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11 09:50
(수정됨) 어차피 실측하셔야되니까 도면 분석은 대충만 하셔도 됩니다. 대충 +- 5-10cm
같은 라인도 층마다 길이가 다 제각각이라 실측 안 하고 미리 준비하면 낭패봅니다. 그리고 도면상 계산보다 실측이 작을 확률 99.999%.... 내장재나 내장재 바르거나 붙이기 위해 대는 것들도 은근 두께가 있어요.
25/04/11 10:02
감사합니다. 실측이 어려운 상황이라 ㅠㅠ
맞춤제작가구를 들이거나 할 건 아니긴 한데, 들고 가는 가구들 요리조리 배치를 미리 해보려 이사할 때머다 애용해 온 floorplanner 사용해 도면을 그려보려고요. 각 방들의 폭 너비를 최대한 실제와 맞게 그려보려는데 외벽 두께를 빼질 못해서 그리질 못하고 있습니다... 대략 350mm 생각하고 여기에 실제는 +30~50mm 좁다고 계산하면 될까요?
25/04/11 10:24
혹시나해서 Perplexity에 파일 올리고 각 벽의 두께를 알려달라고 하니...
도면에서 각 벽의 두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외벽: 외벽 두께는 일반적으로 약 200mm로 보입니다. 도면에서 외벽은 두꺼운 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단열재와 구조재를 포함한 두께입니다. 2. 내부벽: • 일반 실내벽: 내부벽의 두께는 약 100mm로 보입니다. 이는 경량 칸막이 또는 일반 실내 벽 두께에 해당합니다. • 화장실 및 습식 공간 벽: 화장실 주변의 벽은 약 150mm로 보이며, 이는 방수 처리와 배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추가 두께입니다. 3. 기둥 및 구조적 벽: 기둥이나 구조적 역할을 하는 벽은 약 300mm 이상으로 보입니다. 이는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구조적 요소입니다. 도면에서 정확한 치수는 각 벽 옆에 표시된 숫자를 확인하여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라고 하는군요. 허허...
25/04/11 14:06
(수정됨) 건축도면의 치수는 벽체의 외측이나 내측이 아니라 중심선을 기준으로 그리게 되어 있습니다
치수의 지시선을 잘 보시고 치수범위가 어디까지인지 판단하시면 됩니다 빨간 화살표로 지시한 벽은 벽체의 중심선까지 거리가 160이니까 X2해서 320 입니다 좀 특이하네요? 보통 300이거든요 같은 방식으로 노란색은 200 맞습니다
25/04/11 14:14
(수정됨) 거실 투시형난간대 쪽 치수를 읽어 드리면
차례로 690 / 3920 / 750 이라고 적혀 있는데 창문틀 왼쯕 벽체가 690 창문틀이 3920 창문틀 오른쪽 벽체가 750 이란 의미입니다 벽체들은 중심선이 기준이라서 실제 내폭은 590 / 3920 / 590 입니다 그 다음에 있는 5100은 거실 내측 실제폭 입니다 590+3920+590 = 5100 짠~ 잼있죠 :) 그 밖에 있는 5360는 거실내측과 양쪽 벽체 중심선(건축기준점)까지 거리고 여기에 각각 내외벽의 두께 100 160을 더하면 건물 외측에서 거실부를 실측한 길이인 5620 이 됩니다 단위는 모두 mm 입니다 건축물은 기초단위가 mm죠 전 건축설계가 아니라서 용어나 디테일은 좀 틀렸을 수도 있는데 크기 관련해선 아마 맞을 겁니다
25/04/11 14:42
층 안에서도 높이마다 달라요.
(벽이 수직이 아니고 울퉁불퉁합니다.) 한 집 안에서도 천고도 조금씩 달라서 커튼 맞춰서 달아보면 한쪽은 안끌리는데 한쪽은 끌리는 상황도 흔합니다. 그래서 인테리어 빡세게 할 때에는 목공으로 앞에 평평한 벽을 세워버리죠. 결국… 들어가셔서 실측 해보셔야 합니다. 아니면 버퍼를 좀 여유롭게 잡던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