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2/27 11:07:50
Name Aristo
Subject [질문] [LOL] 수직동기화가 어떤건가요??
노트북으로 롤을 돌려보려고 합니다. 내장그래픽이구요. 고사양은 아닙니다.
찾아보니 저사양 같은경우 옵션에서 수직동기화를 꺼주는게 좋다고 하던데, 롤상에서 수직동기화가 무슨기능을 하는건지요?
또,fps같은경우 어느정도로 맞춰두는게 좋을런지요.(현재는 제한없음으로 해두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2/27 11:13
수정 아이콘
그래픽을 강제로 60fps로 맞출려고 노력하는 기능이라고 합니다 사양낮으면 끄라고하네요
16/02/27 15:07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16/02/27 11:25
수정 아이콘
프레임이 60fps를 넘어갈때 60fps로 고정시키는 기능입니다. 어짜피 60fps를 넘지못하는 저사양의 경우 필요가 없는 기능이죠.
16/02/27 15:0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고독한미식가
16/02/27 11:40
수정 아이콘
우리가 사용하는 보통 모니터는 60Hz입니다.
모니터가 1초에 60장의 화면을 뿌립니다.즉 60프레임이 최대라는거죠.
그런데 그래픽카드 성능이 좋으면 100프레임이 넘어가게 되면서 문제 하나가 생깁니다.
화면에 뿌릴 수 있는 최대 프레임은 60프레임인데 그래픽카드는 100프레임씩 뿌리고 있는거죠.
모니터랑 그래픽카드가 싸웁니다.

모니터:야 60장만 보내라고 좀! 내가 어떻게 100장씩 뿌리냐.
그래픽카드: 잔말 말고 그냥 100장 뿌려!
모니터:야 그럼 화면 밀려도 상관없는거지? 난 책임 없다 니가 알아서 해라!

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한번에 1+0.6장을 보내다보니 0.6장의 깨진모습이 화면에 물결처럼 나타는 현상이 생깁니다.
이를 티어링 현상이라고 합니다.
수직동기화는 모니터와 그래픽카드가 협상을 합니다.

모니터: 야 내가 1초에 60장밖에 못뿌리니 너도 60장만 줘라 오키?
그래픽카드: 오키!
하면서 1:1비율로 한번에 한장씩 뿌리게 되면서 안정적인 화면을 얻게되는거죠.

하지만 이건 다 그래픽카드 성능이 좋을때 이야기고...저사양이면 좀 달라집니다.
애초에 60프레임을 뽑을 수 없는 그래픽카드에 수직동기화를 걸어버리면 프레임 반토막이 나는 현상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

모니터:야 1초에 60장 뿌릴 수 있으니 얼른 얼른 가지고 와라.
그래픽카드: ㅠㅠ 나 1초에 40장밖에 못뿌리는데 ㅠㅠ

이렇게 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하게 되면서 1/60초에 한장씩 뿌리던 작업을
1/60-출력
2/60-대기
3/60-출력
4/60-대기
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프레임이 반토막이 나게 되는겁니다.
그래서 저사양 같은경우는 그냥 수직동기화 걸지 않고 40프레임으로라도 게임하라는 의미에서 수직동기화 걸지 말라는겁니다.
16/02/27 11:44
수정 아이콘
한가지 여쭤보고 싶은게 있는데, 롤을 할때 수직동기화를 끄고 하면 200fps이상이 나옵니다. 근데 수직동기화를 켜서 60fps로 고정일때보다 훨씬 더 부드럽고 반응속도가 빠른듯한 느낌이 있는데요. 이럴땐 그냥 끄고 해도 무방한가요?
고독한미식가
16/02/27 11:54
수정 아이콘
200프레임씩 나오고 그러면 그냥 수직동기화 키고 하는게 낫지 않나요?
저도 300프레임씩 나오는데 수직동기화 켜놓고 합니다. 수직동기화 꺼놓고 하면 그래픽카드 돌아가는게 장난이 아니라 발열 소음도 심하고 어떤 그래픽카드는 고주파를 뿜어내기도 합니다.
노트북이라고 하신것 같은데 전력소모 생각하시면 그냥 수직동기화 켜놓고 하세요.
콰트로치즈와퍼
16/02/27 11:58
수정 아이콘
둘중에 반응속도 더 빠른걸로 하시면 됩니다.

