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6/30 22:55:23
Name 기니피그
Subject [질문] 소득주도성장과 최저시급인상 어떻게보시나요.
제 주위분들은 가면갈수록 비관적인 의견만 표하고.
체감하는것도 진짜 이론이랑 실체랑 다른거 같기도하네요.
'기업하기 좋은나라가 되야된다.' 그런 고리타분한 소리들을 재껴두더라도
정부에서 준비한 고용장려제도도 정작 열심히 사업하시는분들은 모르고.
법적인 제도들도 역이용하는사람들이 더 많아보이고요.

최저시급 이상 이윤을 뽑지못하면 장사할 자격이 없다 라고 간단히 생각한것도.
그럼 지금 영세상인들은 머하고 먹고 살아되는가 고민해보니까 답안나오고
무식한 머리로 여러가지 생각들을 해보는데 아이러니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엔조 골로미
18/06/30 22:59
수정 아이콘
아직 충격만있지 효과가 나올시간은 아니니까요 단기적인 대책을 한다고 했는데도 나타나는걸 보면 좀 부족하지 않나하는 생각이 없진 않습니다만 장기적인 방향성은 옳다고 봅니다. 최저임금오른지 이제 반년이네요
절름발이이리
18/06/30 23:02
수정 아이콘
소득주도성장이나 최저임금의 효과에는 부정적입니다만, 현재의 체감은 최저임금 인상이나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 드라이브 때문이라기보단 경기하강의 이슈에 가깝지 않나 싶습니다. 1년내의 액션만으로 드라마틱한 변화가 일어나는건 거의 불가능하고, 더 크게보면 사실 정부의 어떤 정책과 기조가 전체 경제를 좌우하는 규모를 넘어선지가 꽤 됐습니다.
그와는 별개로 커뮤니티 레벨(저 포함)에서 이런 거 얘기해도 맨큐의 경제학 갓 띈 자칭 시장주의자와 사람값이 이렇게 싸서야 되겠냐는 자칭 인본주의자끼리 뻔한 소리만 하는 관계로 지적 성취에 있어 크게 유의미하진 않습니다.
18/06/30 23:16
수정 아이콘
지금까진 폭망정책 ... 변화없이 이대로 가면 다같이 죽을거같은느낌입니다
류지나
18/06/30 23:22
수정 아이콘
저는 애초에 경제학적으로 소득주도성장이 맞는 말인지 의심스럽습니다. 저소득층 임금이 올라가는 것은 사회 전체적으로는 오히려 생산량을 깎아먹는 결과가 나오는거 아닌가요?
18/06/30 23:49
수정 아이콘
애초에 최저임금제가 생긴 이유가 경제적인 이유가 아니자나요. 최하층 근로자들 그래도 좀 인간답게 살도록 해주자는 의도입니다. 진짜 굶어 죽지 않으려고 일할수 밖에 없는 사람들 너무 착취하지 말자는 의도자나요. 그거 올리는데 여러 반대 의견이 많으니까 거기 맞서서 방어 차원에서 소득주도 성장이라는 말도 꺼내고 하는거지 시작부터 그게 본질은 아니었다고 생각합니다.
류지나
18/06/30 23:51
수정 아이콘
맞는 말씀인데, 그렇다면 지금 경제가 불황이라고 해서 정부를 탓해서는 안된다는 결론이 나오겠죠. 소득주도성장은 불황을 벗어나기 위한 정책은 분명히 아니거든요.
절름발이이리
18/06/30 23:54
수정 아이콘
소득주도성장은 현 정부의 주요 경제 방향성이 맞습니다. 최저임금제가 아니어도 경기부양을 위해 기존대비 막대한 지출을 하고 있습니다. 사상적으로는 청와대에 있는 장하성이 그 대표 주자고요. 최저임금제때문에 나온 개념도 아니고, 최저임금 올리겠다고 차용했다기엔 포괄적인 노력을 하고 있죠. 애초에 최저임금은 지난 십수년간 꾸준히 물가승률을 크게 능가하며 계속 증가해오고 있었기도 합니다.
18/07/01 00:09
수정 아이콘
현정부의 주요경제 방향성은 모르겠구요. 문대통령의 대선 때부터의 방향성은 지금 최저임금이 너무 낮고 이건 노동에 대한 정당한 대우가 아니다. 최우선적으로 올려야 한다 였죠. 여기서 시작한거죠.
절름발이이리
18/07/01 00:40
수정 아이콘
최저임금을 높인다는거야 모든 후보들의 공약이기도 했고, 앞서도 말했지만 최저임금은 십수년간 지속적으로 물가상승률 이상으로 상승해 왔기때문에 속도의 문제일 뿐 올리린 것 자체는 새삼스러울 것도 없었습니다.
결국 최저임금 인상을 두둔하기 위해 소득주도 성장이 등장한게 아니라, 그냥 그런 주장이 어느 시점부터 힘을 얻었고 현 정부의 주요 정책이 되어 진행되고 있는 것이죠.
18/07/01 00:01
수정 아이콘
문제는 그 소득이 어디서 나오냐는거죠 기업이나 그런데서 나오는게 아니라 중산층 자영업자에서 갉아먹는게 더 크다는게 문제죠
그리고 근로시간줄어들고 영세업체나 아르바이트도 다 시간쪼개기로 쓰다보니 소득이 그렇게 크게 늘지도 않아서 그냥 서로 망하고있죠
아스날
18/07/01 00:04
수정 아이콘
의도와는 다르게 빈부격차가 더 심해지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솔로13년차
18/07/01 00:27
수정 아이콘
소득주도성장을 안하면 뭘로 성장하나요. 일단 지금까지는 부채로 성장했습니다만, 부채를 더 늘려서 성장할 수 있을까요?
최저임금인상은 저는 빈부격차를 줄이는 정책이라기보다 노동의 가치를 올리는 정책이라고 봅니다. 빈부격차는 다른 걸로 줄여야죠. 제발 좀 재산세 좀 올렸으면 좋겠어요. 부가가치세는 낮추고요.
류지나
18/07/01 00:33
수정 아이콘
주류 경제학에서는 소득주도 정책으로는 성장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솔로13년차
18/07/01 00:58
수정 아이콘
지금이야 잔뜩 성장해 있으니까요. 가계로 말하자면 빚이 잔뜩이고 그 이자가 어마어마한데 소득으로 그걸 갚으면서 재산을 불릴 수가 없죠.
절대수렴
18/07/01 02:15
수정 아이콘
한국이 GDP대비 가계소득이 유독 낮고 기업소득은 너무 높으니, 가계소득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모두 동의를 할 겁니다.
http://www.yonhapnews.co.kr/economy/2013/01/14/0325000000AKR20130114085300002.HTML

