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5/15 23:52:45
Name Bluelight
Subject [질문] 왜 국내웹은 Active-X, 설치형 프로그램 투성이인가요? (수정됨)
사실 제목이 곧 내용입니다.

왜 국내웹은 Active-X, 설치형 프로그램 투성이인가요?

지금 네이버 고수 결제해서 보려다가 화가 좀 났는데, 이거 꼭 무슨 만화뷰어인지 뭔지를 깔아야 볼 수 있는거에요?

복제 방지 이런 기술이 필요한 건 알겠는데, 웹에서 그냥 HTML 5든 뭐든 써서 구현 못하나요? 안하는건가요 못하는건가요?

네이버 플레이어도 뭘 깔긴 깔아야 웹에서 돌아가고, 은행 사이트 들어가면 키보드 보안이니 등등등 Active-X인지 설치형 프로그램인지 여튼 잔-뜩 설치해대는데, 이것도 설치없인 구현이 안되는건가요?

개발 비용 및 편의 문제라고 생각되긴 하는데, 제 생각이 맞나요? 아니면 제 생각이 틀렸고 웹에서 깔끔하게 돌아가도록 만들기가 아주 어려운 기술인가요?

그리고 저만 이런거 불편해하는 건가요? 2012년에도 이런 구조였던 거 같은데, 왜 아직도 이렇죠...

제 입장에선 다시는 결제 미리보기 할 생각이 사라지는 구조인데 2018년에도 아직 이런 구조로 돌아가고 있다는게 너무 놀라워서 여쭤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5/15 23:59
수정 아이콘
예에에전에 인터넷 익스플로러 5, 6을 쓰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넷스케이프는 망하고, 파이어폭스와 같은 대체재가 없었기에 브라우저 시장은 마소가 꽉 잡고 있었죠. 당시에도 금융 거래를 위한 보안을 비롯해 각종 추가 기능이 필요했지만, 지금처럼 웹 표준 기술들이 발달하지 않아서 윈도우즈에 특화된 액티브X를 국내외 가리지 않고 많이 만들어 썼습니다. 공인인증서를 비롯한 시스템도 그 당시에 개발된 거죠.

물론 지금은 더 좋은 브라우저들이 널려있고, 웹 표준 기술이 많이 발전했으니 예전처럼 핑계가 먹히지 않습니다. 국내 업계와 관련 규정이 빠르게 변화하지 못하는 거죠. 예전에 쓰던 게 좋은데 왜 새걸 써? + 내 밥그릇 뺏어가지 마라라고 생각합니다.
Bluelight
18/05/16 00:01
수정 아이콘
익스 5,6. 넷스케이프가 대체 언제적... 대략 20년 정도 된거 같은데 그 때의 잔재라니.... 한숨만...

결제 모듈은 그렇다치고, 만화뷰어는 왜 그런거죠. 네이버면 국내 IT 업계 중 거의 최고 아닌가요?
크림샴푸
18/05/16 00:02
수정 아이콘
회계 세무 노무 인터넷뱅킹 정부지원사업 등 이쪽분야 업무 보시면 슈퍼레알 빡칩니다.
책임을 (정부)기관, 기업 이 아닌 개인에게 지우려는 것과
세금도둑들이 만들어낸 거지같은 프로그램을 계속 써야 서로서로 나눠먹기로 꾸준히 헤쳐먹을 수 있는게 맞물려 계속적으로 써야죠
이미 보안 바닥은 나눠먹기 식으로 다 정해져 있기 때문에 신기술을 가지고 있는 전도유망하고 정직한 기업이 낄 자리가 없습니다.

나랏님이 큰맘먹고 다 뒤집어 엎어 버리고 국회의원들이 갑자기 사명감과 정의감이 투철해져서 법규를 바꾸지 않는 이상
절대로 바뀔 수 없습니다.

