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6/06 14:05:41
Name 와사비
Subject [질문] 윗세대 어르신분들은 왜 아기를 둘 가지라고 할까요?
결혼을 하게되고 친척집이나 윗세대 분들을 만날기회가 있을때 꼭 자식계획이 어떻게 되는지 물어오십니다
그리고 꼭 아이는 둘이 있어야 한다고 하시면서
아직 아이가 없는 부부는 쌍둥이 이야기를 하시고
아이가 한명있는 부부에게는 둘째는 언제 낳냐고 하시는데요

그런 심리가 궁금합니다 셋째는 아니어도 둘째는 꼭 낳으라고 하시는 심리는 어떤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비싼치킨
18/06/06 14:06
수정 아이콘
우리 엄마는 니네는 돈없으니까 한 명만 낳으라고 하시던데... (시무룩)
18/06/06 14: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심리랄것까지 있나요. 본인 경험으로 비춰볼때 하나보다 둘이 나으니까 하는 말이겠죠.
지지고 볶아도 결국 끝까지 남는건 가족 형제뿐이라.. 혼자보단 둘, 둘보단 셋이 낫다는 자녀입장에서의 시각도 있고.
늘그막에 자식하나 없이 쓸쓸히 가는것과 의지도 할수 있고
떠난후에도 기억해줄 자식 손주들이 많은건 다르다는 부모입장에서의 시각도 있구요.
저도 개인적으론 능력된다면 다자녀가 좋다고 생각은 해요.
자녀수대로 육아가 x배 힘들어 지는게 아니라.. 둘째 셋째 넘어가면 이제 애들끼리 서로 챙겨서 스노우 볼이 굴러가니까요.
당장 몇십년전 어르신들 8-9남매정도 이야기 들어보면 거의 막내들은 첫째딸이 다 키웠어요.
그렇다고 요즘같은 세상에 열명 낳아라 이럴순 없으니 하나보단 둘이좋다고 하는거죠.
18/06/06 14:07
수정 아이콘
혼자면 외로울수 있어서 둘이지 않을까요.
저도 딸아빠인데 2명 계획중이거든요..
쎌라비
18/06/06 14:12
수정 아이콘
저도 어렸을때는 맨날 싸우고 그랬는데 크고 보니까 둘인게 낫더라고요. 클때 덜 외로웠던 것 같기도 하구요.
회전목마
18/06/06 14:16
수정 아이콘
나이차가 조금 나고 첫째가 둘째를 좋아하면 둘때 육아때 좀 편해진다고 하더라고요
확실히 외동보다는 여럿이 나은것 같아요
ioi(아이오아이)
18/06/06 14:18
수정 아이콘
혼자 일때보다 둘 일때 부모가 더 편합니다.

물론 젖먹이 때는 힘들지만 유치원 학교 들어갈 때 쯤 되면 어지간하면 둘이서 잘 놀죠. 물론 싸우긴 합니다만,,
혼자면 그 시간에 부모가 같이 있어야 할껄요
신공표
18/06/06 14:21
수정 아이콘
저희 부모님께서는 제가 어렸을 때 부터 항상 혼자는 외롭고, 둘은 있어야 서로 의지하면서 살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근데 부모님 세대에서는 외동은 정말 드물고, 여럿 낳아서 살던 시대였고 지금은 그때랑 다르긴 하죠.

