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8/21 19:24:23
Name ELRIS
Subject [질문] 서울 올라온 대학생은 어디서 사나요? 혹은 어디에 사셨나요?
우선 저는 서울을 잘 모르고(서알못) 서울에서 학교 생활을 한 적도 없습니다. 그래서 궁금하네요.
서울에 있는 전체 대학생 중에 자취하는 학생이 얼마나 될진 모르겠지만 그래도 꽤 많을 텐데
이들이 다 어디서 어떻게 살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왜 이런 뜬금없는 질문을 하느냐면 서울은 대학도 많고 상경한 학생도 다른 도시보다 많을 테고 방세가 비싸자나요.
특히 몇몇 대학가는 완전 번화가라 월세가 더 비쌀 텐데 이런 번화가 주변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은 또 어디서 사는지 궁금하네요.
비싸도 어쩔 수 없이 그냥 학교 앞에 사는 건지...

서알못인 제가 알기론 2호선 아래 라인 쪽에 싼 방이 많은 걸로 아는데 여긴 서울대 말곤 대학이 없지 않나요?

질문 요약

1. 통학 제외하고 지방에서 올라온 서울 학생들 어디서 어떻게(자취 하숙 기타 등등) 사는가요? 혹은 어떻게 사셨나요?
보통 다 그냥 학교 근처에 사나요?  고시원 같은데서 생활하는 학생도 있는지요.

청춘 커뮤니티 피지알이라 흔하진 않겠지만 아재분들 옛날 이야기도 상관없어요 많이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근데 한 십년 전에는 서울 월세가 쌌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페로몬아돌
18/08/21 19:30
수정 아이콘
기숙사 고시원 자취 돌아가면서 살았어요.
돈 없어서 알바하고 과외하면서 돈 벌어야 했지요.
mudblood
18/08/21 19:31
수정 아이콘
기숙사 아니면 학교 근처 월셋방이죠 뭐... 자취도 있고 하숙도 있고, 아니면 지방 학생들 경우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장학숙이 있습니다. 수용인원이 많지는 않지만 그럭저럭 들어가 사는 사람도 꽤 봤어요.
StayAway
18/08/21 19:32
수정 아이콘
1. 기숙사, 하숙, 자취, 고시원 다 있습니다. 서울에 사립대학교 보낼 정도면 방 하나 구하는거 정도야 사실 거기서 거기죠.
정 돈이 궁하면 둘이서 방을 구하는 경우도 꽤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시원이 제일 싸긴한데 경우에 따라서 반지하나 옥탑방도 있구요.
2. 서울대 근처에 숭실대 중앙대도 꽤 큰 대학이라서 통학하는 사람이 좀 있긴한데 2호선 아래까지 내려오는 일은 드물긴 합니다.
근데 2호선에 붙어있는 집이면 비싸요.. 신축오피스텔 기준 최소 60선에서 시작했던걸로 기억나네요.
마제카이
18/08/21 19:34
수정 아이콘
전 학교근처 자취방에서 살다가 군휴학 후 조금 떨어진 동네에 다시 방얻어서 살았네요. 혼자 있는걸 좋아해서 무조건 자취방으로;;;
Riffrain
18/08/21 19:35
수정 아이콘
1년 하숙, 1 년 친척집, 2년 학교 기숙사, 반 년 한국장학재단 기숙사에서 살았네요.
18/08/21 19:43
수정 아이콘
2호선 대학은 서울대 말고도 연대/이대/서강대/홍대, 교대, 한양대, 건대가 있습니다. 이 중에 중국인이 많을 정도의 동네(=싼동네)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서울대와 건대 뿐입니다만, 2호선 라인에는 서울대/건대 인근 외에도 중국인 많은 싼동네가 더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구체적인 거주지야 형편에 따라 다 다른 것이고, 집값이 비싼건 아파트이지 저가형 다가구 원룸주택 등은 별로 안 비싸기 때문에(물론 시골보다야 비싸겠습니다만) 과외 수입 정도로는 도저히 자립이 불가능할만큼 비싼 동네는 없습니다. 그리고 꼭 학교 옆에 살 필요는 없죠. 주 70시간 일하는 직장인도 날마다 왕복 3시간씩 출퇴근 하는 사람도 있는데, 20학점짜리 대학생이야 사실 대전 같이 영 떨어진 곳에 살면서 통학하는 것도 주2회 정도면 가능하긴 합니다.
중곡동교자만두
18/08/21 19:44
수정 아이콘
기숙사와 학교 근처 고시원, 하숙, 원룸이 거의 대부분입니다.
다른 가족들이 서울에서 학교다니거나 직장이 있을시 그 중간에서 방을 구해서 같이 사는경우도 있습니다.
forangel
18/08/21 19:45
수정 아이콘
1.기숙사 - 통상적으로 대학 기숙사는 1학년때 들어가기 쉽습니다. 이후 고학년이 되면 기숙사 경쟁이 빡세서 들어가기 어렵죠.
지금은 민자형 기숙사가 생기면서 비싸다고 하던데 예전엔 4인1실인 경우가 많았고, 일단 쌉니다. 거의 밥값정도?
대신 밥은 드럽게 맛없었구요. 단체 생활에 가깝죠. 통금 시간도 있었고,점호?도 있고...
단체생활이라면 단체생활인데 저는 재미있었네요. 형,선배도 있고...

