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7/27 13:04
(수정됨) 국내계좌로 Tiger S&P 사든가 아니면 해외주식거래신청하고 환전해서 SPY IVV VOO중에 끌리는 거로 사면 됩니다. 근데 S&P로 투자한다하시더라도 너무 쉽게 생각하시면 안돼요. 우상향이라는게 '장기' 우상향이지 넣어놓으면 적금처럼 무조건 이자주고 하는게 아닙니다.....원금손실나면 멘탈 터지는건 똑같아요.
21/07/27 13:19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도 국내상품이 있고, 해외상품이 있습니다.
종류가 워낙 다양하고 장단점들이 있어서 [s&p500 ETF] 로 검색해서 상품마다 무슨 차이가 있는지 나는 어떤걸 하면 좋을지 공부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게 좋습니다. https://drama-recommend.tistory.com/113 https://tariat.tistory.com/1146 이런식으로 네이버/구글 검색을 통해 알아보세요.
21/07/27 13:20
ISA 계좌 생성 -> TIGER미국S&P500 등 국내상장 ETF 구매
해외주식거래신청 -> SPY, IVV, VOO 등 해외주식 직접 거래
21/07/27 13:47
중국은 홍콩보단 상해지수가 낫다고 봐서요.
China - CNXT (상해지수추종) India - INDA (MSCI India Index)
21/07/27 15:13
개인적으로 이머징마켓에 50%나 투자하는 것에 반대하는 편입니다.
어차피 미국 빅테크기업(FAANG)나 MS같은데는 전세계를 상대로 비즈니스를 하기 때문에 이머징은 10~20%정도만 해도 충분하다고 봅니다.
21/07/27 15:14
네 저도 제 장기 포트폴리오는 미 7 이머징 3으로 가져갈 생각이지만,
MDD 측면에서는 이머징 비율을 5로 늘리는게 맞다고 봐서요.
21/07/27 15:15
지금까지는 미국이 -30될때 이머징은 -50이었지만, 앞으로는 어떻게 될 지 모르는 일이니까요. 저도 빅테크 추종자로서 미국을 긍정적으로 보지만 주린이들에겐 안정성이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21/07/27 15:20
글쎄요, 이머징 마켓이 안정적이라는 말씀에는 동의할 수가 없습니다.
중국만해도 최근 10년간 거의 완벽한 횡보장이었습니다. 특히 중국은 신규 IPO만해서 시가총액은 커졌는데, 기존 주식은 거의 오르지 않았습니다. 더구나, 미국이 첨단산업에 대해서 규제를 너무 해대는 바람에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21/07/27 15:16
연말정산+과세이연 때문에 가장 먼저 계좌를 열어 투자하실
증권계좌는 연금저축계좌(연간 400만) -> IRP계좌(연간 300만) -> 연금저축추가불입(연간 1100만)으로 하시고, 미국장에 직투하는 방법을 제일 많이 쓰며, 이게 제일 합리적입니다.
21/07/27 15:27
저도 나무 쓰고있고 얼마전에 시작했는데
KINDEX 미국S&P 500 , Invesco QQQ Trus(QQQ), ProShares:UltP Q(TQQQ) 요렇게 가지고있습니다. KINDEX는 국내주식이고 뒤에 2개는 미국주식... 원화 환전도 가능하지만 저 두개는 원화로도 바로 구매 가능합니다(자동환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