근데 프레임 무제한으로 하면 사양이나 컴퓨터상태에 따라서 가끔 프레임이 튄다?라고 해야하나요 프레임이 과하게 올라가서 가끔 렉을 먹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근데 이것도 제법 구린 컴퓨터가 드라이버 업데이트도 한참동안 안했을 경우에나 있는 것 같더라구요. 제가 예전에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한참동안 안했다가 협곡VU업데이트를 쳐맞고(...) 렉을 왕창 먹어서 지금은 60fps나 80fps 고정으로 해두고 있습니다... 그 이후론 무제한으로 해본 적이 없어서 모르겠네요.
몽키매직
16/02/27 13:17
수정 아이콘
반응속도 차이는 있을 수 있는데 부드러운 건 수직동기화를 켠 쪽이 무조건 낫습니다.
그래픽카드에서 보내는 프레임이 모니터 프레임의 정배수가 아니면 미세 스터터링이 생길 수 밖에 없어요.
저 신경쓰여요
16/02/27 11:51
수정 아이콘
와 이렇게 알기 쉽고 재미있는 설명은 처음 보네요 크크크크
Nasty breaking B
16/02/27 11:58
수정 아이콘
설명 대박 크크크크크
콰트로치즈와퍼
16/02/27 12:00
수정 아이콘
우왕 댓글에 개추드리고 싶네요

근데 롤에 보면 수직동기화가 따로 있고, 프레임 제한?고정?이 따로 있습니다. 프레임 고정에도 60fps이 있는데 수직동기화랑 60fps고정이랑 다를 게 있을까요?
고독한미식가
16/02/27 12:22
수정 아이콘
수직동기화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화면을 뿌려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떤 물체의 등속도 운동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일정하게 쭉!...
일정하게 뿌리기 위해서 60프레임에서 1프레임 만 떨어져도 프레임을 반토막 내는 부작용이 있기도 합니다.
즉 항상 어떤 상황에서든 60프레임을 유지할 수 있는 상황이면 수직동기화 걸어도 60프레임을 유지하지만 교전상황에서 59프레임을 그래픽카드가 출력해야하는 상황이 온다면 29프레임을 처내고 30프레임으로만 화면을 구성하게 됩니다.
프레임 고정은 최대프레임을 60프레임으로 고정하지만 교전상황에서 59프레임으로 떨어져도 프레임을 반토막내지 않고 출력해줍니다.

엥? 그럼 수직동기화 구린것 같은데 왜 쓰는거지요? 라고 하는데 어차피 수직동기화 걸고 할 정도의 컴퓨터이면 60프레임 이하로 떨어지는 상황자체가 없습니다. 즉 프레임고정이나 수직동기화나 같은거죠.
다만 120hz의 모니터 같은경우 수직동기화를 걸어버리면 120프레임으로 뽑아냅니다. 물론 좋긴 하지만 과도한 프레임은 발열/소음/고주파를 동반하기때문에 또는 어차피 사람눈은 프레임 높아도 잘 구분 못한다며? 라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나 높은 프레임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게 프레임 고정입니다.
또한 100프레임 뿌리는 그래픽카드,그리고 60hz 모니터 쓰는 사람에게 60프레임고정이나 수직동기화나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그 이상의 모니터 예를들어 120hz같은 경우에 수직동기화를 걸어버리면 60프레임으로 반토막 나기때문에 프레임고정이라는 기능이 있는겁니다.
불같은 강속구
16/02/27 12:06
수정 아이콘
지나가다 봤는데 이해하기 좋게 아주 좋은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제 경우에는 좀 이상하더군요.
게임시 측정하면 분명히 60프레임 이하로 나오는데 물결현상이 있어서 수직동기화를 켰더니 없어지는데 왜 그런지 모르겠네요.
고독한미식가
16/02/27 12:27
수정 아이콘
60프레임 이하로 나와도 물결현상이 생깁니다.
수직동기화켜서 60프레임이 되었다면 저도 왜 그런지 잘 모르겠지만...
60프레임이 안되는 상황에서 수직동기화켜서 30프레임으로 해도 물결현상은 사라집니다.
16/02/27 15:08
수정 아이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 많이 됬습니다.
16/02/27 15:45
수정 아이콘
설명 클래스가 엄청나시네요
피아노
16/02/28 01:33
수정 아이콘
설명 정말 잘하시네요~
스테비아
16/02/27 13:01
수정 아이콘
댓글을 자게로!
몽키매직
16/02/27 13:15
수정 아이콘
티어링 현상의 원인은 윗 설명과는 조금 다릅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느라 그렇게 된 것 같긴 하지만...
어쨋든 수직동기화 활성화되면 화면이 더 부드럽고, 티어링 현상도 거의 없어집니다.
전력 절약되는 측면도 있고요.
16/02/27 13:40
수정 아이콘
댓글 때문에 질문 글 스크랩했습니다! 좋은 질문,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좋은하루되세요
16/02/27 14:14
수정 아이콘
아마 글쓴이가 원하는 댓글을 달아봅니다.

