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12 13:20:19
Name 바카스
Subject [질문] 현실적인 추신수 선수의 트레이드 가치는 어느정도인가요?
요즘 기사들을 보면 추신수 선수의 트레이드는 기정사실화된것 같습니다.

하여 우승권팀에 가서 황혼기 우승반지 챙겨보자가 주 취지 같은데요.

요즘 연속 출루 기록, 올스타 선정 등등 기세도 좋고 클래식 스탯도 345를 향해 거의 완성 직전이긴한데요.

mlb 다 챙겨보는 것도 아니고 요약 기사만 보는 저로썬 다른 팀들의 상황은 잘 모르겠습니다. 하여 현실적인 트레이드 가치가 어느 정도 될려나요?

제 생각에 우선 눈야구 위주에 펀치력이 있지만 나이가 많고 무엇보다 수비에선 큰 기대를 할 수 없는 반쪽짜리 선수가 아닐까하는데요. mlb에 정통하신 분들의 생각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12 14:21
수정 아이콘
거의 없지 않나요...수비력도 그렇고... 지타에서도 준장타능력은 있긴하지만 사실상 컨텍위주의 교타자고...
특히 나이가...벨트레 콜론같은 특수케이스나 그렇지... 언제 시들어도 이상하지 않을나이고.. 팀에서 벤치리더격이나 그런거 하기에도 동양인인게 좀
그렇죠
특히 원하는팀이 있을까에서 의문이죠.. 솔직히 될려면 진작 됐어야할 트레이드라..근2년간은 연봉도 쎄고말이죠
타마노코시
18/07/12 14:27
수정 아이콘
윈나우 팀 중에 코너외야수가 구멍이면서 연봉보조를 텍사스가 거하게 해서 반년 용도로 쓸 팀 정도의 조건이어야 가치가 있을 듯 한데 뚜렷하게 보이는 팀이 없지요.
18/07/12 14:35
수정 아이콘
크보로 볼 때 올 시즌 성적과 연봉 정도, 포지션을 고려하면 최형우랑 비슷해보이긴 하는데, 좋은 타자인 건 분명하지만 그만큼 출혈을 감수해야 할 타자이죠.
조건이 성립되려면,
1 소속팀이 완전한 리빌딩 기조의 팀이고
2 극단적인 윈나우 팀이 존재해야하고
3 두 팀 간에 트레이드 될 선수의 포지션, 연봉 보조 등 조각이 맞아야 하는데

쉽지 않아보입니다. 애당초 윈나우 팀의 가장 큰 문제는 대개 투수력이고, 타선이 문제인 팀이라면 선수 한명 가는걸로 크게 안바뀌니까요.
18/07/12 14:39
수정 아이콘
트레이드 가치라는 건 선수 계약 상황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거라서요.
추신수 잔여 계약이 2년 반 $52M 남았는데
간단히 추신수가 지금 FA로 풀려서 2년 반 계약을 고집한다면 얼마만큼 받을까를 생각해보면 그 차이가 트레이드 가치가 되는 거죠.
올시즌 회춘해서 맹활약하고 있긴 하지만 나이도 나이고 애초에 부상이 적은 편이 아니라서
2년 반이면 대략 연 평균 $12M, 총액 30M 이상 받긴 힘들겁니다.
그러면 결국 추신수의 트레이드 가치는 -$20M 정도 되는 거죠.
곰그릇
18/07/12 14:39
수정 아이콘
코너수비 엉망이면서 아직 2.5년이 남은 선수라서 딱히 트레이드 가치가 높지는 않습니다
다만 요즘 타격이 아주 많이 올라온 건 사실인데
그래도 자리가 없습니다 솔직히 텍사스가 2~3천만까지 보조해줘도 데려갈 팀이 있을지 모르겠어요
StayAway
18/07/12 14:47
수정 아이콘
일반적인 시장가치는 높지 않은데 팀 상황에 따른 가치는 충분하다고 봐야죠.
포스트시즌을 노리는 팀에서 우익수/지명타자, 그 중에서도 지명타자가 애매한 팀이라면 충분히 데려갈만합니다.
현재 리그 지명타자 순위만 따져도 JD같은 선수를 빼면 어느 팀에 들어가도 충분한 성적이죠.
텍사스에서 년간 10M 이상 보조한다면 못 갈건 없다고 봅니다.
18/07/12 14:50
수정 아이콘
일단 수비때문에 지타가 있는 al로 행선지가 한정됩니다 거기다가 원나우나 대권도전욕심있는 팀에 지타자리로 한정되서 자리가 더 줄죠..
이 구멍이 있는팀들이 결심을 하느냐 안하느냐의 문제라서
보라도리
18/07/12 14:59
수정 아이콘
텍사스가 받아 간다(계약 을 떠 앉는다)면 텍사스 가 공짜로 갖다 받치는 위상이죠..
18/07/12 15:44
수정 아이콘
텍사스가 연봉보조 팍팍 얹어주면 가능할거 같네요
오우거
18/07/12 15:55
수정 아이콘
계약이 올해로 끝난다면
꽤 인기가 있었을테지만

아마도 올해가 최후의 불꽃일 가능성이 높은 시즌에
2년이나 남았고 수비는 거의 버리는 수준.

