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9/30 00:17
순수 공부시간이 6-8이면 엄청나신겁니다.
우선6-8시간중에 제대로 집중하고 공부하시는 시간이 어느정도 되는지 체크하시는거부터 시작이라 생각합니다.
18/09/30 00:25
사실 그렇게 앉아있어도 집중할수있는 시간이 얼마되질않습니다.. 뭐 집중하는 시간을 측정해보진않았지만 대략적으로 4시간 내외정도 되는거같습니다. 그 집중하는 한시간=집중안하는 3시간 정도랑 비슷하구요. 그렇다면 어떻게 집중하는 시간을 늘릴수있을까요.
18/09/30 00:27
제가 생각하는 인간의 하루 순수집중시간은 4시간이고 10시간 하는 사람들도 나머지 시간의 효율은 4시간중 1시간 정도의 효율이라고 봐요
차라리 순수집중시간을 계산해보시고 그 효율을 어느시간대에 뽑아낼지를 고민하는게 ... 나머지 시간은 단순 노가다 공부(노트정리, 자료찾기) 이런걸로 쓰시는 것도 방법이고요
18/09/30 00:28
일단 의자를 사거나 장소를 옮기는 시도는 매우 바람직한 방향이고요.
하루 6시간이면 엄청 많이 공부하는 것이 맞습니다. 더 많이 할 수 있는 사람도 있지만, 그런 노력파 친구들이 6시간 했던 사람보다 성적이 좋지도 않더라구요.
18/09/30 00:54
집중하는 시간 이런 거 의식 안하는 걸 추천합니다. 집중한다는 걸 의식 하려는거 자체가 심적낭비고 내가 집중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식 한다면 1초라도 책을 더 봐야지 시간체크를 할 필요 없어요.
제가 자격 시험 준비할때는 그날 공부할 분량을 정해놓고 그걸 다 보면 더 할 건지 좀 쉴건지 결정했었고 머리가 멍해지는 상태가 오면 필기 한 걸 정리를 한다던가 단순 암기가 필요한 부분을 반복적으로 읽는 데 시간을 사용했습니다.
18/09/30 01:03
저도 비슷한 고민을 가지고 있는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건 규칙적인 생활과 보장된 휴식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이게 진짜 힘들어요. 조금 마음이 느슨해지면 늘어지고 바쁘면 휴식을 자꾸 까먹으면서 몰아 붙이게되고... 밸런스를 잃지 않는게 좋은것 같아요.
18/09/30 03:19
저도 집중력 유지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해서 티어를 잘 나누는게 중요한거 같습니다
가장 이해안되고 어려운 부분을 집중력이 좋을때하고 가장 자신있어서 반복으로 감각유지만 하는부분을 집중력이 떨어졌을때 하는 방법으로 루틴 만들었었네요
18/09/30 03:24
시간보단 실질적인 공부량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6~8시간 정도에 할수있는 분량을 기준잡고 그 분량 끝날때까지 하는게 본인의 집중도를 파악하기도 쉽고 공부 계획세우기도 쉽습니다. 그저 앉아있기만해도 목적 달성이 되는 시간보단 빨리 끝내면 빨리 끝낸대로 쉬면서 회복하면 되고 늦게 끝냈어도 결국 일정한 공부량 달성한셈이 됩니다. 개인적으론 고시급이 아닌한 6~8시간이면 시간은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18/09/30 03:31
저는 인공눈물..집중하면 눈깜빡이는 횟수가 줍니다. 그렇게 오래 공부하면 건조해져서 머리가 멍해지기도 해요.
샤워가 더 효과적이긴 한데 이건 귀찮고+잠오고 크크..
18/09/30 05:35
저는 그냥 오래 앉아 있는 게 최고였습니다.
집중 못하고 10시간 하느니 집중해서 5시간 하라고들 하는데, 10시간 하나 5시간 하나 집중 안 되는 건 똑같아서그냥 집중 안 하고 10시간 이상 공부하는 쪽이 낫더라구요. 처음에는 10시간 공부하기가 진짜 힘든데 자꾸 버릇들이면 습관돼서 13시간 이상도 할 만했습니다. 대신 아예 쉬는 날을 없앴습니다. 한번 쉬면 다신 책상에 못 앉을까봐ㅠㅠ
18/09/30 06:49
(수정됨) 뭘 공부하냐에 따라서 공부 가능한 시간이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중요한 것은 공부 시간보다는 공부할 컨텐츠 중에서 한 블록을 완성했느냐 아니냐인 것 같고, 매일매일 블록을 정해서 완성시킬 수 있다면 시간이 5시간이나, 10시간이나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한 블록을 완성시키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5시간이면 두 블록은 아무래도 힘들 거고, 10시간이라면 그걸 완성시키기 위해서 알아서 10시간 정도의 집중은 하게 될 겁니다.
18/09/30 09:51
공부 시간보다는 공부하는 양에 집중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임고 공부할때 하루하루 해야할 양을 매일 다이어리에 쓰고 체크 다 지워지면 집에 갔습니다. 집중이 잘 되서 일찍 끝나면 스타도 한판하고 맥주도 한잔 했고 늦게 끝나면 버스 막차타고 집에 가구요...
18/09/30 12:35
(수정됨) 전에 비슷한 고민을 한적이 있는데
답은 무조건 체력입니다. 하루 1시간만이라도 운동해서 체력키우면 앉자마자 닭처럼 조는것도 없어지고 잡념도 줄어들고 공부시간 금방 늘어납니다. 개인 의견인데 공부할때의 잡념은 뇌가 한쪽만 계속 쓰면 체력적으로 딸리니간 안쓰는 다른 부위를 활성화 시켜서 생겨나는 걸로 생각합니다. 경험으로는 인터발 트레이닝이나 중단거리류 러닝으로 최소 2주후에는 효과 바로 봤습니다.
18/09/30 17:51
시간을 정해놓고 문제를 풀어보세요. 집중력 유지에 좋습니다. 책을 읽는 공부밖에 없는 과목인 경우 그냥 읽지마시고 키워드를 별도의 종이에 옮겨 적어서 그것만봐도 내용이 떠오르는지 체크하면어 읽으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