저도 안 낳을거면 아예 안 낳고, 낳는다면 둘이나 셋 낳고 싶네요. (경제력만 된다면.)
정지연
18/06/06 14:34
수정 아이콘
어릴때는 윗분들이 잘 설명해주셨고.. 성인이 된 이후로 생각해 봐도 예전에는 가족들만으로 가족행사를 치뤄야 하는 일이 많았고 행사에 손님이 많이 오는걸 좋아했는데 외동이면 아무래도 손님수에는 한계가 있을수밖에 없죠..
그 시절을 겪어본 분들은 그래서 형제가 많은게 좋다고 생각하는게 일반적일거고요..
근데 요즘은 가족수가 줄어드는거에 맞춰서 상조회사같은 외부 도움을 받기도 하고 간소화하는 추세라서 외동이라고 해서 크게 불편하지 않을 세상으로 점점 변하가고 있다고 봅니다
고란고란
18/06/06 14:54
수정 아이콘
어릴 때 많이 싸우고 그래도 하나보단 둘이 나은 것 같아요.
카디르나
18/06/06 14:55
수정 아이콘
케바케겠지만, 혼자면 너무 외롭다가 가장 많은 이유인 것 같더군요. 부모를 위해서라기보다 아이를 위해서 하나보다는 둘 이상이 좋다는 거죠.
나이스후니
18/06/06 14:56
수정 아이콘
외동으로 자랐는데, 딱히 좋은점은 없더군요. 일단 외동이면 결혼상대한테도 부담이고, 아직 미혼이지만 부모님에게 제가 필요한일이 생겼을때 제가 없으면 대신할 사람이 없습니다.
강미나
18/06/06 14:58
수정 아이콘
돈이 문제지 자녀입장에서나 부모입장에서나 둘이면 훨씬 편하긴 합니다.
와사비
18/06/06 15:1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키무도도
18/06/06 15: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유아교육학과 나온 저희 큰누님은 자식이 셋인데. 자신이 말할때 다른사람들도 적어도 둘이상 낳았으면 하는 바램은 여러가지 있지만, 그 중 교육상의 문제도 있더라구요. 확실히 혼자 큰아이랑 형제가 있는 아이가 경제관념이나, 도덕적, 정서적으로나 여러가지 다르다고 말하더라구요. (유치원 다니면서도 느낀거라고) 그렇다보니 외동에게 형제가 있음으로써 깨우치는것을 가르치는게 상당히 힘든일이라고...혼자 둘수도 없고... 혼자 밖에 나가게 하는것도 그렇고 (이게 둘키우는 것보다 힘든일이라고...)

그리고 저희집안이 형제가 세명인데, 세명이서 할수있는 일이 많기도하고, 부모입장이나 자식입장이서나 서로 좀 안정된게 있기도하고... 저도 한명 키우게 되는 것은 경제적, 시간적 부담 때문인거지, 나머지 장점적으론 두명 이상이 좋다고 봅니다. 사실 가족이라는게 부모말고도 나이대가 비슷한 형제이기 때문에 나눌수있는 것들이 있으니까요. (제 지인 형님도 남동생과 자신 둘이데 부모님에 대해서도 서로간의 생활에 대해서도 진짜 서로 의존 많이합니다.)

아 그리고 누님에게 들은건데 현재 정책으로는 3명 이상 낳으면 국가, 지자체 정책지원부터 달라지는데, 여러가지 있지만, 대학보낼때 대학 장학금 1년에 450만원 받는다고 합니다.(셋째만 받는게 아니라 첫째도받고 3명 전체 해당) 저희 큰누님이 여기에 해당되는데 곧 첫째가 고등학생되어서 기대중이더라구요.
뒷산신령
18/06/06 16:33
수정 아이콘
일단 외동이라면 항상 놀아줘야하고 부모가 같이 있어줘야하고 양보하는법
뭐...윗분들 말씀하신거처럼 도덕적, 정서적으로 1명보다는 2명이 나은듯 하고
커서도 의지할데도 있고 좋은거 같습니다.