결국 트레이드 안될것 같아요.
18/07/12 18:39
수정 아이콘
므르브를 잘 안봐서 질문드립니다
우익수라는게 공도 잘 안가고 버리는 수준으로 못할만큼 티가 날 정도의 포지션이 아니지 않나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리는 수준일 정도로 못하는건가요? 어깨도 강견이고 해서 평타는 치는 줄 알았는데
얼마나 못하는지 설명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Skatterbrain
18/07/12 19: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수비 스탯을 볼때 대표적인게 DRS와 UZR인데 둘다 그 선수가 수비로 얼만큼의 점수를 막아줬나를 보여줍니다(예를 들어 +10이면 수비로 10점 정도를 기여). 추신수의 종합적인 성적이 가장 좋았던 커리어하이 2013시즌을 보더라도 500이닝 이상 수비를 한 외야수 113명 중 '-18' 수치로 최하위였습니다. 그나마 이때는 중견수로 풀시즌 출장을 했다는 것만으로도 기여도가 올라갔다면 올해는 외야수 출장 자체도 별로 하지 않고 지명타자로 많이 나오니 수비 기여도는 바닥 수준일 수밖에 없지요.
18/07/12 20:30
수정 아이콘
아니 113명중 꼴지라니...
StayAway
18/07/12 20:14
수정 아이콘
우익수 추는 그나마 봐줄만한 수준입니다. 클리블랜드 시절만 따지면 UZR이 + 수준입니다. 평균 수준은 어찌어찌 됬다는 거죠.
중견수나 좌익수로서는 필드에 서 있는것 자체가 마이너스 입니다. 코너 외야수 특성상 빠따가 수비보다 우선시 되기는 한데
보통 코너 외야수가 좌,우익을 동시에 보는 데 큰 문제가 없다는 걸 생각하면, 우익수만 볼 수 있다는 건 마이너스긴 합니다.
18/07/12 20:2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우신수는 가치가 좀 올라가는군요?
그나저나 발도 적당히 빠른 것 같고 어깨도 좋은데 왜 그럴까요. 타구판단이 문젠가요?
StayAway
18/07/12 20:31
수정 아이콘
추신수는 시애틀 도착하기 전까지 자기가 투수로 영입된 줄 알고 갔어요.
실질적으로 외야 수비 능력은 마이너 시절 4~5년 사이에 만들어 진거라고 봐도 됩니다.
투수 출신 특성상 송구 자체는 강견에다 정확도도 좋고 발도 느리지 않은 편인데 타구 판단이 빨리 안되는게 큽니다.
추신수가 좌익수를 우익수 만큼 소화하지 못하는 것도 같은 이유인데, 보통 우익수와 좌익수는
타구의 궤적과 휘는 방향이 반대인 경우가 많은데 그걸 적응을 잘 못하는거 같아요.
결론은 경험부족에 수비 센스 자체도 좀 부족한 편인데, 노화가 되면서 그 점이 더 두드러진다 정도 되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297 [질문] 경력 뻥튀기 관련 [10] NCS5278 18/07/13 5278
122296 [질문] let's create pottery 게임 질문이요. moqq1143 18/07/13 1143
122295 [질문] 몬헌 월드 스팀판 나오면 살만 할까요? [24] 빠독이2983 18/07/13 2983
122294 [질문] 러닝 초보 질문드립니다 [6] 꿀잼 티모1894 18/07/13 1894
122293 [질문] 가만히 있으면 아랫배/방광이 간질거리고 불편한 증상 [5] 삭제됨1833 18/07/13 1833
122291 [질문] 헬스 프로그램과 휴식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6] SlaSh.2318 18/07/13 2318
122290 [질문] 하스스톤 오리지널 40팩이 들어왔습니다 [7] 링크의전설2487 18/07/12 2487
122289 [질문] 큰 맘 먹고 뱅앤올룹슨 블투 이어폰 질렀는데..소리가 왤케 튀죠? [12] JJakjin3176 18/07/12 3176
122288 [질문] ups관련 전문가분계신가요?? 소음문의입니다 무한방법2375 18/07/12 2375
122287 [질문] (급함) 카카오톡 해킹? 관련 문의입니다. [7] purplejay3385 18/07/12 3385
122286 [질문] 파타야/방콕 여행 일정 조언부탁드립니다! [11] 챔쁜이2336 18/07/12 2336
122285 [질문] 샤오미 물걸레 청소기 써보신분 계신가요? [12] 투반3986 18/07/12 3986
122284 [질문] 토익공부시작하는데 해커스만 들어도 될까요? [2] 세오유즈키2345 18/07/12 2345
122283 [질문] 주말에 부산 더베이101 어떤가요? [3] Liverpool FC2549 18/07/12 2549
122281 [질문] 소위 이세계물 중에서 장르의 대표작이라고 할만한 게 있나요? [29] bemanner4891 18/07/12 4891
122280 [질문] 판매자의 입장에서 중고 택배거래시 주의사항? [2] 푸끆이2820 18/07/12 2820
122279 [질문] 효도르폰(S7? A5?) 관련 질문입니다 [9] 글곰2410 18/07/12 2410
122277 [질문] 핸드폰 요금 과다청구 민원 넣어보신분 있으실까요? [4] 느린발걸음2901 18/07/12 2901
122276 [질문] 휴대폰/노트북용 보조배터리를 살까 싶습니다. [3] 서쪽으로가자2211 18/07/12 2211
122275 [질문] LCHF 에 소고기 괜찮을까요? [19] 호리3071 18/07/12 3071
122274 [질문] 인텔 차기 CPU는 언제 나올까요? [6] 회색사과2696 18/07/12 2696
122273 [질문] 면세점 시계 고민 [13] 우주견공2758 18/07/12 2758
122272 [질문] SI쪽 회사에서 개발일 해볼생각 없냐고 연락이 왔는데 [24] 히페리온5206 18/07/12 520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