2. 하숙- 지금은 많이 사라졌지만 예전엔 하숙이 많았습니다. 2인1실이 보통이었고 한달에 얼마만 내면 아침,저녁을 줬죠.
점심은 보통 안주는 경우가 많았구요. 빨래까지 해주는곳도 간혹 있었습니다. 전기세,물세같은것도 안냈구요.
일단 별로 신경쓸게 없다는게 장점입니다. 2인1실이면 그렇게 비싼편도 아니었구요.
근데 지금은 하숙이 거의 사라진거 같더군요. 기숙사 못들어가면 그나마 하숙이 젤 나았습니다.


3.자취- 이건 이제 엥간히 집에 돈 없으면 빡셉니다.저는 작은방에서 살았는데 90년말,00년 초즈음에 전세 3천이었고 월세는 없었습니다.
그냥 돈 많이 들어가요. 학식아니면 다른거 먹을 엄두도 안나더라구요. 밥값이 미친듯이 부담스럽습니다.
전기세,가스비,물값등등은 고정이라 밥값밖에 아낄게 없더군요. 그러니 가장싼 학식만 주구장창...
하숙이던 자취던 학교랑 가까워야 합니다. 교통비도 무시못하니까요.
지방생은 대부분 학교랑 가까이 삽니다.

요즘 제 조카가 서울에서 자취하는데 친구랑 같이 하더군요.
보증금은 얼마인지 모르겠는데 월세만 80만원이라더군요.
이번에 조카가 한명더 서울가면서 매형이 불쌍해지더라는..
핸드폰,전기세,가스,인터넷,물세,관리비 등등 하면
그냥 답이 안보이죠.
알바 안할수가 없겠더군요.

4.고시원
저는 고시원에서 살아본적 없는데 친구중에 고시원에서 살던 놈들이 몇명있었는데
너무 힘들어 보이더군요.
싼것도 아니고,좁고,시끄럽고, 뭔가 유대관계?같은것이 있어서 친해지기도 힘들고...
18/08/21 19:50
수정 아이콘
서울이라고 해도 명동 같은 진짜 도심이 아니면 어느 곳이나 상대적으로 허름한 주거단지가 있고 1000/40~50이면 일반적인 방을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대학교 근처면 하숙 + 기숙사가 추가 되기때문에 더 저렴하게 살 수 있죠.
칼라미티
18/08/21 20:31
수정 아이콘
학교 근처 고시원에서 대2때부터 지금까지 쭉 살고있습니다. 전 아마 결혼 전까지는 여기서 살 것 같네요...공과금 안나오는게 꿀이에요.
대학가 신축 고시원이라 깨끗하고 벌레없는 것도 좋구요. 30만원대고 7호선 라인 가운데쯤 입니다.
18/08/21 21:28
수정 아이콘
7호선 라인이면 제가 살고 있는 동네 근처인거 같은데 30만원 짜리 신축 고시원이 있어요??
제가 2011년에 복학하고 고시원 잡을때도 깨끗한곳은 50이 넘어갔는데...
칼라미티
18/08/22 00:43
수정 아이콘
30은 아니고 30대입니다 크크; 정확힌 38이었어요. 중대 후문쪽입니다. 2009년 기준 신축이니 지금은 신축이란 말을 붙이기엔 좀 뭐하긴 하군요.
18/08/22 00:56
수정 아이콘
아 크크 저희 동네가 아니었군요
저는 건대쪽에 있는데 7년전에도 좀 깔끔하고 라면에 계란 정도 주는 고시원은 50이 넘어갔어요 40 밑으로는 외창 없고 오래된 곳만 있었고
아름답고큽니다
18/08/21 20:44
수정 아이콘
윗분들 말씀처럼 저학년 때는 기숙사 자리를 잘 줍니다. 그래서 보통 기숙사에 사는 게 보통이고, 학년이 올라가면 제 주변에는 자취/고시원으로 나뉘더군요. 근데 자취는 좋고 편하긴 합니다만, 방세 + 기타세금 + 생활비하면 수도승 수행하는 것 아닌 이상에야 한달에 100은 나가요.
미카엘
18/08/21 20:57
수정 아이콘
기숙사 주로 살았습니다. 저희 학교는 순수하게 학점으로만 갈라서.. 거리 가중치 두는 학교는 고학년 때 기숙사 살기 쉽지 않습니다.
18/08/21 21:27
수정 아이콘
고시원에서 1년 정도 산거 외에 쭉 원룸에서 자취했네요
월세는 비슷하지만 공과금이나 보증금 생각하면 확실히 고시원이 싸긴싼데
어느순간 도저히 못살겠더라구요 좁고 답답하고 어둡고
새강이
18/08/21 21:45
수정 아이콘
1학년 : 대학 입학 성적이 좋다 -> 기숙사, 장학숙(지방 출신 학생들을 위한 도립 기숙사) // 아니다 -> 대학 근처 자취, 하숙, 고시원 or 친척집
군 전역 후 or 고학년 : 단체생활에 질린 사람들이 많아지고 학교에 있는 시간이 길어져 거의 학교 근처 자취 쪽으로 가게 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18/08/21 22:22
수정 아이콘
대학가 주변이면 싼곳부터 비싼곳까지 가격대별로 다 있어요...
자기 예산에 맞게 골라가면 됩니다...
학교 기숙사도 있구요...
김지원
18/08/21 23:46
수정 아이콘
보통 기숙사를 1순위로 지원하고 떨어지면 근처에 적당한곳에 월세로 자취방 살거나 형편 어려우면 고시원 들어가거나 하지요. 그리고 또 기숙사 지원기간이 되면 다시 또 기숙사 원서 집어 넣구요. 이게 가장 일반적인 것 같습니다. 가격적인 면에서는 기숙사가 젤 싸요. 밥 먹기도 편하고 가성비 면으로 시설도 젤 좋습니다.
18/08/22 09:08
수정 아이콘
회기역 근처 대학다녔었는데 월세 싼곳 구하려면 가능했습니다
간바레
18/08/22 10:05
수정 아이콘
신촌 원룸 : 원룸에 3명이 살았음... (대충 보증금 200에 월50수준)
후암동 2룸 : 위와 동일한 3명 거주, 지하철-집 보다 남산타워-집이 더 가까운... (전세 8,000)
서울대 앞 원룸 : 방이 5각형, 고도차이 있음, 옆집사람들 다 중국인 (전세 2,500)