또한 일반적으로 저소득층의 소비성향이 고소득층을 압도하기 때문에, 경제성장을 위해서도 저소득층에게 더 많은 임금이 가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757472.html
18/07/01 09:58
수정 아이콘
정부에서 준비한 고용장려제도도 정작 열심히 사업하시는분들은 모르고 —> 이거 진짜 웃긴게 쥐꼬리만큼 주고서 (그마저도 기준이 너무 낮아 해당되는 직원도 거의 없지만) 받으면 그걸 또 소득이라고 세금떼어갑니다 ㅡㅡ
사악군
18/07/01 11:50
수정 아이콘
사실 이론과 실체가 일치하고 있는거라 더 문제랄까..

고전적 이론 틀렸어 참신한 이 이론을 봐! 했더니 고전적 이론대로 결과가 나오는 상황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1839 [질문] 건조기 직렬설치 문의 입니다. [2] Dowhatyoucan't3093 18/07/01 3093
121838 [질문] 기벡 수학문제 하나 부탁드립니다 [7] StondColdSaidSo1822 18/07/01 1822
121837 [질문] 윈도우10 구매 관련 [1] 까우까우으르렁2276 18/07/01 2276
121836 [질문] [해축] 그리즈만의 장점은 뭔가요? [17] 소주5219 18/07/01 5219
121835 [질문] 폰알못 약알못이 약정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3] 용노사빨리책써라1623 18/07/01 1623
121834 [질문] 노래방 노래 추천 부탁드립니다. [2] 겁나빠른거북이1978 18/07/01 1978
121832 [질문] 던파 점핑케 하나 추천해주세요!(바람, 빙결) [2] 이명헌2453 18/07/01 2453
121831 [질문] 화장실에서 출현하는 작은 벌레 정체는? [1] 잘생김용현4870 18/07/01 4870
121830 [질문] 하품을 너무 자주합니다. [2] Ahri3149 18/07/01 3149
121829 [질문] [프로듀스48] 이번 라이브 음성보정 많이 한건가요? [14] 히야시5817 18/07/01 5817
121828 [질문] 1월중순쯤에 해외를 나갈것 같은데 티켓은 언제 구매하는게 좋나요? [8] 아이오아이2088 18/07/01 2088
121827 [질문] 도쿄로 2박3일 여행에 갈수 있는 추천 코스좀 부탁드립니다. 괴도키드2253 18/07/01 2253
121826 [질문] 우리나라에도 한여름에 건조한 지역이 있나요? [4] 감성이 용규어깨2861 18/06/30 2861
121825 [질문] 롤 임무가 완수되지 않습니다. [1] 아기상어2644 18/06/30 2644
121824 [질문] LCHF (저탄고지) 에 대한 궁금증 [13] 데로롱2375 18/06/30 2375
121823 [질문] 게임 모니터로 어떤지 의견 부탁드려요 [2] Meditation3029 18/06/30 3029
121822 [질문] [던파]소환사 복귀유저 질문있습니다. [4] iphone5S2122 18/06/30 2122
121821 [질문] 소득주도성장과 최저시급인상 어떻게보시나요. [17] 기니피그2347 18/06/30 2347
121820 [질문] 스팀 여름할인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사나없이사나마나3442 18/06/30 3442
121819 [질문] [던파]점핑 어떤 직업이 좋나요? [3] 레몬커피4240 18/06/30 4240
121818 [질문] 뱀파이어영화 제목 부탁드립니다. [4] kaerans2372 18/06/30 2372
121817 [질문] 트위치 시청용 태블릿pc 추천해주세요. [13] 지지 말아요6525 18/06/30 6525
121816 [질문] 목표를 이룬 뒤의 허무함 극복법이 있나요? [6] 삭제됨3204 18/06/30 320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