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1/13 18:08
m2에 970pro 박아서 쓰고 있습니다.
최근 ssd 가격이 떡락하여 가성비 하난 최고죠 하지만 다시 사라고 하면 m2용으론 안 살 거 같네요. 이유는 엄청난 발열 때문인데요. 성능상 읽기 쓰기에 엄청난 반복이 가능하다곤 하나, m2 슬롯 특성상 발열량이 높은 글픽카드 옆에 딱 붙어 있고. 더불어 자체 발열량도 장난이 아닙니다. 속도 테스트하면 온도가 70도까지 올라가는데, 여기에 글카 온도까지 더해지면 전자부품 특성상 맛탱이 갈 확률이 아주 높겠지요. 일단 방열판 하나 사서 박아 넣으니까 50도를 유지는 하고 있지만... 다시 한번 생각해도 그냥 sata가 답입니다
18/11/13 18:12
os용으로 m2 500기가 웬디 ssd 사용중이고..(nvme 말구요 그냥 m2..)
저장용으로는 2테라 ssd 마이크론1100 사용중입니다. 여유 있으면 걍 다 ssd 에 하는게 좋은 듯..
18/11/13 18:27
사실 HDD도 영구불변 그런것도 아니고
자료가 중요한곳은 하드의 내구력을 믿는게 아니라 레이드구성이나 백업에 의지하죠. 망가진 하드의 데이타복원도 일반인들이 쉽게 생각할 돈을 요구하는것도 아니고...비용 꽤나 들죠. 일반인 레벨에서 신뢰도는 SSD나 HDD나 그게 그거라고 생각하고. 리그베다나 나무위키가 쓰는 서버도 SSD인데 별 문제 없더군요. 저도 SSD로 작업용 원본디스크 이미지파일 잔뜩 저장하는데 날아간거없습니다.
18/11/13 19:21
보통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는 최소 하드디스크와 동등하거나 나은 수준의 수명을 보장합니다.
문제는 전원이 꺼진 채로 오래(몇개월씩) 놔두는 건데, 이건 좀 위험합니다. 근데 OS랑 게임설치용이면 거의 매일 켜두시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