lg zd-360 (아이비브릿지 i3 내장그래픽카드) 사용하고 최하옵 최대프레임 30fps로 하는게 정신건강에 이롭습니다.흐흐
16/02/27 15:0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최대를 30으로 설정하는게 좋다는 말씀이시죠?
좋은하루되세요
16/02/29 00:30
수정 아이콘
네... 아무래도 내장그래픽카드면 좀 힘들어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8795 [질문] 버거씨 진단비 보조 프로그램 알고 계신 분 있으신가요? [2] cafferain1237 16/02/27 1237
78794 [질문] 필리버스터 세계기록유산 등록 [2] leesd862594 16/02/27 2594
78793 [질문] 야학교사에 대해 질문합니다. [1] 대왕세종1399 16/02/27 1399
78792 [질문] ~하냐고 해 를 줄이면 어떻게 되나요? [6] 우왕1889 16/02/27 1889
78790 [질문] 전세집 이사후 벽지 얼룩 질문입니다. 토폴로지2126 16/02/27 2126
78789 [질문] 운전연수 관련 질문입니다. [7] 레모네이드7574 16/02/27 7574
78788 [질문] 삶의 낙이 있으신가요? [32] 마제스티3523 16/02/27 3523
78787 [질문] 집주인이 바뀌면 계약서 다시쓰는게 흔한일인가요? [9] 찐빵3389 16/02/27 3389
78786 [질문] 어.. 골동품이 나왔습니다. AGP타입 그래픽카드 필요하신 분? [6] Gaudi2041 16/02/27 2041
78785 [질문] 술마시고 타이레놀 몇시간 후에 먹어도 되나요? [7] 삭제됨8937 16/02/27 8937
78784 [질문] C드라이브 남은 용량이 자꾸 줄어드네요. [5] 노랑오리부채7510 16/02/27 7510
78783 [질문] 에어컨 설치비 26만원 정도 나왔는데..적정한건가요? [8] BessaR3a3214 16/02/27 3214
78782 [질문] 프로듀스101 어제 방송봤는데 제가 이상한건가요? [7] 피노시2320 16/02/27 2320
78781 [질문] 통풍 증상 (아픈 부위)가 어떻게 되나요? [1] 네오크로우2482 16/02/27 2482
78779 [질문] 컴퓨터 인터넷 연결 도와주세요. [3] 아스날1622 16/02/27 1622
78778 [질문] 요즘 아이폰6 강화유리나 케이스 어떤게 대세인가요? [2] AspenShaker1502 16/02/27 1502
78777 [질문] [LOL] 수직동기화가 어떤건가요?? [24] Aristo11193 16/02/27 11193
78776 [질문] 프로젝터 두개중 어떤것을 사야할까요?? [5] 플래쉬1735 16/02/27 1735
78775 [질문] 코골이와 목젖수술에 대해 [2] 봄春2045 16/02/27 2045
78774 [질문] 야구 시즌권 대한 질문입니다 BBoShaShi1753 16/02/27 1753
78773 [질문] 윈도우 설치관련(x86 x64) 질문드립니다. [10] 黃昏1842 16/02/27 1842
78772 [질문] 노래찾기 질문입니다 아프리카사람이다1189 16/02/27 1189
78771 [질문] 스트레칭 관련 도서 추천 부탁드립니다. [3] 물범1790 16/02/27 179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