저처럼 작은 벤쳐를 하는 곳은 정부지원사업 하려면 프린터는 두대가 필요합니다. 사람 10명 있는 사무실에 프린터 두대가 왠말입니까
근데 그렇게 안하면 사업관련한 자료는 출력조차 사이트접근조차 안됩니다.
Bluelight
18/05/16 00:05
수정 아이콘
그렇죠. 정부기관을 잊고 있었군요. 그 쪽이 [진짜]인데...
LifeLivingToday
18/05/16 00:08
수정 아이콘
IE 5 시절, 즉 Active X는 경이적인 기술이나 다름없었죠.
특히 국내의 경우 Windows 점유율이 99%라 보아도 무방했던지라 Active X 자체는 혁신 그 자체였지 문제는 없었습니다.
물론 시간이 흘러가면서 HTTPS 방식으로 기타 보안을 대체할 기술이 꾸준히 나왔고 실제로 이제는 많이 넘어왔습니다. 해외결제만 해봐도 이 부분은 [명확]하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체하지 [않은] 이유는 금융기관의 보수성 및 책임회피가 가장 큽니다.
보안 프로그램을 3~4중으로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 후 실행하는 것은 실제로 '보안'의 영역만 놓고보면 매우 우수합니다.
사실 ActiveX의 우수성이라기보다는 이런저런 복잡한 절차를 거치면 거칠수록 보안의 우수성은 높아지죠.

즉, 금융기관의 보안 책임을 회피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명분이 되죠.
앞으로도 쉽게 없어지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기존 ActiveX사 유지보수 업체와 금융기관과의 이해관계, 금융기관의 책임회피 수단으로서 지금 ActiveX는 가장 완벽합니다.
Bluelight
18/05/16 00:13
수정 아이콘
네이버는 왜...
LifeLivingToday
18/05/16 00: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간편결제 서비스 시장을 공략한 것입니다.
결국 결제모듈을 통해 판매자에게 수수료를 먹는 방식은 VAN, PG사의 수익모델과 동일합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노블리스 오블리제에 따른 서비스 제공이 아닌 철저한 비즈니스적 관점으로의 사업 투자입니다.
실제로 네이버뿐만 아니라 카카오페이, SSG페이, 스마일페이 등 수많은 간편결제 시스템이 표준화 없이 난무하고 있죠.

마케터가 아니라 시장규모는 모르겠으나 이곳저곳 난무하는걸로 보아 수익성은 확실하지 않나 싶습니다.
Bluelight
18/05/16 00:38
수정 아이콘
네이버 페이는 그 쪽이긴한데, 본문 내용 중 하나인 네이버 만화쪽 결제(쿠키)는 그거랑 관계없지 않나요?
LifeLivingToday
18/05/16 00:46
수정 아이콘
네이버 웹툰쪽에 ActiveX가 있는지는 몰랐네요. 그 부분은 네이버 관계자가 알 수 있을 것 같아 답을 드리기 어려울것 같아요
Bluelight
18/05/16 00:56
수정 아이콘
정확히는 웹툰 미리보기(결제 서비스)하려면 웹툰 뷰어를 설치해야합니다.
긴 하루의 끝에서
18/05/16 05:44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바는 ActiveX가 아닌 다른 방법을 사용했을 때 보안의 강도가 지금보다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는 말로 해석됩니다. 그렇다면 이용자가 이용의 편의만 내세워 ActiveX를 폐지할 것을 주장하고, 그러면서도 추후 본인들의 요구에 의해 낮아진 보안 때문에 발생한 각종 사고의 책임은 또 금융기관 보고 지라고 하는 건 뭔가 설득력이 떨어지는 것 아닌가요? 금융기관들이 본래 본인들이 책임져야 할 사안을 놓고 무책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기보다는 오히려 민감한 사안일 수 있는 금융에서의 보안 문제를 놓고 이용자들이 너무 안이하거나 자기중심적 태도를 보이는 것이 아닌가 싶은데요. 금융기관이 보안에 관련된 문제들을 이용자가 자신들의 컴퓨터에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ActiveX로만 전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게 아닌 이상 말이죠. 다만 ActiveX 폐지시 포기하게 될 보안의 정도는 미미한데 상승하게 될 이용의 편의성은 크다면 ActiveX를 폐지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선택이겠다는 생각은 듭니다.
-안군-
18/05/16 11:19
수정 아이콘
보안의 강도 문제보다는 보안의 '책임소재'문제가 더 큽니다.
ActiveX 기술은 사용자의 컴퓨터에 직접 억세스 하는 기술입니다. 설치형 프로그램들도 마찬가지고요.
이게 무슨 얘기냐면, 문제가 생겼을 때 그 책임소재를 사용자에게 지운다는거죠.
다시 맗해서, 우리는 보안 프로그램 다 깔아줬는데 털린건, 니가 관리를 잘못한 탓이다. 라고요.

