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28 16:07:00
Name 앙겔루스 노부스
Subject [질문] [주식]이런 것도 단타매매라고 할 수 있나요?
일단 우량주를 하나 고릅니다. 크게 폭락할 거 같지도 않고 크게 폭등할 거 같지도 않고, 시가총액 크고 거래량도 많은

그런 주식들은 대개 박스권에서 횡보하니까 박스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면 하단 83000, 상단  87000 이런 식으로
그런 다음 83000이 되기를 기다렸다가 매수하고 87000되면 매도하기를 반복합니다. 좀 쫄린다 싶으면 86000에 팔아도 되고.

물론 주가가 크게 튕겨나가는 일이 벌어지면 엿되는 수가 있긴 하지만, 우량주는 그런 일이 잘 일어나지 않으니 우량주 아닐까 싶은데...
이런 거래기법이 존재하나요? 쓰는 분들도 있으실런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츠라빈스카야
18/07/28 16:44
수정 아이콘
그게 그냥 전형적인 박스권 매매법 아닌가요? 주기가 짧으면 단타 치고 나가는거일테고..
앙겔루스 노부스
18/07/28 17:07
수정 아이콘
아 그런가요. 제가 기법은 잘 몰라서. 많이들 쓰는 방법인가 보네요.
18/07/28 17:07
수정 아이콘
당연히 있죠.주식에 돈 거는 사람이 얼만데요.
생각해본 모든 기법이 다 사람들이 해본겁니다.
52주 신저가 종목들만 골라사는 기법 등 별의별거 다있어요
앙겔루스 노부스
18/07/28 17:09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사실은 제가 새로 생각했다, 뭐 그런건 아니고, 최근에 저걸 몇번 썼거든요. 하이닉스로. 수치도 하이닉스로 매매할 때 제가 기준 삼았던거기도 하구요. 리스크는 높지 않고 프라핏이 은근 쏠쏠한거 같아서, 많이 쓰는 방법인가, 궁금해서 물어봐봤습니다. 물론, 반도체 경기가 아예 꺾이는 일 같은게 벌어지면 큰일나기야 하겠지만, 당분간은 그럴거 같지는 않은지라.
18/07/28 17:47
수정 아이콘
박스권 이탈 리스크가 꽤 커요..
8만 3천원 주고산게 어느날 7만 9천원 되어 있으면?
8만 7천원에 판 게 12만원 가면?
앙겔루스 노부스
18/07/28 18:01
수정 아이콘
제가 나름대로는 자제력이 있다고 자처하는지라, 상방이탈은 신경 안씁니다. 팔아버린 이상 그건 내 돈 아니다, 이상으론 보지 않으니

그렇지만 역시 하방이탈은 안될일이고, 그러다보니 급락위험이 없는가를 신경쓰는게 제일 중요할 거 같긴 하더군요. 지금은 일단 하이닉스로 하고 있긴 한데, 하반기부터는 반도체시장 흐름에 더 유의해야지 싶기두 허구... 포트폴리오가 더 다양한 삼성전자(물론 여긴 오너리스크가... 이재용이 빵에 가는게 정해지면 그 타이밍에 들어가는 것도~)라던가, 아예 박스권에서 수 년째 못 벗어나는 은행주도 슬쩍슬쩍 들여다보곤 있긴 하네요.
앙겔루스 노부스
18/07/28 18:04
수정 아이콘
원래 하이닉스를 하게 된 이유가, 님 말씀마따나 12만원! 이거 보고 작년 중순에 들어갔는데... 9만원 가면 8만원까지 미끄러지고 9만 8만 이걸 반복하더라구요. 그럴 바에는 9만원에 팔고 8만원에 사자, 라고 하다보니 시작하게 된거라. 전부터 이거 한번 해봐야지, 해봐야지 했는데, 해보니까 일단 되더라구요. 물론 쪼렙이 몇번 먹었다고 방심하는게 제일 위험하다고는 생각하기에 조심하려하긴 합니다만.
파라돌
18/07/28 19:10
수정 아이콘
저도 시총 20위권내에 있는것중 하나를 이렇게 이익봤는데 저는 처음에 비중을 크게, 횟수를 더할수록 점점 감소해서 투자하는 방법을 했네요.
이번달처럼 주식전반적으로 훅 떨어질때가 있거든요. 그래서 이번에 박스권 하단 밑에서 매수했다가 -15%까지 찍었지만
물타기를 할지 더 기다릴지 고민하는중이네요.
앙겔루스 노부스
18/07/28 21:23
수정 아이콘
음... 경험담들을 들으면 들을수록 제가 운이 좋았다는 생각밖에 안 드는군요... 역시 투자는 신중한 게 최고인 듯...
18/07/28 23:38
수정 아이콘
남이 뭐라든 돈 벌면 장땡입니다
본인이 하기에 잘먹히면 그게 돈버는 길이죠! 성투하세요

