수익성 때문에 그렇게 할지는 모르겠지만...
16/03/14 17:59
알파고급 컴퓨팅파워가 언제 PC에서 구현될까인가요? 마치 원자력발전소 각 가정마다 하나씩 놓는 데는 얼마나 걸릴까요 같은 느낌
저도 슈컴알못이긴 한데 대충 검색을 해보니까 하사비스 왈 지금 알파고 버전18 분산형의 컴퓨팅파워가 슈퍼컴퓨터 중에 하위라고 했거든요. 그러면 슈퍼컴퓨터 랭킹 500등쯤 된다는 얘기인데 2015년 11월 슈퍼컴퓨터랭킹 500등짜리가 Linpack Performance (Rmax) 206.4TFlop/s라네요... 그리고 2012년 11월에 슈퍼컴퓨터 500등짜리는 Linpack Performance (Rmax) 76.411TFlop/s랍니다 근데 현재 일반적인 PC 연산량이 몇 테라플롭스인지를 모르니까 검색을 해봤는데 NVIDIA Drive PX2? 뭐 이런 놈이 나오는데 지금 6TFlop/s래요 저게 어디다 쓰는 놈인지도 모르지만 대충 때려잡아서 지금 최고급 pc 한대 맞추면 2테라플롭스쯤 되겠지 치고 3년에 3배니까 6년뒤에 9배 12년뒤에 27배 15년뒤에 81배... 면 162테라플롭스 나오네요 그래서 얼추 15~20년 뒤면 pc에서 지금 알파고 연산량쯤 처리할 수 있을까 싶습니다. 정말 조악한 추론이군요 전문가님들의 제대로 된 설명 기다리겠습니다 ㅠ
16/03/14 20:29
어차피 클라우드 시스템인데 집집마다 알파고 하드웨어를 갖출 필요가 있을까요?
왕큰 알파고를 대륙별로 설치해두고 인터넷으로 계산 요청하고 받아보면 될 것 같은데요
16/03/15 12:56
엄청나게 무식한 계산으로... 20년 전에 체스 그랜드마스터를 이기는데 슈퍼컴퓨터가 필요했고, 요즘은 휴대폰 앱이 그랜드마스터 레벨이라고 하니, 20년 뒤에는 되지 않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