근데 10년 전 이야기라 이것보다 훨씬 올랐을 것 같네요
18/08/22 14:18
수정 아이콘
기숙사 살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3831 [질문] 실패에 대하여 질문합니다. [5] 딱총새우1953 18/08/22 1953
123830 [질문] 태풍... 심할까요? 창문형 에어컨 해체 고민입니다. [9] This-Plus8032 18/08/21 8032
123829 [질문] pc 부팅이 안됩니다... [9] 누명2003 18/08/21 2003
123828 [질문] 중앙대,경희대 학생도 공무원 준비 많이 하나요? [21] 메티스9657 18/08/21 9657
123827 [질문] 유튜브 프리미엄에 가요도 충분히 있나요? [7] 뒹구르르1885 18/08/21 1885
123825 [질문] 서울에 맛있는 이북음식점 추천해주세요. [9] KOZE1904 18/08/21 1904
123824 [질문] 서울대, 아산, 삼성, 세브란스 피부과 중 유명한 곳은 어디인가요? [1] Redrum1754 18/08/21 1754
123823 [질문] 면접 복장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15] 軽巡神通3873 18/08/21 3873
123822 [질문] 피씨가 게임도중 꺼진다는 글에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7] 천사1896 18/08/21 1896
123821 [질문] 허리디스크로 진단서 발급 질문드립니다 [1] 해피바스11090 18/08/21 11090
123820 [질문] 윈도우 xp 사용하던 하드디스크의 내문서 읽기가 안 됩니다.(윈도우 10) [2] R.Oswalt2122 18/08/21 2122
123819 [질문] , [5] 삭제됨2283 18/08/21 2283
123818 [질문] 서울 올라온 대학생은 어디서 사나요? 혹은 어디에 사셨나요? [22] ELRIS4103 18/08/21 4103
123817 [질문] 노인들이 운동하면 코인 같은 거 나눠주는 일본시 이름이 어떻게 되나요? [2] 송하나2633 18/08/21 2633
123816 [질문] 방탈출류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귀연태연3722 18/08/21 3722
123815 [질문] 창렬, 혜자 질문~~ [12] 표절작곡가2412 18/08/21 2412
123814 [질문] 연봉을 이야기할때 상여금을 포함하나요?? [6] 모어모어12253 18/08/21 12253
123813 [질문] 만화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42] 제드5477 18/08/21 5477
123812 [질문] 간헐적단식에 제로콜라 [6] ThisisZero11302 18/08/21 11302
123811 [질문] 토탈워 롬투 질문입니다 [3] 1차전탈락 ;;1830 18/08/21 1830
123810 [질문] 새폰에 데이터옮기기 질문드립니다 [1] 포프의대모험2611 18/08/21 2611
123809 [질문] 몸살 기운이랑 편도가 이상하리만치 지속되고 있습니다. [3] 구경남2483 18/08/21 2483
123808 [질문] 교토 첫 여행일정 질문드려봅니다 [6] Fysta1924 18/08/21 19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