첨언하자면 박스권이 생성되는 이유자체가 하방에선 매수세가 상방에선 매도세가 우세해서 그런거니 좋은 전략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대신 강하게 상방 뚫으면 다 팔지 마시고 욕심 좀 내보시는게 흐흐
앙겔루스 노부스
18/07/29 00:02
수정 아이콘
아유 제가 소심탱이라서요... 후후. 나쁜 투자법은 아닌거 같으니 욕심많이 부리지 말고 조금씩 먹을라구요
님도 성투하시길~
유자농원
18/07/29 00:27
수정 아이콘
주식은 아니지만 제가 리플로 그짓거리 했거든요 흐흐
250에사서 350에팔기를 반복했는데 어느날 350에 팔고 자고일어났더니 900원이 됐더군요. 여기서 들어가면 흑우지 했는데 5000원 되고...
앙겔루스 노부스
18/07/29 01:23
수정 아이콘
사실 최선은 폭등하는거 잡는거죠. 근데, 폭등한대봐야 저는 틀림없이 30%만 올라도 부들부들하면서 팔아버릴게 분명하니, 폭등자산 같은건 나하곤 인연 읎는개벼, 하는걸까나요
헤헤헤헤
18/07/29 01:18
수정 아이콘
큰 욕심없이 한다고 했을때 조금이라도 꾸준한 수익률이 나온다면 정말정말 유명한 방법이 되었겠죠?

하지만 수많은 방법중 하나에 불과하다는건 단점도 많다는 뜻이겠죠.
앙겔루스 노부스
18/07/29 01:24
수정 아이콘
사실 그래서, 그런 부분을 좀 알고 싶긴 헌디... 그런거까지 제대로 알라믄 역시 책도 보고 공부도 하고 그래야겠죠.
헤헤헤헤
18/07/29 01:28
수정 아이콘
지금처럼 하다보면 어느순간 돈을 잃을때가 반드시 올겁니다. 그떄 공부하시면 되실듯 합니다
Alcohol bear
18/07/29 10:04
수정 아이콘
안되려면 라오스 댐이 무너지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876 [질문] 운전 시 궁금한 게 있습니다. [6] 삭제됨2277 18/07/28 2277
122875 [질문] 지금 앱스토어 이상거 맞나요? [3] 비익조1894 18/07/28 1894
122874 [질문] 포토샵 텍스트 수정 [10] 주식왕6684 18/07/28 6684
122873 [질문] 25큐브에 2마리정도로 키울만한 물고기 있을까요? [2] 이명헌1945 18/07/28 1945
122872 [질문] [주식]이런 것도 단타매매라고 할 수 있나요? [17] 앙겔루스 노부스2932 18/07/28 2932
122871 [질문] 컴퓨터 성능? 질문입니다 [6] 틈새시장2185 18/07/28 2185
122870 [질문] 와우를 처음부터 혼자서 스토리를 즐길수 있나요? [12] CE5005912 18/07/28 5912
122869 [질문] 고대/안암근처 맥주집이나 음식점? [3] Tier11483 18/07/28 1483
122868 [삭제예정] 금일 잠실야구장 3루 티켓 2장 팝니다. [4] 클레멘티아2417 18/07/28 2417
122867 [질문] 혹시 슈트리 쓰시나요? [2] 이혜리1507 18/07/28 1507
122866 [질문] [프듀48] IBI,JBJ 같은 그룹 나올까요? [7] 히야시2840 18/07/28 2840
122865 [질문] 스2는 대화차단을 어떻게 하나요?? [4] Broccoli1386 18/07/28 1386
122864 [질문] [인천공항] 오사카행 새벽 비행기 질문입니다. [10] 임마리2502 18/07/28 2502
122863 [질문] 한국에 대만 음식점 잘하는곳 있나요? [5] 핸드레이크2287 18/07/28 2287
122862 [질문] 롤드컵 세부일정은 언제 나올까요? [1] 바둑아위험해1452 18/07/28 1452
122861 [질문] 카스퍼스키 백신 환경에서 녹스 앱플레이어를 사용하면 가끔 이런 메시지가 뜹니다. The xian3223 18/07/28 3223
122860 [질문] 오늘 아는 여동생 만날건데 뭐하고 놀까요 [24] 김아무개5449 18/07/28 5449
122859 [질문] [던파]혹시 던파잘알이신분 계신가요? [3] 레몬커피1775 18/07/28 1775
122858 [질문] 김해/창원에 큰 영어학원 없나요? [4] 삭제됨1891 18/07/28 1891
122857 [질문] 남자친구 없는 척 속이는 건 도대체 뭘까요? [49] 삭제됨10997 18/07/28 10997
122856 [질문] 와우 애드온 질문있습니다 [3] 은경이에게1552 18/07/28 1552
122854 [질문] 어릴 때 봤던 근육맨 질문.. [1] 산수탕1694 18/07/27 1694
122853 [질문] 배그 대회 질문있습니다. [11] 각키3136 18/07/27 313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