번외로 2명이랑 3명은 체감이 다릅니다
x2, x3이 아니라 거기에 나이차가 적으면 어마어마하게 힘들어집니다
왜냐하면 한명이 하나씩 봐야하는데
한명이 하나씩 보고 한명이 남거든요
첫째의 희생이 필요로 합니다..저희집은 이제야 스노우볼이 좀 굴러가서 서로 놀고 싸우고 그러네요.
같이 놀아주는 차원에서 이제 감독하는 개념으로 바뀌고 있어서 좀 편해지고 있습니다.
저희집이 나이차이 적은 9,7,6 (7과 6은 13개월 차이)에 올해 9월 예정인데 4째는 큰 걱정 안하고 있습니다
메모네이드
18/06/06 17:40
수정 아이콘
Aㅏ.. 마지막 녀석은 어떻게 키우시나요?..
저도 돈 많고 도와줄 사람있으면 많이 낳아 키웠으면 좋겠네요.. 부럽습니다.
모나크모나크
18/06/06 23:06
수정 아이콘
우와... 막내는 엄청 사랑받겠어요
Cazellnu
18/06/07 06:15
수정 아이콘
여건만되면 둘, 셋, 넷 많을수록 좋죠
Maiev Shadowsong
18/06/07 09:38
수정 아이콘
나이가 들면 들수록 형제가 최고라는걸 계속 느낍니다.
눙눙사마
18/06/07 10:31
수정 아이콘
돈이 문제지 많을수록 좋은거 아닌가요.
18/06/07 14:23
수정 아이콘
혼자면 외로우니까

저도 애하나 키우는데.. 돈 문제도 있지만

전 한명이면 충분한것 같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0927 [질문] 제천 맛집 추천해주세요 [6] 웃음2487 18/06/06 2487
120926 [질문] 안녕하세요, 사회초년생으로서 고민이 생겼습니다. [26] 0126양력반대5005 18/06/06 5005
120924 [질문] 플스4 구매 질문입니다. [4] 쉬군2342 18/06/06 2342
120923 [질문] 유머게시판에서 카테고리 기능은 의무인가요? [2] 이부키2151 18/06/06 2151
120922 [질문] 이 광고에 나오는 노래 제목 아시는분 계신가요? 헿힣핳홓핳힣2088 18/06/06 2088
120921 [질문] 도서 구입과 스캔본에 다운로드에 대한 질문 [6] 안초비2745 18/06/06 2745
120920 [질문] 가로쉬가 겉바속촉은 어디서 유례됐나요 [5] chamchI8215 18/06/06 8215
120919 [질문] 최근에 오픽좀 보신분들 계실까요? [3] 싸구려신사2219 18/06/06 2219
120918 [질문] 6~70만원대 가성비 노트북 추천부탁드립니다. [2] En Taro3802 18/06/06 3802
120917 [질문] Lchf 요요질문 [9] 요플레마싯어2887 18/06/06 2887
120916 [질문] 컴퓨터 점검 좀 부탁드립니다. [14] 옛설2358 18/06/06 2358
120915 [질문] [휴대폰]공기계 중고를 사려고 합니다 도와주세요 [5] 불대가리2224 18/06/06 2224
120914 [질문] 중고 판매하려는 컴퓨터인데 얼마쯤 받아야 할까요? [1] 삭제됨2225 18/06/06 2225
120913 [질문] 윗세대 어르신분들은 왜 아기를 둘 가지라고 할까요? [21] 와사비4049 18/06/06 4049
120912 [질문] 한글2010 단축키 작동 안하는 증상 [2] 비연회상3416 18/06/06 3416
120911 [질문] 2018 러시아 월드컵 국대 유니폼 색상 고민입니다 [3] 루시드레인2110 18/06/06 2110
120909 [질문] 차사고 견적이 얼마나 나올까요? [2] 베가스2098 18/06/06 2098
120908 [질문] 어릴 때 피아노를 안 배우면 동요도 치기 힘든가요? [30] 비싼치킨4040 18/06/06 4040
120907 [질문] 신발 굽 복원 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7] NㅏRㅏ2346 18/06/06 2346
120906 [질문] 마작을 배우고 싶습니다. [1] ESBL2636 18/06/06 2636
120905 [삭제예정] 회계세무 전문가, 담당자분들 도와주세요.. [2] 삭제됨2874 18/06/06 2874
120904 [질문] 노래를 찾습니다. [6] 사나없이사나마나2025 18/06/06 2025
120903 [질문] 고객사 사장 딸에게 BTS 사인시디를 사주려 합니다 [9] Soviet March4221 18/06/06 42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