HTML5 표준 보안 기술들은 대부분 서버쪽에서 그 책임을 집니다. 그러니까 문제가 터지면 회사 책임이 되는거에요.
해외의 경우엔, 결제상에 문제가 터지면 쿨하게 환불해 줍니다. 원래 그런 문화(?)가 정착돼 있기도 하고, 그 쪽이 차라리 비용이 덜 든다는 계산도 있다고 하더군요.
긴 하루의 끝에서
18/05/16 11:41
수정 아이콘
권장하는 보안 프로그램을 다 설치했음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생겼을 때 내가 관리를 잘못한 탓이 아닌 보안 프로그램이 애초에 미숙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기란 쉽지 않겠죠?
-안군-
18/05/16 11:44
수정 아이콘
보통 그런 일이 터지면 새로운 보안 프로그램이 하나 더 추가됩니다?
실제로 처음에는 공인인증서 밖에 없었는데, 문제가 생기니 키보드보안, 방화벽, 악성프로그램 검출... 등등이 계속 추가된거죠.
나스이즈라잌
18/05/16 00:27
수정 아이콘
기존에 잘 돌아가는 시스템을 큰 이상이 없는데 변경하는건 우리나라 대기업에서 힘든일이죠..
18/05/16 11:25
수정 아이콘
요구되는 보안 수준이 웹 표준 기술로는 도저히 달성 불가능한 경우도 많습니다. 스크린 캡쳐를 막아달라거나, 키로거를 막아달라거나 하는거요... 새 시스템을 도입했는데 기존 솔루션보다 기능이 떨어지는걸 용납할 수 없는 분들이 위에 계시면, 그냥 액티브 엑스 박는 수 밖에 없죠 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0049 [질문] 변기 물때? 곰팡이?가 자꾸 생깁니다. [21] 덮어쓰기28098 18/05/16 28098
120048 [질문] 천장 빌트인 에어콘 청소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4] 리버풀트윈스4042 18/05/16 4042
120047 [질문] 혹시 히스테모나 모나다 샴푸 써보신 분 계신가요?? [4] 내딸채연이3482 18/05/16 3482
120046 [질문] 디큐브아트센터 근처 데이트 [2] 11cm2250 18/05/16 2250
120045 [질문] 네이버 밴드를 해킹 당했습니다. [1] DJ전설2887 18/05/16 2887
120044 [질문] 대학교 졸업관련 질문입니다. 수업안듣고도 [17] 씨케이4041 18/05/16 4041
120043 [질문] 항공 코드쉐어 관련 질문입니다 [2] signature2415 18/05/16 2415
120042 [질문] 컴퓨터 본체 케이스 쿨러에 대해 [10] 쭈루룩쭈루룩3441 18/05/16 3441
120041 [질문] 자기가 가입한 자동차 보험 보험사 확인 방법 질문입니다 [2] 몰로하징징2515 18/05/16 2515
120040 [질문] 집주인 개인정보와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3] 예술가2128 18/05/16 2128
120039 [질문] 사무용컴퓨터 견적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5] 술통3582 18/05/16 3582
120038 [질문] 아고다 결제 취소 관련 질문 드립니다. [11] 파쿠만사5488 18/05/16 5488
120037 [질문] SM 루즈키, 5월에 sm 걸그룹 데뷔 예정없나요? [1] 여자친구2843 18/05/16 2843
120036 [질문] 김지운 vs 나홍진 [37] 짱짱걸제시카4713 18/05/16 4713
120035 [질문] (해결완료)제가 군대를 잘 몰라서 여쭤보는데요... [16] 착한아이5011 18/05/16 5011
120034 [질문] 스노쿨링 마스크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지후아빠3430 18/05/16 3430
120033 [질문] 스니커즈에 정장바지는 안어울리나요? [20] 강아지아빠11432 18/05/16 11432
120032 [질문] 한국만 유독 고음에 집착하나요? [33] 성동구6293 18/05/16 6293
120031 [질문] 클템 해설 영상을 찾고 싶습니다 (감히 나의 필트오버에 와서 이렇게 깽판을 쳐? ) [1] attraction3219 18/05/16 3219
120030 [질문] 크롬을 쓸때 계속 쇼핑몰 페이지가 뜹니다. [3] 삭제됨2170 18/05/16 2170
120029 [질문] 갤럭시s9+로 바꾸려고 하는데 그냥 동네 skt 대리점에서 바꿔도 호갱 안 당하겠죠? [8] Jecht3920 18/05/16 3920
120028 [질문] 로맨스 없는 한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26] fomo6526 18/05/16 6526
120027 [질문] 카카오 머니 질문 지나가는행인11914 18/05/16 19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