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8/08 16:26
생산 라인을 관리, 유지보수 하는 업무를 하실 것 같네요.
회사와 어떤 제품을 생산하느냐에 따라 많이 다를 겁니다. 반도체? 자동차? 일반 가전제품? 공고를 안보고 뭐라고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
18/08/08 16:30
1) LD(Locking Differential), ELocker(Electronic Locking Differential), LSD(Limited Slip Differential) 제품의 Proto 조립 업무
2) LD에 대한 각종 벤치 내구시험 및 차량 내구시험 수행 3) Torque 제품용 시험 장치의 유지.보수 4) 회사 전산 시스템 (MFG-Pro)에 신규 제품의 등록 업무 5) 기타 각종 사내 업무 진행을 위한 서류업무 진행 요구됨 6) 기타 각종 사내 개선 및 안전관련 활동 실시 등 자동차쪽 차동기어만드는 곳인데 어떨까요??
18/08/08 16:42
자동차 쪽이었네요.
시작라인(프로토 라인)에서 직접 엔지니어들을 도와서 조립하고 실제 테스트해주고, 결과 공유해주는 그런 업무가 주 일 것 같습니다. 거기에 따른 시험장비들을 유지보수하고 시제작품들을 전산등록도 해주고.. 기타 등등.. 뭐, 연봉만 많이 준다면 나쁘지 않겠지만, 거의 전문대졸이나 고졸 분들이 많이 하시는 업무 입니다.
18/08/08 16:31
음 이전회사에서는 고졸 전문대졸 졸업자는 스페셜리스트 혹은 테크니션으로 시작하였고, 대졸자는 엔지니어 직군으로 시작하였는데.. 그 차이인건지..
일단 연봉까지 확인은 하시고 고민 좀 더 해보시죠.
18/08/08 20:54
테크니션은 종사하는 산업에 따라, 정말 순수하게 본인 실력에 따라 가는 경향이 강하다고 봅니다. 더 큰 기회를 잡으려면 외국어도 해야 좋겠지요? 장비들이 대부분 외국산이니까요.
가장 큰 문제는 이 나라가 사농공상에 아직도 젖어서 엔지니어도 마찬가지지만 테크니션은 더더욱 천시하는 문화가 있습니다. 회사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에서도 그런 경우가 많아요. 그러다보니 테크니션 업무에 집중하지 못하고 공장내 잡다한 업무를 많이 시킬때도 많습니다. 무늬만 테크니션이지 장비보고, 공부하는 시간보다 공무를 보는 경우가 더 많기도 하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